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심는 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203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백산면 평교리
시대 시대 미상
집필자 김성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1년 7월 28일 - 「농부가」 최래옥 등이 황낙선에게 채록
채록 시기/일시 1982년 - 「상사 소리」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술조사단이 전옥선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2년 - 「모심는 소리」 『국어문학』22집에 「상사 소리」로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3년 - 「모심는 소리」 『한국구비문학대계』5-3 전라북도 부안군편에 「농부가」로 수록
채록 시기/일시 1986년 4월 30일 - 「모심기」 이소라가 김판술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모심는 소리」 『한국의 농요』-제3집에 「모심기」로 수록
채록지 평교리 -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평교리지도보기
채록지 도청리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지도보기
채록지 옹중리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옹중리지도보기
성격 민요|노동요
기능 구분 농업 노동요
박자 구조 중모리장단
가창자/시연자 황낙선|김판술|전옥선

[정의]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개설]

「모심는 소리」는 농민들이 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모내기 과정에서 주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부안군에서는 세 개의 「모심는 소리」 자료가 채록되었다.

첫째 자료는, 1983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5-3 전라북도 부안군편에 실려 있는 「농부가」이다. 이는 1981년 7월 28일 최래옥 등의 조사자가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평교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황낙선[남, 64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인데, 조사자 최래옥은 이 노래를 ‘농부가’로 명명하였다. 황낙선이 부른 이 노래는 실제 모심을 때 불렀다기보다 판소리 「춘향가」에 삽입되어 널리 알려진 「농부가」에 해당하는 곡이다. 따라서 노동요 「모심는 소리」가 아니라 남도 잡가 「농부가」로 규정하는 것이 노래의 정체성에 부합된다고 하겠다. 특히 이 노래를 부른 가창자 황낙선은 당시 조사에서 「농부가」 외에도 단가 「고고천변」, 「편시춘」, 「변산 팔경」 등을 부른 것으로 보아 판소리에 상당한 조예가 있는 제보자로 보인다.

둘째 자료는, 1984년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발간한 『국어문학』 22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82년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술조사단이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전옥선[남, 62세]으로부터 채록한 「상사 소리」이다.

셋째 자료는, 1993년 이소라가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발행한 『한국의 농요』 제3집에 실려 있는 「모심기」이다. 이는 1986년 4월 30일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옹중리에서 주민 김판술로부터 채록한 것인데, 조사자 이소라는 곡명을 ‘모심기’로 명명하였다

[구성 및 형식]

위 세 편의 「모심는 소리」는 공히 「농부가」형 민요라는 공통점이 있다. 최래옥이 조사한 자료는 제목부터 ‘농부가’로 명명하였다. 또한 황낙선은 이 노래 외에도 여러 개의 단가를 불렀다. 음원의 실체가 없어서 악곡은 확인할 수 없지만 사설 구성이나 전개가 판소리에 삽입되고, 남도 잡가로 불리는 「농부가」임이 명확하다. 이소라가 수집한 「모심기」도, 전북대학교 학술조사단이 채록한 「상사 소리」도 첨부한 악보로 볼 때 사설 구성상 남도 잡가 「농부가」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위 자료에 한정해서 부안군 「모심는 소리」는 남도 잡가 「농부가」형의 노래로써, 실제 모심는 현장에서 부르는 노동요라기보다는 전문 소리꾼들이 불러서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던 남도 잡가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농사 현장에서 불리던 「모심는 소리」가 선행적으로 존재했기에 판소리 삽입가요 「농부가」가 존재하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이 노래는 전문적인 가객들의 레퍼토리 과정을 거치면서 세련되게 개작된 「농부가」 이어서 실제 「모심는 소리」와는 구분을 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이 노래의 특성은 전문 소리꾼의 「농부가」가 역설적이게도 농민의 「모심는 소리」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이러한 유통 과정을 거친 「농부가」는 중모리장단의 「늦은농부가」에서 「자진농부가」로 장단이 빨라지면서 흥이 고조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내용]

전술한 세 편의 부안군 「모심는 소리」의 사설은 다음과 같다. 세 곡 모두 뒷소리는 “여 여 어, 여 여어, 여어어루, 상사 디여”이다.

1. 백산면 평교리 「농부가」

- 여보시오 농부님에 이내 말을 들어보소/ 아나 농부여 말들어요

- 남문전 달밝은디 순임군의 노름이요/ 화창은 푸른데 우리 산신님은 노름이요/ 오뉴월이 당도허니 우리농부 시절이로다/ 패랭이 귀에다 장화를 꽂고서/ 춤이나 추어보세

2. 부안읍 옹중리 「모심기」

- 여보시오 농부님에 이내 말을 들어보소/ 저건네야 갈미봉은 비가 잔뜩 몰아온다/ 우장을 두르고 삿갓을 써라

- 떠들어 오네 떠들어 온다/ 점심 바구니가 떠들어 온다

3. 변산면 도청리 「상사 소리」

- 전라도라 허는디는 진산이 비친 곳이 되야/ 우리농부들 상사소리를 떠드리고 거드렁 거리네

- 여보소 농부들 내말 듣소 아나 농부야 내말 듣소/ 이 배미서 심구구 장구배미루 넘어가자

- 충청도 충복숭은 주지가지가 열리고/ 강남땅 밤대추는 아그대 다그대 열렸다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