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0069 |
---|---|
한자 | 南華山 |
영어공식명칭 | Namhwasan |
이칭/별칭 | 임원산(臨院山)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리 |
집필자 | 김창환 |
해당 지역 소재지 | 남화산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리
![]() |
---|---|
성격 | 산 |
높이 | 140.9m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리에 속하는 산.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리에 있는 해발고도 140.9m의 산이다. 남화산 정상부에는 봉수가 있었지만 지금은 수로부인 헌화공원이 있다.
남화산은 본래 지역 이름인 임원리로부터 유래되어 임원산이라 불렸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뚜렷한 이유 없이 남화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남화산은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류로 이루어진 산으로 동쪽 사면은 암석 해안으로 이루어져 바다 풍경이 절경을 이룬다.
남화산이 위치한 임원(臨院)은 원래 만년원이란 지명으로 불리웠다. 만년원(萬年院)은 조선 시대에 여행자에게 숙박 기능을 했던 원(院) 취락이 있었던 곳으로 바다와 접해 있다는 의미로 만들어진 지명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만년원은 삼척부 남쪽 70리[약 27㎞]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남화산 정상부에는 봉수가 있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임원산 봉수는 삼척부 남쪽 80리[약 31㎞]에 있다. 남화산 북쪽으로 초곡산(草谷山)에 응하고, 남쪽으로 가곡산(柯谷山)에 응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동여지도』에는 낙동정맥에서 남화산까지 이르는 산세가 잘 묘사되어 있다.
현재 임원항 뒤편에 있는 남화산 정상에는 ‘수로부인 헌화공원’이 있다. 이 공원은『삼국유사』에 등장하는 ‘헌화가’와 ‘해가’ 속 수로부인 이야기를 토대로 만들어진 공원이다. 남화산 ‘해맞이 공원’이라고도 한다. 공원의 상징물이라고 할 수 있는 초대형 수로부인 상은 높이 10.6m, 가로 15m, 세로 13m, 중량 500톤에 달하며, 자연석으로 조성되어 관광객들의 감탄을 자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