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산양리에 위치한 기독교감리회 소속 교회. 하가교회는 삼척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로, 1910년에 설립되었다. 1910년 3월 홍종명의 사위 전오규[독립운동가]가 기독교 신앙을 통한 자주독립의 확고한 믿음의 권유로 처음 기독교 신앙을 소개받아 설립하게 되었다. 1916년 3월에 초가집 3칸을 기도처로 건축하였고, 1942년에 일제의 신사...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에는 오십천을 건너는 곳이 위, 아래 두 곳이 있다. 위쪽에 있는 곳을 속어로 ‘웃 그는 나들이’, 아래쪽에 있는 곳을 ‘아래 그는 나들이’라 하다가 이것이 와전되어 거노리(巨老里)가 되었다. 그 가운데 ‘아래에 있는 거노리’라 하여 하거노리(下巨老里)라 하였다. 조선 연산군 때 정태호(鄭泰浩), 숙종 때...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에 있는 법정리. 상군천리와 하군천리를 통칭하여 구무내, 구멍내[공천(孔川)]라 불렀다. 구무내란 말은 옛날에 마을 진입로 남북의 산이 서로 이어져서 수로(水路)가 산에 구멍을 뚫고 나온 것에서 유래하였다. 구무내가 와전되어 군천(軍川)이 되었다. 조선 선조 때 안공헌(安公獻)이 이주하고 이후 삼척 김씨, 정선 전씨, 밀...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하군천리에서 행해지는 산신신앙. 산에서 각종 약재·버섯 등을 재배, 채취하기에 올 한 해도 산에서의 안전과 많은 수확, 판매 등을 기원하기 위해 새벽에 보살과 법사를 초빙하여 부모님 세대부터 산치성을 드렸던 노곡면 하군천리 할바지골에 들어가서 드리는 정성을 산치성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그 전 해에 산치성을 드려 효험을 보아서 수확이 많았거나, 매우...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점리 일원에 조성되는 특화 마을. 강원도 삼척시 도계 지역은 삼척 탄전지대의 중심지로서 연간 100만t 규모의 무연탄을 생산해 왔지만 현재는 대부분이 폐광되었다. 이후 청소년 대상의 탄광촌 교육장으로 조성되어 관광지로 탈바꿈하고 있다. 하늘 아래 신주 빚는 마을은 2015년 강원도 특화마을 조성 공모 사업에 선정되어 삼척시 도계...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에 있는 법정리. 본래 마읍(馬邑), 마라읍(馬羅邑), 말읍(末邑), 마읍(麻邑) 등으로 불리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마읍리(上麻邑里), 중마읍리(中麻邑里), 하마읍리(下麻邑里)로 분할되었다. 예전에는 마을[촌(村)]을 ‘말’이라 불렀는데 이 마을의 답평(畓坪)은 옛날 미역늪이라는 큰 늪이 있던 곳으로, 말아래늪[촌하예(村下汭)]...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 있는 법정리. 본래 맹방(孟芳) 혹은 매향방(埋香芳)이라 불렸다. 맹방이란 맹씨의 방린(芳隣)이란 말이 있지만 불확실하다. 1309년(고려 충선왕 원년) 용화회주 미륵의 하강을 기원하기 위하여 향나무 250그루를 맹방정(孟芳汀)에 파묻었다는 기록이 고성 사선봉 매향비문(高城四仙峯埋香碑文)에 있어 이 마을이 고려시대부터 맹방이란 것을 알 수 있다....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은 여삼리(閭三里)로부터 계류(溪流)가 흘러들어 온다 하여 본래 바드내[수천(受川)], 바깥내[외천(外川)], 바위내[암천(岩川)], 건내[건천(乾川)], 양바리재[양반치(陽返峙)] 등으로 불렀는데 이것이 와전되어 반천(班川)이라 하였다. 조선 숙종 때 심지활(沈之活)이 이주하고 이후 각 성씨가 이주하며 형...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에 있는 법정리. 상사전리와 하사전리 지역은 본래 새밭[초전(草田)]으로 부르다가 사밭[사전(士田)]으로 속전되었으며, 나중에 상사전리(上士田里)와 하사전리(下士田里)로 분리되었다. 조선 인조 때 안중남(安仲男)이 이주하고 이후 최선경(崔仙景) 등 각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30호 177명, 1...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에 있는 법정리. 허목(許穆)[1595~1682]의 『척주지』에는 이 지역을 올산(屼山)이라 하였고, 『여지도서』에는 오을산(五乙山)이라 기록하였다. 본래 물이 모여 합하는 곳이라는 뜻의 물어부러미와 길이 합쳐지는 곳이라는 뜻의 길어부러미에서 어부러미가 와전되어 올산(屼山), 오을산(五乙山) 등으로 부르게 되었다. 1914년 이후 월산(月山...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남길 99번지에 있는 철도 체험형 테마파크. 하이원추추파크는 구 영동선 폐선 구간(도계역-통리역)에 설치된 산악형 철길·터널·스위치백과 스위치백 개설 이전에 사용된 인클라인 철도 시설[강삭철도, 1963년 철거]을 재활용하여 레일바이크·인클라인트레인·스위치백트레인 등 철도 탑승 시설을 대표 상품으로 개발하고 호텔급 숙박 시설인 네이처...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지역의 고도가 높은 산지에서 이루어지는 농업. 고랭지농업은 여름철에도 대체로 선선하고 강우량이 많으며, 일조 시간이 짧고 해발 고도가 높은 산간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농업 유형이다. 고랭지농업은 여름철의 시원한 기후 조건을 이용하여 해발 400~1000m 정도의 높은 지대에서 채소, 감자, 화훼류 등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하는 농업을 말한다. 기후는...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백두대간로 2600번지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입지(立志)’이며, 교육 목표는 ‘전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SMART 교육-Steam[융합], Mutiple[다양성], Active[능동적], Research[연구], inTeract[소통]’이다. 1985년 3월 22일 하장고등학교 3개 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하장중고등학교 병설로 개교하였으며...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백두대간로 2600번지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입지(立志)’이며, 교육 목표는 ‘전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SMART 교육-Steam[융합], Mutiple[다양성], Active[능동적], Research[연구], inTeract[소통]’이다. 1985년 3월 22일 하장고등학교 3개 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하장중고등학교 병설로 개교하였으며...
-
강원도 삼척시에 속하는 면. 하장면은 중봉리, 번천리, 광동리, 장전리, 추동리, 갈전리, 장전리, 토산리, 공전리, 둔전리, 역둔리, 대전리, 용연리, 한소리, 판문리, 어리 등 16개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척주지』에 “장생은 영서로 깊은 산속에 위치하며, 해변에서 100리 떨어진 곳에 있다. 겨울에는 매우 춥고 서리가 일찍 내려 백곡이 성숙...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하장길 118에 위치하며 하장면 주민들의 생활 업무를 처리하는 행정기관. 강원도 삼척시를 구성하고 있는 2개 읍, 6개 면, 4개 동 가운데 하나인 하장면은 해발 650m~810m의 산간지대에 위치한 면 단위 행정조직이다.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하장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하장길 118에 위치하며 하장면 주민들의 생활 업무를 처리하는 행정기관. 강원도 삼척시를 구성하고 있는 2개 읍, 6개 면, 4개 동 가운데 하나인 하장면은 해발 650m~810m의 산간지대에 위치한 면 단위 행정조직이다.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하장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백두대간로 2600번지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입지(立志)’이며, 교육 목표는 ‘전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SMART 교육-Steam[융합], Mutiple[다양성], Active[능동성], Research[연구], inTeract[소통]’이다. 1969년 10월 14일 하장중학교 3개 학급 설립 인가를 받고 개교하였다. 1985년 3월 2일...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백두대간로 2600번지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입지(立志)’이며, 교육 목표는 ‘전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SMART 교육-Steam[융합], Mutiple[다양성], Active[능동적], Research[연구], inTeract[소통]’이다. 1985년 3월 22일 하장고등학교 3개 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하장중고등학교 병설로 개교하였으며...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백두대간로 2600번지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입지(立志)’이며, 교육 목표는 ‘전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SMART 교육-Steam[융합], Mutiple[다양성], Active[능동성], Research[연구], inTeract[소통]’이다. 1969년 10월 14일 하장중학교 3개 학급 설립 인가를 받고 개교하였다. 1985년 3월 2일...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광동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사랑을, 슬기를, 그리고 아름다운 꿈을’이며, 교육 목표는 ‘배려하고 나눌 줄 아는 행복한 어린이, 자기 주도적 학습력과 체력을 갖춘 어린이, 소통과 화합으로 함께 어울리는 어린이’이다. 1936년 6월 30일 하장 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38년 6월 30일 하장 공립심상소학교[4년제]로 설립 인가를 받...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광동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사랑을, 슬기를, 그리고 아름다운 꿈을’이며, 교육 목표는 ‘배려하고 나눌 줄 아는 행복한 어린이, 자기 주도적 학습력과 체력을 갖춘 어린이, 소통과 화합으로 함께 어울리는 어린이’이다. 1936년 6월 30일 하장 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38년 6월 30일 하장 공립심상소학교[4년제]로 설립 인가를 받...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에 있는 법정리. 상정리와 하정리는 본래 통칭하여 소골[소곡(沼谷)]이라 불렀다. 이는 이 지역이 오십천 유역에 위치하여 골짜기가 협소하고 물이 깊었기 때문이다. 점차 위·아래 지역을 구분하여 웃소골[상소(上沼)]와 아래소골[하소(下沼)]로 부르다가 한자로 와전되어 상정(上鼎), 하정(下鼎)이 되었다. 일설에는 쇠솥[철정(鐵鼎)]을 제조한...
