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478
한자 來蘇寺一圓
영어공식명칭 Naesosa Temple
이칭/별칭 능가산 내소사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석포리 268]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서지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633년 - 소래사 창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633년 - 소래사 대웅보전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640년 - 소래사 설선당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640년 - 소래사 요사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823년 - 소래사 만세루 중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11년 - 내소사 대웅보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11년 - 내소사 관심당 신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11년 - 내소사 벽안당 신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15년~1918년 - 내소사 삼층 석탑 중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3년 1월 21일 - 부안 내소사 동종 보물 제277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3년 1월 21일 - 백지묵서『묘법연화경』 보물 제287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3년 1월 21일 -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보물 제291호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7년 - 내소사 대웅보전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0년대 - 내소사 사천왕문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3년 - 내소사 일주문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6년 9월 8일 - 내소사 삼층석탑 전라북도 유형 문화재 제124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6년 9월 8일 - 내소사 설선당과 요사 전라북도 유형 문화재 제125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1986년 9월 9일연표보기 - 내소사 일원 전라북도 기념물 제78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8월 8일 - 「내소사 영산회괘불탱」 보물 제1268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8년 3월 9일 - 내소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전라북도 유형 문화재 제255호 지정
현 소재지 내소사 -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석포리 268]지도보기
원소재지 소래사 - 전라북도 부안군
출토 유물 소장처 불교중앙박물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5[견지동 46-1]
성격 사찰
관련 인물 혜구 두타|청민 선사|관해 선사
면적 16,737㎡
소유자 내소사
관리자 내소사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북도 기념물 제78호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 있는 삼국 시대에 건립된 내소사 일원.

[개설]

내소사(來蘇寺)변산반도의 남단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관음봉(觀音峰)[433m] 아래에 있는데, 관음봉을 일명 능가산이라고도 하는 까닭에 보통 ‘능가산 내소사’라 부르기도 한다.

[건립 경위]

내소사는 633년(무왕 34)에 혜구 두타(惠丘頭陀)가 세운 절로 원래 이름은 소래사(蘇來寺)였다고 한다. 당시 소래사는 2개의 사찰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대소래사는 불에 타 소실되었고, 소소래사가 남아 현재의 내소사가 되었다. 언제부터 ‘내소사’라고 불렸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조선 시대의 문집 등에서 15세기부터 ‘내소사’라는 이름이 등장하여 ‘소래사’와 같이 이용되다가, 19세기 이후 ‘내소사’라고 지칭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 시대의 사적은 전해지지 않지만 고려 중기에 삼층 석탑이 조성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1414년(태종 14)에 봉래루(蓬萊樓)가 건립되고 1415년(태종 15)에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사본이 만들어지는 등 사찰이 운영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1633년(인조 11)에 청민 선사가 중창하면서 대웅보전(大雄寶殿)을 건립하고, 1640년(인조 18)에 설선당(設禪堂)과 요사(寮舍)를 건립하면서 사역을 조성하였다. 1810년(순조 10)에 변산에 큰불이 나 소래사가 회진(灰塵)되었으나, 1823년 만세루를 중건하고 청림사지(靑林寺址)의 고려 동종을 내소사로 옮겨 오는 등 사찰은 유지되었다. 1911년 관해 선사가 중창하면서 대웅보전을 중수하고 관심당과 벽안당 등을 신축하여 사찰을 보수하였다. 1963년에 고려 시대 동종과 『묘법연화경』, 대웅보전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후 1980년대에 일주문(一柱門)과 사천왕문(四天王門)을 건립하였고,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사찰 내 건물 등을 보수 및 신축하여 현재의 내소사 일원(來蘇寺一圓)을 형성하였다.

[위치]

내소사는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석포리 268번지]에 있다. 변산반도에 자리하며, 부안군 소재지인 부안읍에서 서남쪽으로 20㎞ 떨어진 곰소항의 서남쪽 4㎞ 지점, 줄포에서는 약 12㎞의 거리에 있다.

