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특정 종교와 관련 없이 민간에서 지속적으로 내려오던 개인 신앙과 가정 신앙, 공동체 신앙을 포함한 다양한 신앙. 민간신앙은 오랜 세월 동안 우리 민족이 살아오면서 겪었던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자연적으로 나타난 크고 작은 신앙과 제의, 속신 등을 말한다. 개인적으로는 작은 금기나 믿음, 의료 행위부터 넓게는 마을과 지역에서 내려오는 제사까지 넓은 범주를...
-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내경리의 고래탑에서 시행되는 마을 제의. 고래탑은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내경리(內鯨里)의 마을 이름과 연관되는 조형물이다. 내경리의 '내경'은 한자로 안 내(內) 자에 고래 경(鯨) 자를 쓴다. 그래서 내경리에서는 마을 이름과 관련하여 고래에 관한 전설도 만들어져 전해 온다. 고래가 마을을 상징하는 동물이라 하여 1993년에 돌로 고래탑을 세웠고...
-
충청남도 당진에서 매년 4월에 치러지는 마을 제사. 국수봉 당제는 현재는 기지시 줄다리기 행사 전야제 성격으로 지내지만 원래는 줄다리기와는 별도의 동제였다. 기지시 줄다리기가 국가 중요 무형 문화제로 지정되면서 기능 보유자로 지정받은 이우영(李禹永)이 기지시 줄다리기의 전야제처럼 지내는 것으로 시기를 조정했다고 한다. 지금은 기지시 줄다리기 행사...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가뭄에 지내는 비가 오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우리나라의 농업은 적기에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 벼농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 중기부터 보급된 이앙법으로 인해 물의 필요성은 더욱 간절해졌다. 특히 우리나라의 기후상 3~4월과 6월 말 가뭄이 빈번하여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 가뭄은 국가적으로도, 지역적으로도 반드시 극복해야 할 재해 중 하...
-
충청남도 당진에서 앉아서 독경 위주로 하는 무속 의식. 한국의 굿은 북방 계열은 강신무(降神巫)의 선굿 위주이고, 남방 계열은 세습무(世襲巫)의 앉은굿이 주를 이룬다. 당진 지역의 무 의식(巫儀式)도 남방 계열에 속하기는 하지만 세습무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또 강신무라고 해서 앉은굿을 전혀 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강신무도 무경(巫經)을 배우고 무의(巫儀)...
-
충청남도 당진에서 병을 치료하기 위해 행하는 민간 신앙. '동토'는 '동티'의 사투리인데, 당진 지역에서는 보통 '동투'라고도 한다. 동토는 큰 나무나, 땅 등을 잘못 다룬 탓에 집안에 재앙이 생기거나 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동토잡기는 지금은 사라진 민속 중의 하나다. 동토는 주로 그 해에 드는 삼살방(三煞方)을 건드리면 생기는 것이라 한다. 삼살방이란 음기(陰氣)의...
-
충청남도 당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산신에게 드리는 제례 의식. 산신제는 '산치성', '산제'라고도 하는데, 크고 작은 산에서 산을 관장하는 산신에게 제사를 드려 한해의 풍요와 평안을 기원하는 제례 의식이다. 지역 마을 공동체에서의 마을 신앙으로서 마을의 풍요와 평안을 기원하였으며, 제사 과정에서의 위계와 협조 과정을 통한 공동체의 결속 기능을 가졌다....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점원리에서 매년 정초에 마을의 안녕과 화평을 기원하며 지내는 동제. 상궁원 노신제는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점원리 상궁원(上宮院)에서 매년 음력 정월 첫 묘일(卯日)에 행하는 마을 제의이다. 전형적인 축액초복을 위한 동제(洞祭)이다. 마을로 들고 나는 동서남북의 길을 통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액(厄)을 막고, 멀리 있는 복(...