-
조선 후기 삼척 지역 학자. 김종언은 경행서원이 철폐되자 선비들과 경행서원의 강당을 수리하였고, 『척주지』 등을 편찬하였다. 김종언(金宗彦)[1818~1888]의 본관은 강릉(江陵)이다. 후명(後名)은 학묵(學默), 자는 혜중(兮重), 호는 송고(松皐)이다. 김정한(金正漢)의 아들이다. 김종언은 1818년(순조 18) 강원도 강릉 송정리에서 출생하였...
-
강원도 삼척 지역 추석 풍속. 추석은 풍요로운 계절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이 있는 명절이다. “5월 농부 8월 신선”이라는 말이 있듯 8월은 한 해 농사가 다 마무리된 때여서 봄철 농사보다 힘을 덜 들이고 일을 해도 신선처럼 지낼 수 있다는 말이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같아라.”라는 속담은 추석이 명절 중 명...
-
강원도 삼척시에서 활동하는 한국국악협회 산하 삼척시지부. 한국국악협회는 1961년에 창립되어 1962년 사단법인으로 문교부장관으로부터 정식 인가를 받았다. 하부 조직으로는 광역자치단체별로 지회가 있고, 그 밑에 기초자치단체별로 지부가 조직되어 있다. 한국국악협회 삼척지부는 1997년 8월에 설립되었다. 한국국악협회 삼척지부는 우리 고유의 국악 예술...
-
강원도 삼척시에서 활동하는 한국국악협회 산하 삼척시지부. 한국국악협회는 1961년에 창립되어 1962년 사단법인으로 문교부장관으로부터 정식 인가를 받았다. 하부 조직으로는 광역자치단체별로 지회가 있고, 그 밑에 기초자치단체별로 지부가 조직되어 있다. 한국국악협회 삼척지부는 1997년 8월에 설립되었다. 한국국악협회 삼척지부는 우리 고유의 국악 예술...
-
강원도 삼척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문인협회 강원지회 산하 지부. ‘한국문인협회’ 삼척지부는 1991년에 결성되었다. 한국문인협회를 모 단체로 하는 만큼 강원문인협회와 긴밀한 관계에 있다. 강원도는 1961년 ‘문인총연합’이 해체된 뒤 1962년 ‘예술총연합’이 발족하였고, 이 해 2월 예술총연합 강원도 지회 아래 ‘한국문인협회’ 강원도 지부가 결성되었다. 강...
-
강원도 삼척 출신 문학평론가인 김영기의 연구서. 『한국문학과 전통』은 강원도 삼척 출신 문학평론가 김영기의 대표 연구서이다. 현대문학사에서 1973년에 간행되었다. 김영기의 평론 작업은 한국 문학의 전통 탐색과 한국 고전문학의 평가 및 재해석 등에 주목하고 있다. 일련의 비평 모색을 통해 전통성을 계승 및 확립하기 위한 비평 정신을 확고히 하는 것이...
-
강원도 삼척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미술협회 산하 삼척지부. 한국미술협회는 1961년 설립되었으며, 시·도지회와 시·군지부를 두고 있다. 삼척지부는 1999년 2월 창립 및 인준을 받았으며, 부단히 활동하고 있다. 한국미술협회 삼척지부는 삼척 지역 미술인의 권익 대변과 함께 창작 환경 개선, 복지 정책 실시 등 미술인이 창작에 몰두할 수 있도록 지원...
-
강원도 삼척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미술협회 산하 삼척지부. 한국미술협회는 1961년 설립되었으며, 시·도지회와 시·군지부를 두고 있다. 삼척지부는 1999년 2월 창립 및 인준을 받았으며, 부단히 활동하고 있다. 한국미술협회 삼척지부는 삼척 지역 미술인의 권익 대변과 함께 창작 환경 개선, 복지 정책 실시 등 미술인이 창작에 몰두할 수 있도록 지원...
-
강원도 삼척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사진작가협회 산하 삼척지부. 한국사진작가협회 삼척지부는 1967년 창립 이래 꾸준한 활동으로 다양한 행사를 개최 또는 참여하고 있으며, 신진 작가 회원 영입 등 다각도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사진작가협회 삼척지부는 삼척 지역 사진 작가들의 권익 옹호, 지위 향상, 사진 문화 발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2년 4월...
-
강원도 삼척시에 있던 한국산업은행 산하 지점. 한국산업은행은 대한민국의 산업 개발과 국민 경제 발전을 위하여 1954년에 설립되었다. 설립 이후부터 현재까지 강원도 삼척 지역을 비롯한 전국 주요 거점 지역에 지점을 개설하여 국책 은행으로서 성장 동력 산업 확충과 경제 위기 극복 등 시대 요청에 부응한 역할 수행으로 산업과 국민경제 발전을 선도하고 있다....
-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에 있는 한국연극협회 산하의 삼척지부. 강원도 삼척 지역은 2008년 김상덕이 극단 ‘신예’를 창단하면서 활발한 연극 활동이 전개되었다. 이후 한국연극협회 삼척지부가 결성되면서 삼척시 극예술의 창달·발전, 극예술인 상호 간 친목과 정보 교류가 활성화 되었다. 2017년 현재 한국연극협회 삼척지부는 지부장 김상덕을 비롯하여 60여 명이 정회원...
-
강원도 삼척시 당저동에 위치한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산하의 삼척지회.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삼척지회는 강원도 삼척 지역의 연예예술을 대표하는 단체로, 문화 산업의 근간이 되는 연예예술의 발전을 추구하고 지역의 대중 예술 활성화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삼척지회는 강원도 삼척 지역의 가수·연주·창작·연기·실용댄스·노래강사...
-
강원도 삼척시 당저동에 위치한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산하의 삼척지회.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삼척지회는 강원도 삼척 지역의 연예예술을 대표하는 단체로, 문화 산업의 근간이 되는 연예예술의 발전을 추구하고 지역의 대중 예술 활성화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삼척지회는 강원도 삼척 지역의 가수·연주·창작·연기·실용댄스·노래강사...
-
강원도 삼척시 당저동에 위치한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산하의 삼척지회.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삼척지회는 강원도 삼척 지역의 연예예술을 대표하는 단체로, 문화 산업의 근간이 되는 연예예술의 발전을 추구하고 지역의 대중 예술 활성화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삼척지회는 강원도 삼척 지역의 가수·연주·창작·연기·실용댄스·노래강사...
