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0615 |
---|---|
한자 | 全體俊 |
영어공식명칭 | Jeon Chejun |
이칭/별칭 | 송헌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효자·열녀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전제훈 |
추모 시기/일시 | 1903년(광무 7) - 전체준 정려 |
---|---|
추모 시기/일시 | 1998년 - 전체준 효자비각 중건 |
사당|배향지 | 전체준 효자비각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장전리 산32
![]() |
성격 | 효자 |
성별 | 남 |
본관 | 정선 |
근대 개항기 삼척 지역 효자.
전체준(全體俊)의 본관은 정선이고, 호는 송헌(松軒)이다. 가선대부 전팔경의 후손이다. 아들은 전시연이다.
전체준은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를 섬겼는데 부친이 병으로 한 달이 넘도록 고생하셨다. 그래서 의원에게 보였더니 사슴의 간이 부친의 병을 고칠 수 있는 약이라고 진단해 주었다. 전체준은 부친의 병이 낳기를 하늘에 기도한 지 사흘째 되던 날 밤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서 사슴이 있는 곳을 가르쳐 주었다. 그곳에 가서 아버지의 병환을 낳을 수 있다는 약인 사슴을 잡아서 집으로 돌아왔다. 그 길에는 호랑이가 따라오면서 지켜 주었다고 한다. 전체준은 나이 60세에 아버지 상을 당하여 3년 동안 고기와 생선을 먹지 않았다고 한다.
전체준은 1903년(광무 7)에 살아서 효자정려를 받았다. 전체준 효자비의 기문(記文)을 궁대(宮大) 이지하(李之夏)가 글을 지었다.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장전리 산 32번지에 있는 전체준 효자비각에는 ‘효자각(孝子閣)’이라는 편액을 걸어 두었다. 현재의 효자각은 1998년에 중건된 것이다. 비각 내에는 1904년(광무 8) 완산인 이지하가 전체준의 아들인 전시연의 요청에 의하여 그의 효행을 소개한 기문을 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