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미추왕릉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0391
한자 彌鄒王陵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산 27-1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이세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묘지
관련인물 비류
소재지 미추왕릉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문학산
소재지 미추왕릉 -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있다고 전해지는 비류(沸流)의 무덤.

[개설]

미추왕릉(彌鄒王陵)의 존재를 전하는 문헌 기록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권14 여지고(輿地考) 2 비류국 조(沸流國條)에는 관아에서 남쪽으로 10리 가량 떨어진 해변 가까운 구릉에 미추왕릉이 있다고 하였다. 한편 『인천부 읍지(仁川府邑誌)』 총묘 조(塚墓條)에서는 미추왕릉이 남산, 곧 지금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산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19세기에 편찬된 여러 읍지들은 『인천부 읍지』의 내용을 답습하고 있다.

이후 1942년 조선 총독부의 조사 자료인 『조선 보물 고적 조사 자료』에 의하면, 문학산성 내 정상부에 있는 만두형의 토단(土壇)을 봉화대 혹은 미추왕릉이라 한다는 전문(傳聞)이 소개되었다. 1953년 이경성의 「인천의 고적(古蹟)」에는 문학산 너머 지금의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에 미추왕릉이라는 고적이 있다는 설에 대한 기록도 보인다. 문학산성 내 봉수대 설은 『인천부 읍지』의 전승이 구체화된 것이며, 동춘동 설은 『증보문헌비고』의 전승이 구체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의 고분을 미추왕릉이라 한다는 전승은 이후 1956년의 『인천 향토 사료』와 1959년의 『인천의 안내』, 그리고 1973년에 나온 『인천시사』에 그대로 수록되어 보편적인 전승으로 자리 잡아 갔다. 또 1978년 『문화 유적 총람』에서는 정구창 씨의 밭머리에 있는 고분을 미추왕릉이라 한다고 하였고,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의 청릉(靑陵)이란 지명을 미추왕릉과 연계하고자 하는 견해도 보인다.

반면 미추왕릉문학산에 있다는 전승은 1965년 이종화의 『문학산』에서 구체적으로 그 위치가 제시되었는데, 문학산 북록 돌출부에 있는 고분을 마을 주민들이 비류왕릉이라 한다며 사진 자료와 함께 소개하였다. 문학산 설은 다시 산 정상의 토단 혹은 북쪽 사면 돌출부의 고총이라는 두 전승으로 갈라진다. 『증보문헌비고』와 『인천부 읍지』에서는 공통적으로 석인(石人)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나, 이 점이 의문이다. 백제 초기에 석인을 세운 무덤이 있을 수는 없으므로 후대 수축이거나 고려 시대의 무덤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미추왕릉의 위치에 대한 전승은 그 타당성 여부를 명확히 하기 어렵다. 다만 18세기 후반에 생성되어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윤색이 가해진 것은 분명하다 할 수 있다.

[위치]

미추왕릉의 위치에 대해서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산27-1번지에 있는 문학산성 봉수대로 보는 설과 동춘동 청릉으로 보는 설이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미추왕릉에 대해서는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자료는 없고, 군부대 주둔과 택지 개발로 인해 모두 파괴된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