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0610 |
---|---|
한자 | 李敏夏 |
영어공식명칭 | Lee Minha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효자·열녀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전제훈 |
추모 시기/일시 | 1890년 - 이민하 정려 세움 |
---|---|
거주|이주지 | 이민하 거주지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매원리
![]() |
성격 | 효자 |
성별 | 남 |
본관 | 전주 |
개항기 삼척 지역 효자.
이민하(李敏夏)의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진사(進士) 이계(李桂)의 후손이다.
이민하는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모든 힘을 다하여 어머니를 섬겼다. 어머니가 병이 나자 정성을 다하여 간호하였다. 그러나 1년이 지나도 어머니의 병환은 낫지 않았다. 이민하는 어머니의 병이 하루 속히 낫도록 해 달라며 간절히 하늘에 빌고 또 빌었다. 어느날 꿈속에 신이 나타나 어머니의 병을 낫게 해 주는 약초를 가르쳐 주었다. 이민하는 이 약초를 캐서 어머니에게 달여 복용시켰더니 병이 나았다고 한다. 또 어머니가 꿩고기가 먹고 싶다 하여 목욕재계하고 하늘의 별을 보며 빌고 빌었다. 그랬더니 갑자기 꿩이 날아와서 엎드리기에 잡아서 어머니에게 고와 드렸다고 전한다.
이민하의 효행으로 1890년(고종 27)에 효자 정려(旌閭)가 내려지고, 지평(持平) 벼슬이 주어졌다. 위원(委員) 조한상(趙漢商)이 글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