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0269 |
---|---|
한자 | 交可驛 |
영어공식명칭 | Gyogayeok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지명/고지명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유재춘 |
비정 지역 | 교가역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교가리
![]() |
---|---|
성격 | 역 |
조선시대 삼척 지역에 소재한 역.
교가역(交可驛)은 조선 초기 3개 역로 가운데 평릉도에 속한 역의 하나이자 삼척도호부에 속한 5개 역 가운데 하나였다. 18세기 교가역은 찰방이 주재하는 평릉도 본역이었다.
조선 초기 강원도의 역은 보안도(保安道), 대창도(大昌道), 평릉도(平陵道) 등 3개 역로에다 속역이 57개였다. 그러다가 고려 말 조선 초에 여러 곳의 역을 통합 또는 이설하거나 명칭의 개칭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후 1455년(세조 1)에 대창도와 보안도를 합하여 대창도라 하고 찰방(察訪)을 파견하였다. 그후 역로는 점차 정비되어 1462년(세조 8) 8월에 은계도(銀溪道 )[속역 17, 찰방], 보안도[속역 30, 찰방], 평릉도[속역 15, 역승], 상운도(祥雲道)[속역 16, 역승] 등 4개 역로로 개편되었다. 이러한 속역의 수는 『세종실록지리지』에 기재되어 있는 3개 역로, 57개 역에 비하면 21개 역이 늘어난 것이지만 이는 실제로 역이 증설된 것이 아니다. 동(同) 지리지의 지역별 기록에 나타난 역수가 총 79개에 이름으로써 유사한 수에 불과하다. 세조 대에 정비된 역도는 『경국대전』에 거의 그대로 기록되었다.[4개 역도, 속역 78] 이는 일부분 역의 신설이나 이전 등이 있었지만 대체로 조선 후기까지 유지되었다. 교가역(交可驛 )[‘交柯’로도 표기됨]은 조선 초기 3개 역로에서 평릉도에 속한 역 가운데 하나이자 사직(史直), 평릉(平陵), 용화(龍化), 옥원(沃原)과 함께 삼척도호부에 속한 5개 역의 하나였다. 옛 명칭은 교하(橋河)이다. 『경국대전』에서는 평릉도에 속한 15개 역 가운데 하나였으며, 조선 후기에는 삼척에 속한 6개 역[기존 역에 신흥역 추가] 가운데 하나였다. 18세기 중반경에 교가역은 찰방이 주재하는 평릉도 본역(本驛)이었다. 여기에는 대마(大馬) 1필, 기마(騎馬) 2필, 복마(卜馬) 8필, 역리 70명, 역노(驛奴) 16명, 역비(驛婢) 7명이 소속되어 있었다.
교가역은 현재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교가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