-
강원도 삼척시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음악협회. 한국음악협회 삼척시지부의 정확한 설립 연도는 알 수 없지만 1994년 이전부터 활동해 왔다. 삼척시의 문화 공연, 음악 공연, 연주, 경연 등을 이끌고 있는 주요 단체이다. 한국음악협회 삼척시지부는 지역 사회의 음악 문화 창달을 위하여 노력하고, 삼척시 내 전문 음악 인구 저변 확대, 모든 시민이 함...
-
강원도 삼척시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음악협회. 한국음악협회 삼척시지부의 정확한 설립 연도는 알 수 없지만 1994년 이전부터 활동해 왔다. 삼척시의 문화 공연, 음악 공연, 연주, 경연 등을 이끌고 있는 주요 단체이다. 한국음악협회 삼척시지부는 지역 사회의 음악 문화 창달을 위하여 노력하고, 삼척시 내 전문 음악 인구 저변 확대, 모든 시민이 함...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산하 지역의 지점. 한국전력 삼척지사는 1934년 10월 강릉전기 삼척출장소로 발족하여 2017년 현재 한국전력공사 강원본부 삼척지사로 삼척시의 전력 서비스를 관리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는 전원 개발을 촉진하고 전기 사업의 운영 합리화를 기함으로써 전력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1950년 6월 25일 북한 인민군의 남침으로 강원도 삼척 지역을 비롯한 한반도 전역에서 1953년 7월 휴전 성립 때까지 지속된 남한과 북한의 전쟁. 6·25 전쟁은 당시 중국과 소련의 지원을 약속받은 북한에 의해 1950년 6월 25일 38도선 전역에서 시작되었다. 삼척 지역은 7월 1일 북한군에 점령되었다가 9월 30일 수복되었다. 전쟁 발발 직후 미국은 사회주의...
-
강원도 삼척시의 탄광 시를 포함하여 근대 초기부터 2006년 말까지 탄광 소재 시를 모은 선집. 『한국탄광시전집』은 근대 초기부터 2006년 말까지 218명의 시인들이 탄광을 소재로 쓴 시 953편이 수록된 사료집이다. 총 2권으로 간행되었고, 삼척시의 탄광 시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근대 초기부터 2006년 말까지 탄광을 소재로 한 시 작품을 편자가 직접 수...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있는 법정리. 한내리는 본래 출천곡(出泉谷)으로 햇물나기골[新水生谷]이라 불렸다. 이후 속전되며 한내[寒泉·汗出·汗乃]가 되었다. 조선 영조 때 경주 김씨, 경주 신씨가 이주했고 이후 경주 이씨 등이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수는 1916년 21호 101명, 1962년 19호 164명, 1982년 4호 16명이다....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대전리라는 명칭은 이 지역이 인근 마을보다 조금 더 넓은 지역이라 하여 큰밭·한밭 등으로 부른 데서 유래하며, 한자로 표기되면서 대전(大田)이 되었다. 본래 김씨가 처음 개척한 마을이었다. 이후 조선인조 때 송해경(宋海景)과 김효근(金孝謹)이 이주해 온 후 정씨, 이씨, 한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은 정선군과의 경계에 용소(龍沼)가 있어 한소[대소(大沼)]라 일러 왔다. 허목(許穆)[1595~1682]의 『척주지』에는 한이수(汗伊藪)라 기록하기도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한소리(汗沼里)가 되었다. 일설에는 한수리(寒水里)라고도 한다. 조선 태종 때 김취원(金就元)이 이주하고 이후 송씨,...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은 정선군과의 경계에 용소(龍沼)가 있어 한소[대소(大沼)]라 일러 왔다. 허목(許穆)[1595~1682]의 『척주지』에는 한이수(汗伊藪)라 기록하기도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한소리(汗沼里)가 되었다. 일설에는 한수리(寒水里)라고도 한다. 조선 태종 때 김취원(金就元)이 이주하고 이후 송씨,...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은 정선군과의 경계에 용소(龍沼)가 있어 한소[대소(大沼)]라 일러 왔다. 허목(許穆)[1595~1682]의 『척주지』에는 한이수(汗伊藪)라 기록하기도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한소리(汗沼里)가 되었다. 일설에는 한수리(寒水里)라고도 한다. 조선 태종 때 김취원(金就元)이 이주하고 이후 송씨,...
-
한문으로 이루어진 정형시 또는 한자로 기록된 시로, 삼척 지역의 고전문학을 대표하는 문학 양식. 한시는 한문으로 이루어진 정형시로 정의되며, 대체로 중국의 한시뿐만 아니라 주변의 한자 문화권에서 한자로 기록한 시까지를 포함한다.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한시는 고전문학의 대표 장르라 할 정도로 뿌리가 깊다. 한글 창제 이전인 고려시대부터 삼척의 자연이나 명승지 묘사는 한시에서 빈번히...
-
강원도 삼척 지역 한식 풍속의 특징. 한식 유래와 관련해서 두 가지 설이 있다. 중국에서는 춘추시대 진나라 문공의 충신 개자추(介子推)가 문공의 사과와 설득에도 불구하고 면산에 숨어서 나오지 않고 이날 불에 타서 죽었기 때문에 불을 쓰지 않는다고 전한다. 다른 하나는 개화(改火) 의례에서 유래한다는 설이다. 선인들은 모든 사물에는 생명이 있으며, 생명이란 오래...
-
강원도 삼척 지역 한식 풍속의 특징. 한식 유래와 관련해서 두 가지 설이 있다. 중국에서는 춘추시대 진나라 문공의 충신 개자추(介子推)가 문공의 사과와 설득에도 불구하고 면산에 숨어서 나오지 않고 이날 불에 타서 죽었기 때문에 불을 쓰지 않는다고 전한다. 다른 하나는 개화(改火) 의례에서 유래한다는 설이다. 선인들은 모든 사물에는 생명이 있으며, 생명이란 오래...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은 정선군과의 경계에 용소(龍沼)가 있어 한소[대소(大沼)]라 일러 왔다. 허목(許穆)[1595~1682]의 『척주지』에는 한이수(汗伊藪)라 기록하기도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한소리(汗沼里)가 되었다. 일설에는 한수리(寒水里)라고도 한다. 조선 태종 때 김취원(金就元)이 이주하고 이후 송씨,...
-
근현대 삼척 지역 서예가, 서화가, 독립운동가. 한일동(韓溢東)[1879~1951]은 1879년(고종 16) 당시 삼척군 부곡현[현 동해시 부곡동]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시조 한란(韓蘭)의 28대손이다. 자는 성중(聲中)이고, 호는 옥람(玉藍)이다. 아버지는 월계(月溪)한승원(韓承源)이며, 할아버지는 춘사(春史)한진유(韓鎭裕)이다. 한일동은 어려서부터...
-
강원도 삼척시 오분동에서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로 넘어가는 고개. 한재[漢峙]는 해발고도 102.6m로 과거 강원도 삼척부에서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했던 산줄기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고개이다. 한재라는 명칭은 큰 고개란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한재는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황조리의 응봉산[1267....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에 있는 해변. 삼척 시내에서 4km가량의 근거리에 위치한다. 7번국도가 만들어지기 전인 1916년 이전에는 해발고도 134.5m 지점이 한재였지만, 자동차 교통이 빈번해지면서 옛 7번국도가 조금 더 동쪽인 산허리를 끼고 통과하였다. 지금은 4차선 국도가 개통되면서 한치터널이 뚫려 한산한 고개가 되고 말았다. 과거 7번국...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산하 지역의 지점. 한국전력 삼척지사는 1934년 10월 강릉전기 삼척출장소로 발족하여 2017년 현재 한국전력공사 강원본부 삼척지사로 삼척시의 전력 서비스를 관리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는 전원 개발을 촉진하고 전기 사업의 운영 합리화를 기함으로써 전력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강원도 삼척시 오분동에서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로 넘어가는 고개. 한재[漢峙]는 해발고도 102.6m로 과거 강원도 삼척부에서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했던 산줄기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고개이다. 한재라는 명칭은 큰 고개란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한재는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황조리의 응봉산[1267....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서 전해져 오는 할미소와 관련된 두 가지 이야기. 할미소에 대한 지명 유래와 함께 부부의 도리와 남에게 해를 끼치면 화를 당한다는 교훈을 담은 이야기이다. 2003년 2월 17일 삼척시 하장면 일대를 답사하여 채록하였다. 제보자는 삼척시 하장면 장전리 38번지에 거주하는 전광학[77세, 남]이다. 하장면에는 할미소와 관련된 두...
