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
충청남도 공주 지역에 있는 자연 마을. 조선 전기까지는 하나의 자연촌(自然村)이 하나의 리(里)를 형성할 만큼 자연적 최소 생활공간이 규모화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인구의 증가, 경지의 개간과 확대, 농법의 개량과 생산량 증대 등으로 점차 생활 공간이 규모화하고, 이러한 변화는 자연촌의 성장과 발달, 나아가 집촌(集村)으로의 성장과 발달로...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대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완부부곡은 공주의 서쪽 40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완도부곡은 지금의 가랏골을 말하며, 이 마을은 노동·완동으로도 불린다. 가랏골이란 명칭은 마을 주변에 갈대가 무성한 데서 유래하였다. 강아지풀이 무성하여 붙여진 이름이란 설도 있다. 마곡사에서 정안천으로 흘러...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용봉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갓바위 명칭은 마을에 갓처럼 생긴 바위가 있었던 데서 유래하였다. 옛날 이 마을에 사는 이기영의 밭 가운데에 갓 모양의 바위가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이 갓바위를 부귀를 주는 바위라 하여 오래도록 섬겼다. 갓바위는 용바위의 북쪽에 위치한다. 우성면과 청양군 목면과의 경계인 공수원에서 신풍면 방향으로...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귀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검바위란 명칭은 마을의 길가에 크고 검은 바위가 있는 데서 유래하였다. 조선 말기부터 한자명인 검암(黔岩) 또는 검암리라 불렸다고 한다. 검바위는 거북바위의 동쪽에 위치한다. 검바위 주변에는 얕은 구릉이 발달해 있는 평범한 농촌 마을이 전개되어 있다. 2011년 현재 상주에서 당진을 잇는 고속국도...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부곡리에 있는 마을. 마을에 골이 가늘고 길며 굽은 여울이 있으므로 곱여울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고비울, 고비을이라 하는 데, 이 여울에 마을이 자리하여 곱여울 또는 고비울, 고비을, 부곡이라는 마을이 형성되었다. 더 나아가서는 곱여울의 아래쪽에 있는 마을을 아래고비울[下富谷], 위쪽에 있는 마을을 위고비울[上富谷]이라 부른다. 북동쪽으로는 국사봉...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장원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구억말이란 명칭의 유래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꿩과 관련되어 있다. 구억말은 빙정산 끝자락에 위치한 관계로 옛날부터 꿩이 많았다고 한다. 이에 마을 이름을 궝마을 또는 꿩마을이라 불렀는데, 그것이 언제부터인가 구억말로 되었다고 한다. 또 하나는 고려 말 몽고가 지배할 때 이 마을에 살던 매우 큰 부자...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봉현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굴티란 명칭은 마을이 굴티고개 아래에 위치한 데서 비롯되었다. 우성면에서 국도 36호선을 따라 가면 청양과 보령으로 이어진다. 우성면과 청양군과의 경계 마을이 우성면 안양리이며, 안양리에서 봉현리를 거쳐 신풍면 입동리로 이어진다. 굴티는 굴티고개를 사이에 두고 우성면과 신풍면의 경계가 되는 셈이다....
-
충정남도 공주시 정안면 태성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너분배는 마을 길가에 크고 넓은 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광암(廣巖)이라고도 부른다. 너분배는 평범한 농촌 마을로 가까운 거리에 차령터널이 있다. 동쪽으로 정안면 태성리 윗말과 정안면 인풍리 신암문이가 있고, 북서쪽으로는 윗개치와, 남서쪽으로는 아랫개치와 각각 접해 있다....
-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만수리에 있는 자연 마을. 마을 앞에 넓은 들판이 있고, 느러지게 넓다고 해서 느랏이라 부른다. 또는 큰 동네하고 떨어져(늘어져) 있기 때문에 유래된 마을 지명으로 보인다. 마을이 낮은 구릉지에 있으며, 들판이 넓게 펼쳐져 있다. 이인면 만수리 아래만수동의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며, 동쪽으로 천안~논산 간 고속국도가 지나고 있다....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동해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지형이 물을 길어다 담는 큰 항아리인 두멍같이 생겼다 하여 두멍골이란 이름이 유래되었다. 두멍골은 북쪽으로는 차령산맥, 남쪽으로는 국사봉(國賜峰)과 태화산(泰華山), 서쪽으로는 금계산에 둘러싸여 있는 요즘은 보기 드문 산골 마을이다. 두멍골은 남쪽으로는 묵은동, 북쪽으로는 안동해동 사이에 위치한다....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인풍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두미에는 조선시대 행인의 교통 편의를 도와주던 인저원(仁儲院)이 있었다. 두미는 마을이 주변 산의 머리 부분과 꼬리 부분에 위치하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차령산맥의 높은 산줄기가 두미를 둘러싸고 있으며, 산지는 온통 밤나무 단지로 조성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신암문이와, 서쪽으로는 너분배와,...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오인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을이 정안천(正安川) 안쪽에 위치하므로 ‘물 안의 마을’이라는 뜻으로 물안 또는 무란이라 하다가 모란으로 부르게 되었다. 혹설에는 마을에 모란꽃을 많이 심었으므로 모란이라 부르게 되었다고도 하나, 전국적으로 성남시의 모란, 충청북도 제천시의 모란, 공주시 금학동의 물안 등의 지명이 갖는 공통점이 모두 냇물 안쪽에 위치...
