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1233 |
---|---|
한자 | 崔生遇眞記 |
영어공식명칭 | Choisaeng Ujingi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이창식 |
조선 중기 신광한(申光漢)[1484~1555]이 지은 한문소설.
강원도 삼척 지역의 두타동천무릉계곡을 배경으로 주인공 최생의 신선 체험을 허구화한 것이다.
「최생우진기」는 구성이 『금오신화』의 「용궁부연록」과 흡사하다. 그러나 신선계와 현세를 사자를 타고 이동하는 「용궁부연록」과 달리 학을 타고 이동하며, 최생의 신선 체험이 증공선사에게 직접 전해지는 구성이다.
강릉의 최생이라는 선비는 일찍 속세를 등지고 증공선사와 두타산무주암에서 은거하고 있었다. 최생은 청낭비결을 읽다가 동천으로 들어가면 선계를 체험할 수 있다는 선사의 말을 듣고 실천해 보기로 하였다. 증공선사와 함께 동천에 들어간 최생은 증공선사와 헤어지게 되고, 몇 달 후 학을 타고 돌아와 증공선사에게 자신의 신선 체험을 이야기한다. 이야기 속에서 최생은 용추동굴을 통하여 수부에 들어가 조종전의 청령각으로 가게 되었다. 그곳에는 동선(洞仙), 도선(島仙), 산선(山仙) 등 삼선이 초대를 받아 와 있었다. 최생은 그들 삼선과 함께 노래와 춤을 추며 즐겁게 지냈다. 최생은 용왕의 권유로 용궁회진시(龍宮會眞詩) 30운(韻)을 지어서 용왕에게 주었다. 용궁에 관심을 보이는 최생에게 삼선의 한 명인 동선이 목숨을 연장하는 약을 주며 10년 후에 봉래도(蓬萊島)에서 만나자는 약속을 하고 돌아갔다. 최생은 학을 타고 무주암으로 돌아왔다. 최생이 실종된 지 수개월이 지난 뒤였다. 최생은 그 뒤 세속에 관심을 끊고 생활하였다.
최생이 자신의 경험을 증공선사에게 이야기하고, 증공선사가 다시 그 이야기를 여러 사람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신선계 이야기가 퍼져 나가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최생의 신선 체험이라는 비현실 이야기와 독자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 및 공간상 거리가 이러한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틈을 메워 이야기의 신빙성을 부여한다.
주인공의 신선 체험을 통하여 풍류를 즐기는 선비 정신을 고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