-
강원도 삼척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여신인 마고할미와 남신인 산신이 서로 경쟁한 이야기. 2003년 2월 17일 삼척시 미로면 일대를 답사하여 채록하였다. 제보자는 삼척시 미로면 내미로리 1반에 거주하는 박준현[72세, 남]이다. 옛날에 청택산정 마구라고 하는 신이 있었는데, 그 신이 마구할미이다. 예전에 어떤 남신인 산신과 서로 의견이 맞지 않아서 싸우게 되었다. 산신은...
-
개항기 삼척 출신 효자. 함재호(咸在鎬)[1879~?]의 본관은 강릉(江陵)이며, 함병보(咸炳甫)의 장남이다. 함재호는 1879년(고종 16) 11월 22일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광동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강릉(江陵)이며, 자는 사길(士吉)이다. 가난한 살림에도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봉양하였다. 부모가 병이 나자 대변을 맛보아 병세를 살피면서 하늘에 쾌유를...
-
수로부인을 납치한 해룡을 위협하기 위하여 부른 신라가요. 강원도 삼척 지역이 배경인「해가」는 신라가요의 하나로,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 수로부인조(水路夫人條)에 노래 배경과 함께 전해진다. 구호구호출수로(龜乎龜乎出水路)[거북아 거북아 수로부인을 내놓아라] 약인부녀죄하극(掠人婦女罪何極)[남의 부녀 앗아간 죄 얼마나 큰가] 여약패역불출헌(汝若悖逆不出獻)[네가...
-
근대 서화가. 김규진의 본관은 남평(南平)이다. 자는 용삼(容三)이고, 호는 해강(海岡)을 비롯하여 만이천봉주인(萬二千峰主人) 또는 무기옹(無己翁) 등 많은 별호가 있다. 평안남도 중화(中和)의 농가에서 태어나 외숙인 이희수(李喜秀)로부터 서화의 기초와 한문을 공부하다가 18세 되던 1885년(고종 22)에 중국으로 건너가 8년 동안 수학하였다. 청나라에 유학...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장전리에 있는 산. 해당봉은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장전리 숲안 마을에서 숲뒤산[1060m], 장병산(將兵山)[1108m], 새덕산[1056m]으로 이어지는 능선 상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장전리에는 인가목이 많이 자생하고 있는데, 마을 사람들이 인가목을 바닷가 모래땅에서 서식하는 해당화로 알고 해당봉(海...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에 속하는 암석 구릉.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호산천 하구에 있는 암석 구릉으로 해망산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해망산의 명칭은 바다 가까이에 있어 동해를 잘 볼 수 있어서 붙여졌다. 이칭인 부용산이라는 명칭은 해망산 남서쪽에 있는 호수 이름이 부용호라고 부른 데서 유래된 것으로, 부용은 고려 때 이곳에 놀러...
-
강원도 삼척시 삼척로 381-1번지에 있는 국궁장. 해망정은 삼척 지역의 국궁 활성화를 위하여 총 사업비 약 5억 원을 투입하여 2014년 12월 24일 준공되었다. 해망정의 면적은 342㎡이다. 궁도장 1동, 과녁 4개 등 부대시설을 갖추었다. 2016년 7월 10일에는 강원도 영동지구 궁도인들과의 스포츠 교류를 통한 호연지기 함양을 위하여 ‘제5...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에 속하는 암석 구릉.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호산천 하구에 있는 암석 구릉으로 해망산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해망산의 명칭은 바다 가까이에 있어 동해를 잘 볼 수 있어서 붙여졌다. 이칭인 부용산이라는 명칭은 해망산 남서쪽에 있는 호수 이름이 부용호라고 부른 데서 유래된 것으로, 부용은 고려 때 이곳에 놀러...
-
삼척 지역 향토사학자이자 교수, 삼척문화원장. 김일기(金馹起)[1929~1998]의 본관은 강릉(江陵)이고. 아호는 해산(海山)이다. 김일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과를 졸업하고 1963년 9월부터 1995년 2월까지 강릉·동해·원주 등지의 강릉사범학교, 북평고, 원주고 등에서 중·고등학교 교사 및 삼척산업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1985년부터...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남근 숭배를 통하여 풍어를 기원하는 해신당. 성(性)은 만물의 근원이다. 우리 인간을 비롯한 만물은 성으로부터 비롯되었기 때문에 성의 본질은 숭고한 것이다. 그러나 성은 이중성을 띠고 있다. 가장 숭고하면서도 가장 추악하게 소모될 수 있는 요소가 있다. 성이 합당하게 사용될 때 성은 가장 아름다운 창조 행위이지만 성이 비합당하게 이용될 때는 인간의...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남근 숭배를 통하여 풍어를 기원하는 해신당. 성(性)은 만물의 근원이다. 우리 인간을 비롯한 만물은 성으로부터 비롯되었기 때문에 성의 본질은 숭고한 것이다. 그러나 성은 이중성을 띠고 있다. 가장 숭고하면서도 가장 추악하게 소모될 수 있는 요소가 있다. 성이 합당하게 사용될 때 성은 가장 아름다운 창조 행위이지만 성이 비합당하게 이용될 때는 인간의...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삼척로 1852-6번지의 해신당과 해신당에 전해 오는 전설을 주제로 만든 공원. 신남마을 해신당에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 있다. 신남마을에 결혼을 약속한 처녀[애랑이]와 총각[덕배]이 살았다. 봄 가뭄이 심해서 배를 곯던 어느 날 총각이 바다 나물[미역]을 따기 위해 마을에서 북동쪽으로 약 1㎞ 떨어진 바다 한가운데 있는 돌섬으로 처녀를 떼...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삼척로 1852-6번지의 해신당과 해신당에 전해 오는 전설을 주제로 만든 공원. 신남마을 해신당에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 있다. 신남마을에 결혼을 약속한 처녀[애랑이]와 총각[덕배]이 살았다. 봄 가뭄이 심해서 배를 곯던 어느 날 총각이 바다 나물[미역]을 따기 위해 마을에서 북동쪽으로 약 1㎞ 떨어진 바다 한가운데 있는 돌섬으로 처녀를 떼...
-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에서 해양레저스포츠 교육을 위하여 삼척시 근덕면덕산 해수욕장 부근에 설립한 학교 기업. 해양레포츠 수요는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수용할 시설 및 프로그램이 부족한 상황에서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가 해양관광레저스포츠 대중화를 통한 교육 목적 달성, 해양레저스포츠 전문 지도자 양성, 대학의 경쟁력 제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해양관광레저스포츠센터를 건...
-
바다를 소재로 하는 문학으로, 삼척 문학의 주요 장르 가운데 하나. 해양문학은 바다와 관련된 내용을 제재나 주제로 하는 문학이다. 사전상에서 정립된 장르 개념으로서, 해양 체험이 주된 배경과 주제로 등장하는 시와 소설 등이 포함된다. 수부(水夫)들의 해양 체험을 문학화한 진정한 해양문학 작품으로는 시인 김성식(金盛式)의 「청진항」, 소설가 천금성(千金成)[1941~2016]의 「지...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에 있던 강론소. 원래 해운정이 있던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연봉의 자리에는 고려시대 문신으로 남양홍씨삼척 입향시조(入鄕始祖) 홍준(洪濬)이 처소를 정하고 교육을 펼친 교수당이 있던 곳이기에 남양홍씨 문중에서 해운정이 있던 자리에 해운정 복원 대신 교수당을 복원하였다. 홍준의 교수당은 1388년(고려 우왕 14)에 지었졌다고 하지만 현재의 건물...