-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백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신풍면 백룡리의 용못 남쪽 산 안에 있는 자연 마을이다. 옛날 한 부인이 남편의 병을 고치기 위해 뒷산에 산제당을 모시고 21일 동안 기도하여 마침내 남편의 병을 고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오는 마을이다. 모실의 유래는 정확치 않다. 모실, 또는 모곡(牟谷)이라고 한다. 모실의 실은 고대에 곡(谷)을 의미하는 형태...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입석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들판 가운데 있는 마을이라 벌실이라 부르다가 보리실로 변했다는 설과 보리가 잘 되는 들판을 끼고 있는 마을이라서 보리실이라 부른다는 설이 전하고 있다. 보리실은 유구천(維鳩川)이 관통하며, 서쪽으로는 녹천3리와 차령산맥 자락인 차동고개가 보이는 산골 마을이다. 보리실 북쪽으로는 사구시, 남쪽으로는...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보흥리에 있는 자연 마을. 이 마을에서 곡식이 많이 나질 않아 식량이 부족하여 살기가 분하고 원통하여 분토골이라 한다. 분토골은 옛날에 부자 마을이었다. 하루는 노승이 시주를 얻으러 왔는데, 마을에서 쌀 한 되 주지 않고 내쫓았다. 이에 중이 중얼거리자, 마을 사람은 더 큰 부자가 되는 방법을 가르쳐 주면 시주하리라 했다. 중이 말하기를 마을에 있...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에 있는 자연 마을. 비계실은 단종 때 충신 절재(節齋) 김종서(金宗瑞), 지봉(芝峯) 황보인(皇甫仁), 애일당(愛日堂) 정분(鄭奔) 세 명이 살았던 곳이다. 그 후에도 많은 인물이 배출되었다고 한다. 대가들이 거주함에 따라 아흔 아홉 간의 큰 기와집이 있었는데, 현재는 일부분만 남아 있다. 유래가 명확치 않다. 전승 과정에서 소실...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봉현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언제나 새들이 즐겁게 노래하는 마을이라 하여 새울 또는 조곡, 조곡리란 이름이 유래하였다. 새울 주변은 온통 산간 오지로, 골짜기에 좁은 논·밭과 산전이 전부인 빈한한 마을이다. 새울에서 약 1㎞ 떨어진 거리에 명덕산(明德山)과 구절산이 위치한다. 공주시 우성면 안양리에서 공...
-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국동리에 있는 자연 마을. 탄천면 국동리와 운곡리의 경계에 있는 평안산성의 머리 쪽에 마을이 위치해 있다고 하여 성머리라 부른다. 성머리에 대한 한자화로 성두(城頭), 성두리(城頭里)라고도 부르며, 돌팍머리라고도 부른다. 인근에는 성머리로부터 이차적으로 형성된 성머리고개란 지명도 있다. 또 이곳에는 성불이 있어 옛 봉화 역할을 하였다고도...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목천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옛날 농경시대 목동이 소를 몰고 다닐 때 소가 즐겨 물을 마시던 우물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소우물이란 이름이 유래되었다. 무성산(武城山)에서 발원한 산줄기가 소우물 주변을 에워싸고 있으며, 동남쪽으로는 금강(錦江)을 가로막고 우뚝 솟은 연미산(燕尾山)과 취리산(就利山)이 보인다. 얕은 구릉과 논·밭으로 둘러싸...
