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0827 |
---|---|
한자 | 靈隱寺 |
영어공식명칭 | Yeongeunsa Temple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기관 단체/사찰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 |
집필자 | 심일종 |
건립 시기/일시 | 891년(진성여왕 5)![]() |
---|---|
이전 시기/일시 | 1567년(명종 22)![]() |
폐찰 시기/일시 | 1592년(선조 25)![]() |
개칭 시기/일시 | 1641년(인조 19)![]() |
중수|중창 시기/일시 | 1805년(순조 5)![]()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2년 11월 3일 - 삼척영은사대웅보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6호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2년 11월 3일 - 삼척영은사팔상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7호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6년 11월 19일 - 삼척영은사괘불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8호 지정 |
최초 건립지 | 궁방사 - 궁방산 및 마전평 |
현 소재지 | 영은사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길 1162
![]() |
성격 | 사찰 |
창건자 | 범일국사 |
전화 | 033-572-0689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월정사 소속 사찰.
영은사(靈隱寺)의 창건 시기는 891년(진성여왕 5)으로 알려져 있는 가운데 범일국사(梵日國師)가 궁방산(宮房山) 밑 마전평(麻田坪)에 절을 창건하고 궁방사(宮房寺)라 한 것이 이 절의 최초 창건이다. 『척주지(陟州誌)』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궁방사 밑에 쌍석 돌독이 있는데 이는 옛 부도(浮屠)로, 선혜(善惠)의 사리를 넣어 두었다 한다. 또 한 사미승이 있었는데 그가 죽어서 화장하여 두골(頭骨)을 간직하였다고 한다. 나중에 요사스러운 기운이 있어 부도는 헐어 없애고 돌독만 남겨두었다.” 조선시대의 억불정책에 따라 폐사된 적이 있다. 1567년(명종 22)에 사명당유정(惟政)이 궁방사와는 다소 거리가 먼 지금의 위치로 절을 옮겨서 중창하고 운망사(雲望寺)라 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의 병화로 절이 완전히 불타자 1641년(인조 19) 승려 벽봉(碧峰)이 중건하고 절 이름을 영은사로 바꾸었다. 1804년(순조 4) 봄에 산불로 대웅보전 등 10여 동의 건물이 모두 불타자 이듬해 10월 서곡화상(西谷和尙)이 삼척부사 심공저(沈公著)[1741~?]의 지원으로 재건하였다. 1810년에는 승려 학송(鶴松)이 석가여래삼존불을 봉안하였으며, 1855년(철종 6)에는 승려 서암(西岩)이 괘불(掛佛)을 조성하였다. 그 뒤 1864년(고종 원년)에 심검당(尋劍堂)을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영은사에는 동해삼화사(三和寺)와 함께 약사삼불(藥師三佛)의 창건 설화가 전해진다. 약사삼불은 인도에서 온 3명의 승려를 말한다. 이들은 용 또는 돌배를 타고 불래진(佛來津)에 도착하였다고 전해진다. 세 승려는 두타산의 네 모퉁이에 절을 지었다. 동쪽은 청련(淸蓮)을 가지고 와서 지상사(池上寺)를 짓고, 남쪽은 금련(金蓮)을 가지고 와서 영은사를 짓고, 북쪽은 흑련(黑蓮)을 가지고 와서 삼화사(三和寺)를 짓고, 서쪽은 백련(白蓮)을 가지고 와서 천은사(天恩寺)를 지었다고 한다. 또 이 절에 봉안되어 있는 괘불은 펼치면 비가 오고 바람이 분다는 전설이 있다.
현존하는 전각으로는 대웅보전, 팔상전, 심검당·설선당·칠성각·요사채 등이 있다. 대웅보전 안에는 1810년에 봉안한 석가모니불, 문수보살, 보현보살의 삼존불이 모셔져 있다. 또 불상과 함께 조성한 후불탱화, 신중탱화, 감로탱화 등 5종의 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1941년에 주조한 신라고식(新羅古式)의 동종(銅鐘)도 있다.
팔상전은 1641년에 건립한 건물로, 1804년 화재 때 유일하게 화재를 면해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내부에는 1760년(영조 36)에 그린, 석가모니의 일생이 담겨 있는 탱화 8점이 봉안되어 있었지만 지금은 은밀히 보관하고 있다. 칠성각에는 1923년에 조성한 칠성·산신·독성의 탱화와 함께 범일국사 및 사명당의 진영(眞影)이 봉안되어 있다.
이 밖에 절 입구에 1770년(영조 46)에 건립한 월파당선사부도(月波堂禪師浮屠) 등 3기의 부도가 있고, 1830년(순조 30)에 건립한 사적비가 있다. 괘불은 승려 서암이 조성한 것으로, 보존 상태가 매우 좋다.
삼척 영은사에는 강원도유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된 대웅보전, 강원도유형문화재 제77호로 지정된 팔상전, 강원도유형문화재 제108호로 지정된 괘불 등의 문화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