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0397 |
---|---|
한자 | 孟芳里古城 |
영어공식명칭 | Maengbangri Castle |
이칭/별칭 | 맹방고성,자성산성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 산31 |
시대 | 고대/삼국 시대 |
집필자 | 이상수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4년 - 정석교에 의해 조사 보고 |
---|---|
현 소재지 | 맹방리 고성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 산31
![]() |
성격 | 성 |
양식 | 토석혼축성 |
관련 인물 | 김은정 |
크기(높이,길이,둘레) | 약 700m[둘레]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에 있는 고대 성터.
맹방리 고성(古城)의 내력과 관련하여 여러 문헌에는 단편 기록이 전해 오고 있다. 즉 삼척부사 허목(許穆)[1595~1682]이 편찬한『척주지(陟州誌)』에는 “맹방 옆에 고성이 있는데 세월이 오래되어 그 연대를 알 수 없다.”고 하였고, 『척주지』의 동일한 조항에 “해리현(海利縣)은 김부식이 말하기를 옛날 고구려 때는 파리현(波利縣)이라 했고, 지금 교가(交柯)의 서쪽에 옛 성이 있다. 가정 연간에 이곳 소리(小吏) 김은정(金殷鼎)이 성 밑 냇물 가운데에서 파리라고 하는 현명 두 자를 새긴 돌을 얻었다고 한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19세기에 김종언(金宗彦)이 편찬한 『척주지』에 따르면 부남고성과 관련하여 “옛날 교가(交柯)로 옛 해리현(海利縣)을 이른다.”라고 하여 맹방 고성과 광태리 고성[부남고성]에 대한 인식이 서로 섞여 있다. 또 1916년 심의승(沈宜昇)이 발간한 『삼척군지(三陟郡誌)』에는 “근덕면 하맹방리 서쪽에 자성산(子城山)이 있으며, 토성 옛터는 둘레가 약 18정(町)에 이르는데 신라 때 자성첨사(子城僉使)가 거주한 곳이라는 말이 전한다.”라고 하였다.
이 성터에 대한 최초의 조사 보고는 1984년 정석교에 의해 이루어졌다. 당시 보고자는 문헌상에 보이는 자성산성(子城山城)을 맹방고성(孟芳古城)으로 이해하여 하맹방리 북서쪽에 위치한 자성산[해발 56m]의 남동 능사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하는 성터에 주목한 바 있다. 이곳은 2001년 6월~2009년 12월 7번국도삼척~원덕 간 4차로 확장 공사로 도로가 자성산을 관통하여 산성이라 추정할 수 있는 건물지(建物址)와 수원(水源)이 사라졌다고 한다.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 산31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성터[성지(城址)]는 포곡식(包谷式) 산성으로, 해발고도 20~50m에 위치하는 토석혼축성(土石混築城)으로 추정되고 있다. 북쪽과 동쪽의 외측은 급사면을 이루고, 서쪽은 능선으로 분리되며, 남쪽으로 향한 입구는 극히 좁은 편이다.
완경사의 곡지(谷地)는 건물지로서 기와편이 산재해 있었으며, 일제 강점기에 퇴비장(堆肥場)을 만들기 위하여 인근 주민들이 성벽의 돌을 가져다 사용했다고 한다. 우물 흔적이 있으며, 둘레는 약 700m이다. 성벽은 대부분 허물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그 정확한 위치와 현황은 알 수 없다.
일명 ‘자성산성’으로도 불리는 맹방리 고성은 현재 그 정확한 소재지와 현황이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단편성 문헌 기록과 1984년 보고자료 등을 고려할 때 삼국시대 신라의 군사 거점 성으로 활용한 산성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이 지역의 고대 관방 유적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의미가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