-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산정리에 있는 자연 마을. 쇠로 만든 돼지가 땅 속에서 나왔다고 하여 쇠실이라 하며, 이를 한자어화 한 것이 금곡(金谷)이다. 옛날에 이 마을에서는 절을 짓기 위해 절 터를 닦는 일을 하였다. 이 때 쇠로 만든 돼지가 땅 속에서 나왔는데 쇠가 황색이므로 황색 돼지가 나왔다고 하여 금곡이라 불렀다 한다. 이곳의 실은 고대에 곡(谷)을 의미하는 형태로...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옛날 옛적 이곳이 바다였을 때 그 가운데 솟은 봉우리에서 아름다운 선녀가 낚시질을 하고 있었다. 어느 날 낚시질 하던 선녀를 발견한 임금이 억지로 선녀를 궁으로 데리고 가자, 이에 노한 옥황상제가 선녀를 용으로 변하게 하였다. 임금은 선녀를 잊지 못하여 선녀가 앉았던 자리에서 늘 낚시질을 하였으며, 용이 된 선녀는 낚시...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신영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을 북서쪽과 남서쪽에 각각 산이 있어 해가 비치는 시간이 짧으므로 어두니라 부르다가 발음이 변하여 여드니라 부르게 되었다. 혹은 이 마을로부터 공주시내, 예산, 온양이 각각 80리가 되어 여드니라고도 한다. 팔십리, 팔계라고도 부른다. 여드니는 북서쪽에 있는 장산[403m]과 남서쪽에 있는 녹산[288m]에...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문금리에 있는 자연 마을. 용숫골은 마을의 지형이 용의 형국이라 하며, 용수동(龍水洞), 용세동(龍細洞)으로도 부른다. 용숫골의 땅 속에는 항상 이무기가 백 년을 수도하기 위해서 파묻혀 있다가, 백 년이 지난 후 기도의 보람이 있는 이무기는 용이 되어 승천을 한다고 전한다. 그리하여 이무기가 승천을 하면 바로 다른 이무기가 자리를 차지하...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죽당리에 있는 자연 마을. 마을 앞에 잔 개울이 있어 잔개울이라고 하였다가 변하여 장개울이 되었다고 한다. 한자어화로 장가(長柯)라 하기도 한다. 아울러 죽당리 장개울에서 파생되어 이차적으로 형성된 지명도 있는데 우성면 오동리로 넘어 가는 장개울고개가 그것이다. 서북쪽에 사마산[308.2m]이 있고, 동남쪽으로 금강이 흐른다. 마을 앞을 흐르는 작...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석남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옛날 장터가 있던 마을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장터는 공주시 유구읍 석남리 창말과 유구파출소 사이에 위치한다. 주변에 신유구천과 국도 39호선이 지나가며, 인가들이 밀집되어 있는 주택 지역이다....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동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을 피해 인조(仁祖)가 공주로 피난 올 때였다. 당시 인조는 시종 몇 명과 함께 평민 복장으로 초라하게 피난을 왔는데, 이 마을에 살던 노숙이라는 사람이 쌀 300석과 닭 수 백 마리를 인조에게 바쳤다. 이에 크게 기뻐한 인조가 노숙에게 소원을 묻자, 노숙은 “묵지전의 세금을 덜어서 민폐를...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속하는 자연 마을. 풍수지리학적으로 공주시의 지형이 배의 형국인데, 우금치(牛金峙) 동편의 산이 배의 끝 모습인 주미산(舟尾山)이고, 이곳에는 사공바위가 있다. 공주농업고등학교와 북쪽으로 접한 산은 치미로 키의 역할을 한다고 한다. 무령왕릉(武寧王陵)과 북동쪽으로 접한 산은 배가 떠내려가지 않게 붙드는 형상인 정지산이다. 이 정지산 우측 마을을...
-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초봉리에 있는 자연 마을. 옛날에 부농(富農)이 많아 푸짐하였다고 하여 푸세울이라고 하였다. 또한 어휘·음운상으로 살펴보면 푸세울은 ‘푸새(채소)’와 ‘울(마을들)’이 합성되어 만들어진 이름으로, 채소가 많이 나는 마을이라는 뜻도 있다. 푸세울은 푸새울이라고도 한다. 푸세울 북쪽의 학수동은 풍수와 관련된 지명으로 마을이 마치 학이 알을...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운궁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본래 활원은 동쪽의 정안천(正安川) 건너 정안면 장원리에 있었는데, 공주에서 천안으로 가는 큰 길이 서쪽으로 옮겨짐에 따라 활원의 터도 정안면 운궁리로 옮겨지게 되었다. 궁원(弓院)이라고도 한다. 활원 앞으로는 고성천이 흐르고 있으며, 주변에 논·밭이 넓게 펼쳐져 있는 도로 가의 전형적인 ‘-원’이 들어가는...
지명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온천리에 있는 동학사·유성·공암으로 향하는 삼거리 길목을 일컫는 지명. 박정자라는 명칭은 18세기에 마을에 살던 밀양박씨들이 심은 많은 느티나무 가운데 행인이 쉴 만한 정자나무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박정자 삼거리를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먹뱅이골 또는 묵방산이라고 불리는 지역인 계룡산에 속한 장군봉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공암으...
-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지역에 있던 고을을 일컫던 지명. 전막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두 가지가 전한다. 하나는 주막거리가 있어서 마차들이 전부 쉬어 갔다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곳은 구한말 청나라 사람들의 밭이 많았으며, 그 밭을 돌보는 작은 집들이 있었다고 한다. 다른 하나는 천막을 오른다는 뜻으로 이곳에 빈촌이 많이 있었던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