-
충청남도 당진시의 서낭당은 길가나 마을 입구 등에 주로 길손이나 가정 주부가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던 전래 민속 신앙처 서낭은 서낭당, 성황당 등으로도 불리는데 당을 짓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신목 주위에 돌무더기가 쌓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정에서 제를 지내는 경우도 있지만 서낭 앞을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돌을 던지고 가는 경우가 많았다. 서낭제는 가정의 안녕과 행복을...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가정의 복과 안녕을 관장하는 가정의 최고신. 성주는 가정에서 모시는 신의 하나로 집의 건물을 수호하며 성주대신, 상량신 등으로 불린다. 집의 수호신으로 성주를 새로 모시는 굿을 성주받이라고 한다. 음력 10월에 길일을 택하여 성주제를 지낸다. 성주신은 가정의 복과 안녕을 관장하는 신으로 믿었기 때문에 지극한 정성으로 제사를 지냈다. 햇곡...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에 있는 은행나무 목신을 기리는 마을 제의. 은행나무제는 면천면에 소재한 면천 초등학교 내의 은행나무 두 그루의 목신을 기리며 매년 음력 1월 14일 13~15시에 지내는 마을 제의이다. 목신인 은행나무는 천연기념물 55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은행나무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중간에 중단되었다가 1976년 재개...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대치리 마을 입구에 세워진 장승에 매년 지내는 동제. 장승백이 장승제는 당진시 면천면 대치리 마을 입구에 세워진 장승에 매년 음력 2월 1일 지내는 동제이다. 면천면 율사리에서 대치리로 넘어가다 보면 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의 지명이 장승백이이다. ‘장승백이’는 장승과 연관된 지명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옛날에 이곳에 장승이...
-
충청남도 당진에서 음력 정월 보름날에 장승에 지내는 제사. 장승제는 마을 어귀나 고갯마루 등에 세운 장승에 잡귀와 질병, 재앙을 막고자 제사를 지내는 민간 신앙이다. 장승은 마을 입구 길 옆에 세워 밖에서 들어오는 잡귀나 재앙, 질병을 막는 수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장생(長生), 장승(長承, 將丞) 등으로 기록되기도 한다. 장승은 나무나 돌로 만드는데, 대부...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부엌의 아궁이와 부뚜막을 맡고 있다고 믿는 가신. 조왕신은 조왕님, 조왕 할매로 불리며 한국 전통에서 불의 신, 재물 신으로 인식된다. 조왕은 원칙적으로 불을 모시는 신앙이며,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불씨를 신성시하여 꺼지지 않게 관리하거나, 이사간 집에 성냥을 가지고 가는 풍습 등은 이러한 신앙에서 유래된 것이다. 일본이나 중국에서도 비슷한...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참봉’은 당진시 고대면 성산리 지역에서는 '도깨비'를 이르는 것이다. 당진 지역에서는 참봉을 부신(富神), 풍어신(豊漁神)으로 믿기 때문에, 살[고기를 잡기 위해 설치한 독살이나 어살]을 매는 집에서는 움막 형태의 참봉을 만들어 세우고 풍어를 빌기 위하여 참봉제를 지낸다. 참봉제는 정월 보름 날 가장 성대하게 지낸다...
-
충청남도 당진에서 풍어와 항해의 안전을 기원하면서 지내는 마을 제의. 바다는 육지와 달리 항상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곳이라서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풍어제를 통해 풍어를 기원하면서, 동시에 항해의 안전을 기원했다. 특히 서해안권에서의 풍어제는 인근 태안군의 황도 붕기 풍어제와 함께 안섬의 풍어제가 충청남도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풍어제는 바다가 보이는...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한진리에서 풍어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여 지내는 새해맞이 제의. 한진리 당제는 안섬 당제, 성구미 당제와 더불어 당진 서해안 해양 문화를 상징하는 새해맞이 의례이자 마을의 축제이다. 해마다 음력 정월 첫 진일(辰日)에 당산에 올라가 제를 모시고 이튿날 하산해 배고사를 지내는 형식을 가지고 있다. 당제는 마을 최고 조직인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