-
조선 후기 삼척 지역 효자. 홍계하의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부친은 홍중겸이다. 홍계하(洪啓夏)는 학행(學行)이 탁월하여 관동의 부자(夫子)라고 불리었다. 홍계하는 부모를 위하는 정성 또한 지극하였다고 한다. 시묘살이를 하는 3년 동안에는 죽을 먹으며 예를 다하였다고 한다. 모친이 병을 얻자 홍계하는 기도를 하였으며, 지극함이 미쳐 호랑이가 물어다 준 약으로...
-
부산광역시부터 강원도 고성까지 이어지는 해파랑길 가운데 삼척시 구간. 해파랑길은 동해의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길동무 삼아 함께 걷는다는 뜻으로, 부산광역시오륙도 해맞이공원을 시작으로 강원도고성군 통일전망대에 이르는 총 10개 구간 50개 코스 770㎞의 걷기 길이다. 삼척시부터 동해시 구간은 28코스에서 34코스까지 구간으로, 삼척시 부구 삼거리에서 강릉...
-
강원도 삼척시에서 공권력에 기반을 두어 행해지는 공공 문제 해결 및 공공 서비스의 생산·분배와 관련된 제반 활동. 삼척시의 행정 기능은 시대에 따라 변모되어 왔다. 행정의 기본 기능은 국가 질서 유지에 있었지만 20세기 후반에 들어와서는 국민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적극 기여하는 방향으로 역할과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기존의 질서 유지 기능뿐만 아니라 수도·...
-
조선시대 삼척 지역에서 실시된 향촌 자치 규약. 향약은 향촌규약(鄕村規約)의 준말이다. 넓은 의미로는 향촌규약·향규(鄕規)·일향약속(一鄕約束)·향약계(鄕約契)·향안(鄕案)·동약(洞約)·동계(洞契)·동안(洞安)·족계(族契)·약속조목(約束條目) 등을 나타낸다. 향약은 조선시대 양반들의 향촌 자치와 이를 통하여 하층민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숭유배불정책에 의하여 유교...
-
조선시대 삼척 지역의 향중사류(鄕中士類) 명부. 『향안』은 조선시대 향중사류 명부로, 일종의 향신록(鄕紳錄)이다. 향좌목(鄕座目), 향적(鄕籍), 향록유안(鄕錄儒案), 향목(鄕目), 사적(士籍)이라고도 한다. 향안에는 대개 세족(世族), 현족(顯族), 우족(右族) 등으로 불리는 재지사족만이 입록될 수 있었다. 또 향안에 입록되어야 비로소 양반으로서의 대우는 물론 좌수(座首)·별감(...
-
조선시대 삼척 지역의 향중사류(鄕中士類) 명부. 『향안』은 조선시대 향중사류 명부로, 일종의 향신록(鄕紳錄)이다. 향좌목(鄕座目), 향적(鄕籍), 향록유안(鄕錄儒案), 향목(鄕目), 사적(士籍)이라고도 한다. 향안에는 대개 세족(世族), 현족(顯族), 우족(右族) 등으로 불리는 재지사족만이 입록될 수 있었다. 또 향안에 입록되어야 비로소 양반으로서의 대우는 물론 좌수(座首)·별감(...
-
조선시대 삼척 지역의 향중사류(鄕中士類) 명부. 『향안』은 조선시대 향중사류 명부로, 일종의 향신록(鄕紳錄)이다. 향좌목(鄕座目), 향적(鄕籍), 향록유안(鄕錄儒案), 향목(鄕目), 사적(士籍)이라고도 한다. 향안에는 대개 세족(世族), 현족(顯族), 우족(右族) 등으로 불리는 재지사족만이 입록될 수 있었다. 또 향안에 입록되어야 비로소 양반으로서의 대우는 물론 좌수(座首)·별감(...
-
조선시대 삼척 지역에서 실시된 향촌 자치 규약. 향약은 향촌규약(鄕村規約)의 준말이다. 넓은 의미로는 향촌규약·향규(鄕規)·일향약속(一鄕約束)·향약계(鄕約契)·향안(鄕案)·동약(洞約)·동계(洞契)·동안(洞安)·족계(族契)·약속조목(約束條目) 등을 나타낸다. 향약은 조선시대 양반들의 향촌 자치와 이를 통하여 하층민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숭유배불정책에 의하여 유교...
-
조선시대 삼척 지역에서 실시된 향촌 자치 규약. 향약은 향촌규약(鄕村規約)의 준말이다. 넓은 의미로는 향촌규약·향규(鄕規)·일향약속(一鄕約束)·향약계(鄕約契)·향안(鄕案)·동약(洞約)·동계(洞契)·동안(洞安)·족계(族契)·약속조목(約束條目) 등을 나타낸다. 향약은 조선시대 양반들의 향촌 자치와 이를 통하여 하층민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숭유배불정책에 의하여 유교...
-
조선시대 삼척 지역에서 실시된 향촌 자치 규약. 향약은 향촌규약(鄕村規約)의 준말이다. 넓은 의미로는 향촌규약·향규(鄕規)·일향약속(一鄕約束)·향약계(鄕約契)·향안(鄕案)·동약(洞約)·동계(洞契)·동안(洞安)·족계(族契)·약속조목(約束條目) 등을 나타낸다. 향약은 조선시대 양반들의 향촌 자치와 이를 통하여 하층민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숭유배불정책에 의하여 유교...
-
조선시대 삼척 지역의 향중사류(鄕中士類) 명부. 『향안』은 조선시대 향중사류 명부로, 일종의 향신록(鄕紳錄)이다. 향좌목(鄕座目), 향적(鄕籍), 향록유안(鄕錄儒案), 향목(鄕目), 사적(士籍)이라고도 한다. 향안에는 대개 세족(世族), 현족(顯族), 우족(右族) 등으로 불리는 재지사족만이 입록될 수 있었다. 또 향안에 입록되어야 비로소 양반으로서의 대우는 물론 좌수(座首)·별감(...
-
조선시대 삼척 지역의 향중사류(鄕中士類) 명부. 『향안』은 조선시대 향중사류 명부로, 일종의 향신록(鄕紳錄)이다. 향좌목(鄕座目), 향적(鄕籍), 향록유안(鄕錄儒案), 향목(鄕目), 사적(士籍)이라고도 한다. 향안에는 대개 세족(世族), 현족(顯族), 우족(右族) 등으로 불리는 재지사족만이 입록될 수 있었다. 또 향안에 입록되어야 비로소 양반으로서의 대우는 물론 좌수(座首)·별감(...
-
조선시대 삼척 지역에서 실시된 향촌 자치 규약. 향약은 향촌규약(鄕村規約)의 준말이다. 넓은 의미로는 향촌규약·향규(鄕規)·일향약속(一鄕約束)·향약계(鄕約契)·향안(鄕案)·동약(洞約)·동계(洞契)·동안(洞安)·족계(族契)·약속조목(約束條目) 등을 나타낸다. 향약은 조선시대 양반들의 향촌 자치와 이를 통하여 하층민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숭유배불정책에 의하여 유교...
-
강원도 삼척시에서 운영하는 장학 재단. 삼척향토장학재단의 설립 근거는 공익법인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과 삼척시 장학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이다. 기부금품 접수는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다. 장학 사업의 재원은 기본 재산과 보통 재산의 과실 수입금[이자 수입]이다. 이사회는 매년 1회 정기총회를 개최한다. 이때 장학 사업 수행, 재단의...
