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머리물떼새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291
영어공식명칭 Oystercatcher
이칭/별칭 긴부리까치도요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기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천연기념물 지정 일시 1982년 11월 20일연표보기 - 검은머리물떼새 천연기념물 제326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검은머리물떼새 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및 보호 야생 동식물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검은머리물떼새 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2급으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 검은머리물떼새 멸종 위기 야생 생물 2급으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 검은머리물떼새 멸종 위기 야생 생물 2급으로 지정
지역 출현 장소 하섬 갯벌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지도보기
지역 출현 장소 새만금 방조제 - 전라북도 부안군지도보기
성격 조류
학명 Haematopus ostralegus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척삭동물문〉조강〉도요목〉검은머리물떼샛과〉검은머리물떼새속
서식지 무인도 |하구 삼각주|갯벌
몸길이 약 43㎝
새끼(알) 낳는 시기 4~7월
천연기념물 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제326호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서식하는 검은머리물떼샛과의 조류.

[형태]

몸길이는 약 43㎝, 날개 길이는 23~28㎝, 부리 길이는 79~109m이다. 부리 길이가 물떼새 종류에서 제일 길다. 암수의 모습이 비슷하며 머리와 가슴과 등은 검고 배 부분은 흰색이다. 날개의 윗면은 검은색이고 아랫면은 하얀색이다. 꼬리는 끝이 검고 눈과 부리와 다리는 붉은색이다. 머리와 등 부분이 검고 배는 흰색이라서 까치와 비슷하게 보여 긴부리까치도요로도 불린다.

[생태 및 사육법]

검은머리물떼새 는 주로 암초가 있는 무인도, 하구 삼각주, 갯벌 등에서 작은 무리를 지어 산다. 갯벌 속의 조개·갯지렁이·지렁이·물고기·게 등을 잡아먹으며, 해초류와 수서 곤충, 풀 등도 먹는다. 부리가 길고 단단한 점을 이용하여 조개나 굴의 단단한 껍질 사이에 부리를 집어넣어 내용물을 섭취한다. 번식기는 4~7월 사이로,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무인도의 땅과 암초 위에 접시 모양으로 둥지를 만들고 황갈색 바탕에 갈색 무늬와 회색 점이 있는 알을 한번에 2~3개 낳는다. 알을 품는 기간은 약 28~33일, 새끼를 기르는 기간은 30~35일 정도이다.

검은머리물떼새 가 우리나라에서 번식한다는 사실은 1917년 4월에 처음 알려졌으며, 그 뒤 1973년과 1974년에 알을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적은 수가 번식한다는 사실이 다시 확인되었다. 2014년에는 변산반도 국립 공원하섬 갯벌 지역에서 검은머리물떼새의 번식이 최초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부는 텃새로, 일부는 겨울 철새로 서식한다. 텃새 집단은 보통 4월에서 7월까지 주로 서해안과 동해안의 일부 섬 지역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현황]

세계적으로 유럽, 아프리카, 인도 서북부, 일본, 중국 동부, 대만 등지에서 확인된다. 국내에는 시화호, 남양만, 장항 해안, 금강 하구, 새만금 갯벌, 만경강, 순천만, 낙동강 하구 등 서남해안과 섬에서 확인되었으며, 겨울철에는 유부도가 국내 최대 월동지이다. 부안 지역에서는 변산반도 국립 공원하섬 갯벌 지역과 새만금 방조제 일대,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고창·부안 갯벌에서도 서식이 확인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에 분포하는 검은머리물떼새는 생존에 큰 위협을 받고 있는 희귀종이므로 1982년 11월 20일 천연기념물 제326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환경부 지정 멸종 위기 야생 생물 2급[2012년]으로 보호되고 있다. 검은머리물떼새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간척 사업과 해양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한 서식지 훼손이다. 최근에는 무인도 서식지에 인간이 자주 출입하여 번식을 방해하는 것이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