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1237 |
---|---|
한자 | 御製詩 |
영어공식명칭 | The King’s Poetry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이창식 |
강원도 삼척 지역을 대상으로 왕이 직접 지은 시.
어제시(御製詩)는 왕이 직접 지은 시로, 자신의 통치 신념과 국가 및 백성을 향한 마음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도 한다. 조선의 왕 가운데 숙종은 삼척의 죽서루를 주제로 직접 시를 짓기도 하였다. 숙종 외에도 정조는 김홍도(金弘道)[1745~1806?]가 어명을 받고 그린 금강사군첩(金剛四郡帖)[금강산 일대 4개 군의 명승지를 그려낸 화첩] 가운데 일부인 죽서루의 그림을 보고 직접 어제시를 짓기도 하였다.
숙종과 정조가 삼척 죽서루를 시(詩) 대상으로 지은 어제시는 기승전결 구조로 된 7언 절구 형태이다.
숙종의 어제시는 숙종이 죽서루의 풍경을 칭송하고 이를 시로 지어 삼척부사 이상성(李相成)[1663~1723]에게 편액을 조각하여서 걸게 하였다.
율올층애백척루(硉兀層崖百尺樓)[위태로운 벼랑 위에 우뚝 솟은 백척루]
조운석월영청류(朝雲夕月影淸流)[아침엔 구름 저녁엔 달 맑은 물에 비치네]
인린파리어부몰(粼粼波裡魚浮沒)[맑디맑은 물결 속에서 고기떼 뛰놀고]
무사빙연압백구(無事凭欄狎白鷗)[한가로이 난간에 기대 백구를 희롱하네]
조석휴애기일누(彫石鐫崖寄一樓)[돌 다듬고 절벽 다듬어서 세운 누각 하나]
누변창해해변구(樓邊滄海海邊鷗)[누각 옆은 푸른 바다요 해변에는 갈매기라]
죽서태수수가자(竹西太守誰家子)[죽서 태수는 누구 집 아들인가]
만재홍장복야유(滿載紅粧卜夜遊)[미녀 가득 싣고 밤 새워 뱃놀이 하는도다]
어제시는 5언 절구와 7언 절구로 지어졌다. 숙종과 정조가 죽서루를 주제로 지은 어제시는 7언 절구이다.
숙종과 정조의 어제시는 동시에 죽서루를 시제 대상으로 하는 누정시로서의 의의가 있다. 삼척 지역에 대한 임금의 정겨운 심정이 드러나는 시로, 문학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