-
신라 성덕왕 때 수로부인에게 꽃을 바치는 노옹의 이야기가 담긴 4구체 향가. 「헌화가(獻花歌)」는 신라시대 성덕왕 때의 향가 가운데 하나로, 제33대 신라 왕인 성덕왕 때 어느 노옹이 부른 향가이다. 『삼국유사』 수로부인조에 수록되어 전해지며, 공간 배경이 현재의 강원도 삼척시로 추정된다. 자포암호변희(紫布岩乎邊希)[붉은 바위 끝에(제4구 꽃으로 연결...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헌화가」와 「해가사」 배경으로 추정되는 지역. 『삼국유사』에는 향가 「헌화가」와 「해가사」가 전해진다. 이 두 편은 삼척 지역과 관련이 있다. 「헌화가」와 「해가사」의 터는 두 곳으로 추정된다. ‘헌화가의 터’로 삼척시에서 추정하는 곳은 임원과 용화 사이인데, 오늘날 이곳 임원항 뒤편 남화산 정상에 수로부인헌화공원을 조성해 놓았다. 또한...
-
조선 후기 삼척 출신 문신. 홍인조(洪寅祚)[1724~1798]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현민(顯民)이며, 호는 송현(松峴)이다. 가선대부(嘉善大夫) 송재(松齋)홍응부(洪應溥)의 증손이다. 조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홍우성(洪禹成)이며,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온(洪溫)이다. 홍인조(洪寅祚)는 1793년(정조 17)에 관동공령과(關...
-
일제강점기 삼척 지역에 있던 군수공장. 강원도 삼척 지역에 있던 협동유지의 정확한 명칭은 협동유지회사 삼척공장이다. 1931년 동해안에는 정어리가 많이 잡혀서 건너불 윗머리, 즉 정상리 7만 평 부지에 정어리 기름을 짜서 폭약을 제조하는 군수공장인 협동유지회사를 세웠다. 이때 건너불은 오십천 하구에 형성된 삼각주이다. 당시 삼척군청에서는 삼척항의 선박 접안 및 수산물,...
-
일제강점기 삼척 지역에 있던 군수공장. 강원도 삼척 지역에 있던 협동유지의 정확한 명칭은 협동유지회사 삼척공장이다. 1931년 동해안에는 정어리가 많이 잡혀서 건너불 윗머리, 즉 정상리 7만 평 부지에 정어리 기름을 짜서 폭약을 제조하는 군수공장인 협동유지회사를 세웠다. 이때 건너불은 오십천 하구에 형성된 삼각주이다. 당시 삼척군청에서는 삼척항의 선박 접안 및 수산물,...
-
조선 후기 삼척 출신 문인. 최유혁(崔有赫)의 본관은 강릉(江陵)이다. 자는 형원(亨遠), 호는 퇴암(退菴)이다. 아버지는 최창인(崔昌仁)이다. 최유혁은 송시열(宋時烈)[1607~1689] 현손인 문간공(文簡公)송덕상(宋德相)[?~1783]의 문인으로, 정조 때 천거되어 후릉참봉(厚陵參奉)이 되었지만 취임하지 않았다. 이조참판(吏曹參判) 겸 좨주(祭酒)에 증직...
-
조선 후기 삼척 지역 학자. 김종언은 경행서원이 철폐되자 선비들과 경행서원의 강당을 수리하였고, 『척주지』 등을 편찬하였다. 김종언(金宗彦)[1818~1888]의 본관은 강릉(江陵)이다. 후명(後名)은 학묵(學默), 자는 혜중(兮重), 호는 송고(松皐)이다. 김정한(金正漢)의 아들이다. 김종언은 1818년(순조 18) 강원도 강릉 송정리에서 출생하였...
-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탕곡리에서 생산되는 지역 특산물. 전통주는 전통문화 전수 및 보전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주류, 주류 부문의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제조한 주류, 농어업경영체 또는 생산자단체가 제조하는 주류를 말한다. 즉 전통주는 기존의 민속주와 농민주[지역특산주]를 아우른다. 삼척시의 전통주로는 불술, 귀리술, 가곡호두동동주가 있다. 가곡호두동동주는 제사상이...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에서 호박을 주재료로 하여 빚은 술. 호박술은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마읍리에서 전통을 이어 온 술이다. 밑술을 만들 때 보리싹을 틔워서 여기에 식힌 조와 기장, 누룩·종국을 함께 섞어 술자루에 담는다. 여기에 늙은 호박을 이틀 정도 고아서 청을 만들어 넣어서 덧술을 만들어 보름 정도 놓아 두면 호박술이 완성된다. 호박술은 고운 노란색을 띠며, 맛은 감...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에서 호박을 주재료로 하여 빚은 술. 호박술은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마읍리에서 전통을 이어 온 술이다. 밑술을 만들 때 보리싹을 틔워서 여기에 식힌 조와 기장, 누룩·종국을 함께 섞어 술자루에 담는다. 여기에 늙은 호박을 이틀 정도 고아서 청을 만들어 넣어서 덧술을 만들어 보름 정도 놓아 두면 호박술이 완성된다. 호박술은 고운 노란색을 띠며, 맛은 감...
-
강원도 삼척시 교동에 속하는 산. 광진산은 해발고도 139.3m로 과거 봉수대가 있었다. 강원도 삼척시 ‘오랍드리 산소길’의 제1코스[봉수대길]가 있다. 광진산의 명칭은 과거 광진산 동쪽 바닷가에 있었던 마을인 광진에서 유래되었다. 광진산의 기반암은 선캄브리아기의 흑운모편마암과 편암이다. 광진산의 동쪽은 암석 지대로 바다에 노출되어 파랑의...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에 위치한 사직동 성당 관할 공소. 공소란 사제가 항상 거주하지는 않는 성당을 말한다. 공소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박해 때 관헌의 눈을 피해 산속에 숨어들어 이루어진 교우촌을 말하는 경우가 있다. 둘째는 1950~1960년대에 골롬반 신부들이 들어오면서 편의상 성당에서 먼 거리에 있는 곳에 공소를 세우는 경우가 있었다. 호산공소는 이 가...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에 있는 법정리. 호산리는 본래 부신당(夫神堂)으로 불리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부호(芙湖)와 재산(才山) 두 자연마을을 합하여 호산리(湖山里)가 되었다. 부호는 고려시대 선녀 부용(芙蓉)이 해망산에서 내려와 놀았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며, 재산은 죽현(竹峴) 밑에 있었으므로 죽산(竹山) 또는 재산(才山)이 된 것이다....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에 있는 고려시대 산성터. 강원문화재연구소가 호산리 산성 내부를 발굴한 결과 기와를 얹은 건물지나 청자류가 출토된 것으로 보아서 이 성이 유력 인물이나 유력층의 거주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삼척군(三陟郡)’명 기와는 삼척의 진산(鎭山)인 갈야산성과 삼척 관아 유적인 죽서루에서도 출토되었으며, 모두 소성 상태나 색깔이...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이천리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해안으로 유입하는 하천. 호산천(湖山川)은 한강 동해권 수계의 지방하천으로,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이천리의 사금산 남동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삼척시 옥원리를 지나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해변에서 동해로 유입하는 하천이다. 호산천의 명칭은 하구에 위치하는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삼척로 462-12번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바르게 슬기롭게 튼튼하게’이며, 교육 목표는 ‘배려하고 나누며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고 배움을 즐기는 어린이, 소질을 개발하고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창의적으로 실천하는 어린이’이다. 1920년 6월 9일 덕흥 공립보통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서 1921년 5월...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삼척로 462-12번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바르게 슬기롭게 튼튼하게’이며, 교육 목표는 ‘배려하고 나누며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고 배움을 즐기는 어린이, 소질을 개발하고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창의적으로 실천하는 어린이’이다. 1920년 6월 9일 덕흥 공립보통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서 1921년 5월...
-
강원도 삼척 산간지역에서 호랑이가 사람을 잡아먹고 난 뒤에 남긴 유구(遺軀)를 거두어 장사(葬事) 지낸 무덤. 전통적으로 호랑이에 의한 호환은 단순한 사고가 아닌 신령에 의한 운명적 사건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팔자에 없으면 범에게 잡혀 가도 먹히지 않는다든가 눈썹이 길면 호환을 당할 운명이라든가 하는 속신(俗信)도 있다. 산길을 걷는 사람들 중에 앞뒤의 행렬 순서와...
