디지털공주문화대전 > 공주향토문화백과 > 삶의 방식(생활과 민속) > 민속 > 민속놀이
-
충청남도 공주 일원에서 전승되어 오고 있는 민중들의 놀이. 충청남도 공주시는 행정구역상 유구읍의 1읍, 금학동을 비롯한 8개 동, 계룡면을 비롯한 10개 면으로 편성되었다. 역사적으로는 석장리의 구석기 유적에서 보듯이 석기시대부터 삼한을 거쳐 백제시대의 수도로,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충청남도의 중심적 도시로 발전되어 왔다. 지리적으로는 계룡산과 금강을 비롯하여...
-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1963년까지 유행하였던 대단위 집단 노름. 36계는 노름이다. 그것도 면 단위의 모든 마을 사람들이 한판에 살돈을 걸고 횡재를 바랄 수 있는 대단위 집단 노름이다. 집단적인 노름의 특성 그대로 서른여섯 곳의 이름이 써진 인체도(人體圖) 중 한곳을 정해 돈(살돈)을 걸고 맞히면 30곱을 받고 못 맞히면 하나도 못 받는다. 36계에 돈을 걸면서도 30곱...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화헌리에서 농부들이 두렛일의 마지막 날 하던 민속놀이. 호미씻기놀이는 여름 농사일의 고된 작업 중 하나인 논매기에 사용하던 호미를 올해에는 더 쓸 일이 없어 씻어 보관한다는 의미이다. 화헌리 호미씻기놀이와 유사한 민속놀이로는 공주시 신풍면 선학리의 두레 막음 놀이 중 ‘호맹이 목매달기’가 있고 공주시 우성면 한천리에 ‘호맹이 빨래줄’이 있는데 두...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에서 정월 대보름날 행하는 민속놀이. 광정리 암숫강다리기는 놀이 문화와 기원 문화의 결집체로서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지역의 광정1리·광정2리·광정3리·대산1리·대산2리·월산리·사현1리·사현2리·인풍리·내문리 등 10개 마을이 함께 즐긴 전통 민속 줄다리기이다. 남성과 여성의 직접적인 성행위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민속놀이이라서 즐거움을 더하였기 때문...
-
충청남도 공주에서 행해진 여자 아이들의 안방놀이. 꼬대각시는 신내림을 활용하는 놀이로 무속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평소에 하지 못하였던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녀들은 즐거워했으나 신내림을 풀지 못하면 신병을 얻거나 심한 경우 정신분열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다 하여 어른들은 꼬대각시 놀이를 금기시하였다. 그러나 아이들은 어른들 몰래 숨어서 꼬대각시 놀이를 했다고 한다...
-
충청남도 공주에 전해 내려오는 두레에서 파생된 민속놀이. 두레란 농촌에서 서로 협력하여 공동 작업을 하는 풍습, 또는 이를 위하여 마을 단위로 구성한 조직을 이르는데, 주로 마을 전체의 모내기, 김매기, 벼베기, 타작 등 농사의 전 과정에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두레의 유래에 대해서는, 고대 씨족 공동 사회에서 찾는 견해가 많다. 삼한시대에 농사의 시작과 끝에 행하던 음주...
-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아녀자들이 윷가락으로 베틀질을 흉내 내며 즐기는 윷놀이. 베틀 윷놀이는 소녀부터 아낙네들까지 여인들이 방안에서 즐기던 윷놀이 중 하나이다. 베를 짜는 모습을 윷가락으로 흉내 내는 여인들의 윷놀이며, 윷이 허공에 떴다가 손에 잡히면서 윷끼리 부딪치며 딸그락 소리를 내는 것이 베를 짜는 소리와 같아서 베틀 윷놀이라고 부른다. 베틀 윷놀이는 말을 쓰지 않고...
