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삼척문화대전 > 삼척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 전승·언어·문학) > 구비 전승 > 민요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예로부터 민중 사이에 불려 오던 전통노래. 강원도 삼척 지역의 민요는 「지신밟기소리」 같은 세시의식요(歲時儀式謠)를 비롯해 윷놀이나 화투를 치며 부르는 유희요(遊戱謠), 논밭을 매며 부르는 「메나리」 같은 노동요(勞動謠) 등 종류가 다양하다. 민요는 그 기능과 상황, 시대에 따라 존속하거나 사라진다. 일의 효율성을 위해 불리던 노동요도 기...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민중들이 노동을 하면서 부르던 민요. 강원도 삼척 지역의 농업노동요에는 「논쓰레질소리」, 「메나리」, 「논매는소리」, 「영감아」, 「밭매는소리」, 「길쌈소리」, 「목도소리」 등이 전승되고 있다. 「메나리」와 「목도소리」는 농업노동요의 기본이 되는 노래로, 특히 「메나리」는 삼척시에서 농요적 기능만을 가진 거의 유일한 노래로 알려져 있다....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의식을 진행하면서 부르는 민요. 의식요에는 주로 사람의 일생에 맞추어진 통과의례와 한 해 동안의 세시명절에 따르는 의례를 거행하면서 부르는 민요가 있다. 의식을 거행하면서 부르는 민요 중에는 의식 자체가 기능상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는 것들이 있다. 「지신밟기노래」나 「다리밟기노래」는 지신을 누르고 새해를 축하한다는 행사에 불리는 민요지만, 정월보름을...
-
강원도 삼척시에서 민중들이 어업활동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 어업노동요는 대부분 바다를 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해안 지역의 사람들이 어업을 할 때 부르는 노동요를 어업노동요라고 한다. 어업노동요는 재래식 그물을 이용한 조업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의 노동요로 나누어진다. 삼척시의 어업노동요는 「노젓는소리」, 「가랫소리」가 전해지고 있는데 농업노동요만큼 많이 전승되지는...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놀이를 하면서 진행하거나 즐거움을 보태기 위해 부르는 민요. 놀이는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삶에 활기와 즐거움을 가져다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놀이는 단순히 쉰다는 개념을 떠나서 노동력 재생산을 위한 충전의 방법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러한 놀이에 노래는 삶의 재미와 즐거움을 극대화하면서 놀이하는 주체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불리던 아이들의 노래. 전래동요란 예부터 전승되어 온 노래로서 아이들이 즐겨 불렀다. 삼척시에서도 일찍부터 다양한 전래동요가 전승되고 있다. 방망이점은 삼을 삼다가 도구를 잃어버리면 도구를 찾기 위해 방망이를 들고 「방망이점노래」를 하면 방망이에 신이 내린다. 그때 방망이가 가는 곳으로 따라 가면 잃어버린 도구가 있다. 이와 유사한 노래로 「춘향이노...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농요. 「메나리」는 삼척시의 농요를 대표하는 민중의 소리다. 「삼척메나리」는 노동의 도구인 동시에 놀이의 역할을 하는 민요였다. 고된 농사의 어려움을 잊고 풍년을 소망하면서 「메나리」를 불렀다. 「삼척메나리」는 독창, 혼자부르기 위주이다. 소리꾼이 흥을 돋우어 주기도 하고, 한 사람이 한 구절을 부르거나 한 수를...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황장목을 벌목하면서 불렀던 노래. 강원도 삼척시는 남으로 백두대간이 줄기차게 내리뻗고 동서로 높고 가파른 고개가 우거져 아름드리나무들이 가득하다. 이 나무들을 금강송이라 부르고, 때로는 황장목이라고도 부른다. 금강송이란 단단한 나무를 이르는 말이고, 황장목(黃腸木)은 나라에서 사용하려고 금표를 설치하여 관리하는 금강송을 이르는 말이다.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