-
강원도 삼척시 정라동에 속하는 산. 봉황산은 강원도 삼척시 정라동에 있는 해발고도 149m의 산이다. 과거 호악이라고도 불렀으며, 삼척읍내 주민들의 수호신격인 미륵 3불이 있다. 현재는 오랍드리 산소길의 제2코스가 개설되어 있다. 봉황산 남쪽 절벽 아래는 오십천이 휘몰아치면서 큰 소를 이루었는데 이를 봉황담이라 했다. 삼척부사 허목(許穆)이 쓴『척주...
-
근대 개항기 삼척 출신 문관. 홍재주(洪在疇)[1838~?]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중근(重謹)이며, 호는 호은(湖隱)이다. 구미재홍건기(洪建基)의 증손이다. 홍재주는 1898년(광무 2) 중추원 의관에 임명되었고, 1902년(광무 6) 나이 65세에 통정대부(通政大夫)를 받았으며, 1904년 통신사주사(通信司主事)에 임명되었다. 구미촌(九美村)에서...
-
강원도 삼척시 오십천 및 마읍천 하구 해안과 농경지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는 오리과 흑기러기속과 기러기속에 속하는 새의 총칭. 기러기는 반구 북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남하해서 강원도 삼척시오십천 및 마읍천 하구 해안과 농경지 등지에서 관찰되는 겨울 철새이다. 오리와 비슷하지만 목이 길고 다리가 짧다. 부리는 검은색이고, 부리 끝에는 주황색 띠가 둘러져...
-
조선 전기 삼척 출신 무관. 홍견(洪堅)[1535~1610]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강중(剛仲)이며, 호는 도장(道庄)이다. 장사랑(將士郞) 홍사웅(洪士雄)의 아들이다. 형제로는 홍벽(洪壁), 홍확(洪確), 홍광(洪礦)이 있다. 홍견은 1572년(선조 5) 별시(別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훈련봉사, 주부(注簿), 습독(習讀), 훈정(訓正), 부호군...
-
조선 후기 삼척 지역 효자. 홍계하의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부친은 홍중겸이다. 홍계하(洪啓夏)는 학행(學行)이 탁월하여 관동의 부자(夫子)라고 불리었다. 홍계하는 부모를 위하는 정성 또한 지극하였다고 한다. 시묘살이를 하는 3년 동안에는 죽을 먹으며 예를 다하였다고 한다. 모친이 병을 얻자 홍계하는 기도를 하였으며, 지극함이 미쳐 호랑이가 물어다 준 약으로...
-
근대 개항기 삼척 지역 의사. 홍긍섭(洪兢燮)[1830~?]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상지(相之)이며, 호는 만성(晩醒)이다. 치암홍진민(洪鎭民)의 조카이다. 홍긍섭(洪兢燮)은 1895년(고종 32)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국모의 원수를 갚기 위해 김병길(金秉佶), 홍병정(洪秉政), 김헌경, 최우집(崔禹集) 등과 더불어 지역에 격문을 돌렸다. 1902년 7...
-
근대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활동한 서예가이자 문장가. 홍낙섭(洪樂燮)[1874~1918]은 본관이 남양(南陽)이다. 자는 백천(白天)이고, 호는 만재(晩齋)이다. 홍병정과 삼척심씨 사이에서 태어났지만 큰아버지인 홍병욱의 양자로 입적하였다. 홍낙섭이 살던 마을인 송정의 담안에 100여 칸에 이르는 큰 집에서 살았으며, 12세에 ‘화로’라는 한시를 지어 신동으로 불렸다. 어...
-
조선 건국 직후 태조이성계가 삼척 지역을 부(府)로 승격시키면서 하사한 서대. 1393년(태조 2) 조선 왕실로부터 하사받은 홍서대는 1753년(영조 29) 삼척부사 이협(李埉)이 관아 구기(舊基)를 수리하다가 서대 및 기책(記冊)을 발견하였다. 암행어사 이현중(李顯重)[1708~1764]이 삼척부에 왔다가 그것을 보고 이 사실의 전말을 임금께 고하였더니 영조가 삼척부에...
-
강원도 삼척 출신 관료. 홍석표는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서 강원도와 전라북도 등에서 공직 생활을 하였으며, 도정 개혁과 도민 생활 향상에 공을 세워 훈장을 받았다. 홍석표(洪晳杓)[1931~1993]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홍석표는 1931년에 삼척에서 출생하였으며, 서울대학교 법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경기도 성남시장,...
-
강원도 삼척시 오십천 및 마읍천 하구 해안과 농경지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는 오리과 흑기러기속과 기러기속에 속하는 새의 총칭. 기러기는 반구 북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남하해서 강원도 삼척시오십천 및 마읍천 하구 해안과 농경지 등지에서 관찰되는 겨울 철새이다. 오리와 비슷하지만 목이 길고 다리가 짧다. 부리는 검은색이고, 부리 끝에는 주황색 띠가 둘러져...
-
강원도 삼척시 출신의 근현대문학가. 홍영의(洪永義)[1915~1975]의 본관은 남양이다. 부친은 홍갑성(洪甲性)이며, 슬하에 4남 1녀가 있다. 홍영의는 1931년 근덕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32년 삼척군영은사에 들어가 불교 공부를 시작하여 1933년 금강산유점사에서 불교를 수학하고 혜화전문학교 불교과를 졸업하였다. 그후 일본으로 건너가 19...
-
조선 후기 삼척 출신 문신. 홍온(洪溫)[1683~1756]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화숙(和叔)이다. 동추부사 홍우성(洪禹成)의 아들이다. 동추(同樞)의 벼슬을 받고 보사원종공신(保社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인조 때 허견(許堅)[?~1680]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른 송재(松齋)홍응부(洪應溥)의 손자이다. 홍온은 1742년(영조...
-
조선 후기 삼척 출신의 문인. 홍응부(洪應溥)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대이(大而), 호는 송제(松齊)이다. 봉사(奉事) 홍연해(洪㶌海)의 아들이다. 홍응부는 어려서부터 현자를 사모하고 의리를 강론하는 것을 좋아하였다. 또 옳고 그른 것을 구분하여 바른 것을 지키는 데 흔들림이 없었다. 정묘호란 때는 관동 지방에서 치서(馳書)하여 여러 차례 강홍립의 죄...
-
조선 후기 삼척 출신 문신. 홍인조(洪寅祚)[1724~1798]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현민(顯民)이며, 호는 송현(松峴)이다. 가선대부(嘉善大夫) 송재(松齋)홍응부(洪應溥)의 증손이다. 조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홍우성(洪禹成)이며,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온(洪溫)이다. 홍인조(洪寅祚)는 1793년(정조 17)에 관동공령과(關...
-
조선 후기 삼척 지역 효자. 홍인협(洪仁協)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치공(穉恭)이며, 호는 귀봉(龜峯) 또는 수분와(守分窩)이다. 해운(海運)홍계하(洪啓夏)[1714~1784]의 아들이며, 종손(從孫)은 홍진국(洪鎭國)이다. 홍인협의 어머니는 홍인협이 태어난 지 몇 달 만에 사망하여 할머니가 홍인협을 길렀다. 할머니마저 사망하자 아버지가 눈물을 흘리며...
-
근대 개항기 삼척 출신 문관. 홍재주(洪在疇)[1838~?]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중근(重謹)이며, 호는 호은(湖隱)이다. 구미재홍건기(洪建基)의 증손이다. 홍재주는 1898년(광무 2) 중추원 의관에 임명되었고, 1902년(광무 6) 나이 65세에 통정대부(通政大夫)를 받았으며, 1904년 통신사주사(通信司主事)에 임명되었다. 구미촌(九美村)에서...
-
고려 말 삼척 지역에서 은거한 문신. 고려 말 문신으로,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남양홍씨는 두 성씨가 있다. 고구려 때 당나라 학사 은열(殷悅)을 시조로 하는 당홍계(唐洪系)와 고려 중기 홍선행(洪先幸)을 시조로 하는 토홍계(土洪系)이다. 홍준은 토홍계의 11세손이다. 아버지는 홍귀연(洪貴演)이고, 아들은 홍극겸(洪克謙)이다. 고려 말 이색(李穡)[1328~1396]의...