[형태]

일주문을 지나 전나무 숲길을 따라 약 540m를 가면 사천왕문이 나온다. 사천왕문의 양측으로는 낮은 담장이 둘러졌다. 경사 지형에 따라 전각들이 배치되어 있다. 사천왕문을 지나면 좌측으로 화래원이 있으며 넓은 마당이 자리한다. 마당의 중심에는 할머니 당산나무가 있다. 할머니 당산나무는 일주문 앞의 할아버지 당산나무와 함께 한 쌍을 이룬다. 임진왜란 이후 불교가 민간 신앙과 결합하면서 사찰 내에 칠성각(七星閣), 산신각(山神閣) 등이 건립된 것과 같이 당산나무가 경내에 있게 되었다.

당산나무를 지나면 봉래루가 있는데, 봉래루 좌측에는 보종각, 우측에는 범종각이 마당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다. 누각인 봉래루 아래로 진입하면 대웅보전이 있다. 봉래루는 원래 기둥 높이가 낮아 아래로 진입이 안 되었으나 근래에 높이를 높여 진입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하며, 봉래루 좌측 계단을 통해서도 대웅보전과 연결된다. 대웅보전 전면 마당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무설당, 우측에는 설선당이 마주 보며 배치되어 있다. 전체적인 배치는 능가산 봉우리가 대웅보전의 주변을 에워싸고 있으며, 대웅보전 정면에 마당을 두고 봉래루가 자리하여 진입 축을 이루고, 우측에 건물들이 신축되어 사역이 확장되었다. 총면적은 1만 6737㎡이다.

[현황]

내소사는 1633년에 중창되어 대웅보전과 설선당 및 요사 등이 건립되었고, 화재로 회진되었으나 1911년 중창 이후 대웅보전 중수와 관심당, 벽안당 등을 신축하여 사찰을 보수하였다. 1963년에 고려 시대 동종, 『묘법연화경』, 대웅보전 등이 보물로 지정된 이후 일주문과 사천왕문을 건립하는 등 1980년대 후반부터 사찰 내 건물 등을 보수 및 신축하여 현재의 내소사 일원을 형성하였다.

1980년대의 내소사는 대웅보전과 설선당, 봉래루, 보종각, 삼층 석탑, 불당, 요사, 화장실 등 8동으로 구성되었는데, 대웅보전과 설선당, 봉래루, 해우소만이 현재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나머지 건물들은 1980년대 후반부터 건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웅보전과 직교하여 있던 보종각은 현재 봉래루 앞마당으로 이전되어 범종각과 마주 보게 배치되었다. 설선당과 범종각의 우측으로 회승당 영역과 본래선원 영역이 1990년대 후반부터 건립되어 현재의 내소사 일원이 형성되었다. 부속 암자로는 청련암(靑蓮庵)·지장암(地藏庵)이 있다. 1986년에는 대웅보전을 중심으로 반경 500m 일원이 문화재 보호 구역[전라북도 기념물 제78호]으로 지정되었다. 일주문부터 천왕문까지 약 600m에 이르는 전나무 숲길과 대웅보전의 꽃살문 등이 유명하다.

내소사 경내의 국가 지정 문화재로는 부안 내소사 동종(扶安來蘇寺銅鍾)[보물 제277호],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扶安來蘇寺大雄寶殿)[보물 제291호], 「내소사 영산회괘불탱(來蘇寺靈山會掛佛幀)」[보물 제1268호]이 있고, 시도 지정 문화재로는 내소사 삼층석탑(來蘇寺三層石塔)[전라북도 유형 문화재 제124호]과 내소사 설선당과 요사[전라북도 유형 문화재 제125호]가 있다. 특히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은 1633년에 청민 대사가 지은 건물로 건축 양식이 정교하며, 단청과 보상화를 연속적으로 조각한 문의 격자가 아름답다.

[의의와 평가]

내소사 전나무 숲길은 ‘솔바람 소리에 전나무 사이로 내리는 비[松風檜雨]’, ‘4월(四月)의 신록(新綠)’, ‘겨울의 눈꽃[冬期白花]’으로 표현되는 전나무 숲 3경[檜林三景]으로 변산 팔경 중 하나이며, ‘아름다운 숲’과 ‘한국의 아름다운 길’로 꼽힌다. 대웅보전은 전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팔작집으로, 건실한 구조미와 화려한 장식이 조화를 잘 이루고 있어 조선 중기 사찰 건축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또한 설선당과 요사는 남부 지방 사찰에 남아 있는 독특한 공간 구성을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