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0477 |
---|---|
한자 | 濬慶墓永慶墓位土成冊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엑스포로 54 삼척시립박물관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배재홍 |
저술 시기/일시 | 1899년(광무 3)![]() |
---|---|
소장처 | 삼척시립박물관 -
강원도 삼척시 엑스포로 54
![]() |
성격 | 문헌 |
편자 | 영건청 |
표제 | 준경묘영경묘위토성책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준경묘와 영경묘 소속 위토를 묘소별로 정리하여 엮은 책.
『준경묘영경묘위토성책』은 1899년 10월에 영건청에서 준경묘와 영경묘 위토 14결 5부 1속 4모를 묘소별로 정리하여 엮은 책이다.
1899년(광무 3) 7월에 영건청(營建廳) 당상(堂上) 이중하(李重夏)의 건의로 삼척군의 옛 평릉역 역토(驛土) 가운데에서 준경묘에 7결 29부 3속, 영경묘에 6결 75부 8속 4모의 토지를 각각 위토(位土)로 지급하였다. 이때 지급된 두 묘소의 위토를 영건청에서 1899년 10월에 정리하여 ‘준경묘영경묘위토성책(濬慶墓永慶墓位土成冊)’으로 작성하였다.
『준경묘영경묘위토성책』의 규격은 가로 18㎝, 세로 23㎝이다. 장수는 총 23장이며, 실끈으로 묶어 책으로 만들었다.
준경묘와 영경묘 위토 총 14결 5부 1속 4모[425두 8승락]를 묘소별로 정리하였다. 준경묘 위토 7결 29부 3속[221두락]과 영경묘 위토 6결 75부 8속 4모[204두 8승락]를 소속 역별로 나누어 필지별 등급, 면적, 도조액, 소작인 등을 기록하였다.
준경묘의 위토는 평릉역을 비롯한 신흥·교가·용화역 소속이다. 필지 수는 상답이 59필지, 중답이 46필지 등 총 105필지이다. 소작인은 총 105명이고, 도조액은 184석 10두 8승이다. 영경묘의 위토는 평릉역을 비롯한 사직·옥원역 소속이다. 필지 수는 상답이 46필지, 차상답이 5필지, 중답이 35필지 등 총 86필지이다. 소작인은 총 105명이고, 도조액은 185석 7두 7승이다.
『준경묘영경묘위토성책』은 준경묘와 영경묘의 재정 형편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이와 함께 당시 삼척 지역 농민들의 토지 경영과 소작인의 존재 양상, 소작료 액수 등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