-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아녀자들이 윷가락으로 공기놀이를 하듯 즐기는 민속놀이. 충청남도 공주시에는 어린 소녀부터 나이 든 아녀자에 이르기까지 여인들이 윷가락을 이용하여 공기놀이하듯 즐기는 윷놀이가 전승된다. 베틀질을 흉내 내는 베틀 윷놀이 21종과 보리풍년 윷놀이 21종이 존재했으나, 베틀 윷놀이는 9종만 전하고 보리풍년 윷놀이는 21종 모두 전해지고 있다. 20...
-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선학리에서 서민들이 지게를 이용한 집단 놀이 지게놀이는 한민족의 농경사회(農耕社會)에서 농민들과 가장 밀접했던 농기구(農器具)인 지게를 이용하여 즐기는 놀이 문화의 결집체이다. 공주 선학리에서 시연되고 있는 지게놀이는 「지게 상여」, 「지게풍장」, 「지게 걸음마」, 「작대기 걸음마」, 「지게 썰매」, 「지게장단 노래」, 「지게 지네발놀이...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경천리와 하대리에서 칠석날 열리던 두레 막음 민속놀이. 계룡면 중장리·하대리는 계룡산 아래 위치하여 지형이 삼태기 속처럼 안온하고, 하나의 생활 권역을 이루고 있었으며, 중장리·하대리 지역 12개의 두레는 여름두레를 먹는 날이 모두 칠석날로 같았다. 중장리 마루들[宗谷]에는 선인이 심었다는 12그루의 느티나무 정자가 있는 큰 두레 마당이...
-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에서 개최되었던 면단위 씨름대회. 윗뜰씨름은 여름두레 먹는 날 놀이판에서 성행하였던 씨름이 면단위의 편씨름 판으로 발전한 민속놀이이다. 공주시 반포면·계룡면·이인면·탄천면 등지에서는 봄두레 먹는 날이나 여름두레 먹는 날 힘자랑에 속하는 들돌 들기와 씨름을 가장 흔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마을에서는 명성이 자자한 씨름꾼들이 배출되었고, 여름두레가 모두...
-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겨울철 농한기에 장기를 두듯이 윷의 수를 내어 말판을 쓰는 윷놀이. 윷두기는 매우 독특한 윷놀이이다. 2인이 마주 앉아 각각 두 가락의 윷을 손에 잡고 상호 1회씩 윷 한 가락을 엎고 네 가락을 합하여 만들어지는 윷을 보고 말판에 말을 쓴다. 윷은 자신의 손에 있는 두 가락에 한하여 1회에 한 가락만 엎어야 하고 자신이 유리하다 하여 엎지 않거나 한...
-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사랑방의 자릿날을 말판으로 사용하는 윷놀이. 자릿날은 돗자리나 삿자리에 세로로 짜인 올을 이야기한다. 충청남도 공주 지역의 다양한 윷놀이 중 하나로 윷을 노는 방법은 다른 윷놀이와 같으나, 일반적인 말판은 사용하지 않고 사랑방에 깔린 자릿날을 말판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인 말판의 눈은 21개인데 반하여 자릿날의 수는 400~800날에 이르기 때문에 자릿...
-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장정들이 농한기에 즐겼던 놀이. 공치기, 먹장, 펀덕 공 등으로 불린 장치기는 서민층의 장정들이 농한기에 즐긴 운동경기로 현대의 필드하키와 유사한 운동이다. 장치기 놀이의 종류에는 크게 나무꾼 형과 마을 대항 형을 구분해 볼 수 있다. 나무꾼 형에는 선 장치기와 기둥 장치기, 일반 장치기, 장문 장치기 등이 있다. 충청남도 공주 일원에서 가장 보편적으...
-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남산리에서 두레 싸움의 하나로 행하던 놀이. 팔매 싸움은 두레 싸움의 하나로 행해지던 민속놀이로서, 돌을 던지면 돌팔매질, 사금파리를 던지면 사금파리팔매질, 흙덩이를 던지면 흙팔매질로 불렸다. 주로 음력 7월 7일부터 7월 15일 중 하루를 택하여 행했는데, 이때는 들판에 곡식이 한창 자라는 시기이므로 곡식이 상하지 않도록 돌 대신 논흙을 뭉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