-
조선 후기 삼척 지역 효자. 홍진국(洪鎭國)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의숙(儀叔)이며, 호는 백원(栢園)이다. 도은(陶隱)홍구목(洪九睦)의 아들이다. 홍진국은 젊어서 정인후(鄭仁逅), 황종길(黃鍾吉)에게 학문을 배웠다. 홍진국은 어버이를 섬김에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설사병으로 여러 달 고생하니 복분자를 구하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미 복분자를...
-
근대 개항기 삼척 출신 문인. 홍택섭(洪宅燮)은 구암(龜巖)홍지섭(洪志燮)의 문인으로, 동학농민운동에 반대하여 의거하였다. 통정대부와 비승을 지냈다. 홍택섭(洪宅燮)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치형(穉衡)이며, 호는 암헌(巖軒)이다. 참봉 홍벽(洪壁)의 후손이다. 홍택섭은 예의요해(禮義要解), 권학해설(勸學解說), 서당학규(書堂學規)를 지은 홍...
-
조선 전기 삼척 출신 무신. 홍확은 조선선조 때 삼척 출신 무신이다. 알성무과에 급제한 후 훈련습독, 울진포 만호, 창주첨사, 창성부사 등의 관직을 지냈다. 삼척 남양리에 삼락정을 지었다. 홍확(洪確)[1543~1621?]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강수(剛叟)이며, 호는 영소당(永嘯堂)이다. 할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홍연복(洪衍福), 아버지는 전 참봉...
-
근대 개항기 삼척 지역의 효자. 김동일(金東一)의 본관은 삼척(三陟)이다. 자는 화극(華極)이고, 호는 이락재(二樂齋)이다. 조부는 참봉(參奉)을 지낸 김응경(金應慶)이며, 부친은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지낸 김원혁(金源赫)이다. 김동일은 서울에 유학하여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지만 낙향하였다. 부모의 마음을 즐겁게 하고 의로움을 행하는 것에 모든 정성을 다하...
-
조선 후기 삼척 지역의 호장. 김상구(金尙矩)의 본관은 삼척(三陟)이다. 자는 치경(致慶)이며, 호는 화사(花史)이다. 실직군왕김위옹(金渭翁)의 후손이다. 김상구는 삼척도호부 호장으로 있었다. 1754(영조 30) 삼척부사가 보관하고 있던 태조의 하사품 홍서대(紅犀帶)를 직접 가지고 가서 왕에게 보였더니 왕은 태조의 유품을 오래도록 보관한 공을 기려 특별히 조...
-
조선 후기 삼척 출신 문신. 홍온(洪溫)[1683~1756]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화숙(和叔)이다. 동추부사 홍우성(洪禹成)의 아들이다. 동추(同樞)의 벼슬을 받고 보사원종공신(保社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인조 때 허견(許堅)[?~1680]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른 송재(松齋)홍응부(洪應溥)의 손자이다. 홍온은 1742년(영조...
-
강원도 삼척의 산간지역에서 이루어졌던 농업 방법. 고산지는 산간의 삼림지에 입지하고 있는 관계로 교통이 불편하고 산지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기온이 낮아지며 일조시수가 적고 바람이 심할 뿐 아니라 생육기간이 짧고 경사가 급해 토양 유실이 많은 곳이다. 산간지에 정착하기에는 이러한 제약이 따르게 되어 경지개척도 대단히 제한될 수밖에 없고 화전농업이 하나의 대안이 되었을 수 있...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에 있는 법정리. 고천리 지역은 두타산 밑에서 발원하는 하천이 직선으로 뻗어 흐른다 하여 고든내[직천(直川)]라 하였다가 이것이 와전되어 고내[화천(花川)]로 일컬어졌다. 그러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고천(古川)으로 명명되었다. 조선 선조 때 근덕면 교곡리에서 김철신(金喆信)이 이주하고 이후 고성안첨사 진우일(陣友...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불씨 보존용으로 사용하던 화로의 일종. 상부는 작은 솥을 걸 수 있을 정도로 파여 있으며, 전면은 아궁이 입처럼 뚫어져 있다. 상부와 하부는 서로 막혀 있다. 화투라고도 하며, 불씨 보존 용구이다. 부뚜막 옆에 진흙으로 만들어 놓은 일종의 화로로, 상부의 파인 곳에는 관솔불을 피우거나 뜬숯[장작을 때고 난 뒤나 참숯을 꺼서 만든 숯]을 모아 두기도...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있는 국내 최대규모의 석회암 개방 동굴. 환선굴(幻仙窟)은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석회암 개방 동굴이다. 환선굴은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에 속하는 석회암 동굴로 천연기념물 제178호로 지정되어 있다. 환선굴(幻仙窟)이 있는 강원도 신기면 대이리는 본래 도계읍 지역이었다. 1989년 4월 도계...
-
삼척시농업기술센터와 계성농장이 협력하여 개발한 지역 특산물. 삼척시농업기술센터가 개발한 ‘환선란’은 도계읍 소재 닭 사육 농가인 계성농장(현재 계성양계영농조합)에서 농업기술센터로부터 기술을 전수받아 2013년까지 생산하였다. 환선란은 참숯분말, 목초액, 당귀 등의 사료로 기른 닭이 낳은 계란이다. 축산개발연구소 등 5개 축산 전문기관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환선...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고무릉길 49번지에 위치한 농촌 체험 휴양 마을. 백두대간 중심부인 두타산과 덕항산의 중심부에 위치한 마을로, 구 38국도신기면 사무소 삼거리에서 대이리 동굴 지대로 향하는 환선로를 통해 마을에 접근할 수 있다. 동양 최대의 석회암 동굴인 환선굴에서 6㎞ 전에 있다. 5분 이내 거리에는 대금굴과 관음굴이 있다. 연간 100만여 명이 찾는...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에서 관광객의 안전과 삼척시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하여 개최되는 행사. 환선제는 1998년 삼척시신기면번영회 주관으로 처음 개최되었으며, 이후 2000년부터 환선제위원회가 결성되면서 매년 10월에 열리고 있다. 1998년 신기면번영회가 처음으로 주관하여 개최하였다. 이후 2000년부터 매년 10월에 동양 최대 규모의 석회 동굴인 환선굴과 대금...
-
강원도 삼척 일대에서 자생하고 있는 할미꽃. 강원도 삼척시 대이리에는 환선굴과 대금굴 등 대이리동굴지대가 있다. 석회암 지대인 환선굴 부근에 세계 희귀종인 환선할미꽃이 자라고 있다. 주변 환경은 계곡을 흐르는 강의 물이 맑고, 울창한 원시림으로 풍경이 매우 아름답다.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 내내 많은 사람이 동굴 구경을 오는 곳으로 유명하다. 오랫동안...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은 고려 때 목조 황고비(皇考妣)가 살던 곳이었다. 본래 황터[황기(皇基)]라고 부르다가 나중에 활기[궁기(弓基)], 활계(闊鷄) 등으로 와전되었다. 『여지도서』에는 활지(活只)로 기록되었고, 나중에 이중하(李重夏)[1846~1917]가 활기(活耆)라 하였다. 조선 숙종 때 진선업(陣善業)이 이주하고, 이후...
-
강원도 삼척시 출신의 민화 작가 이규황과 황승규의 작품 및 생애. 민화는 민중 화가가 민중을 위하여 그린 그림이다. 민화는 예술을 위한 예술이 아니라 삶을 위한 예술로, 일반 민중의 실용 요구에 응해 그려진 소박하고 꾸밈없는 그림이다. 민화는 또 민중의 꿈, 사랑, 믿음을 표현한 그림이다. 민화는 민중의 가슴속에 공유하고 있는 꿈과 희망을 솔직하게 표현한 그림으로, 민중...
-
강원도 삼척 출신의 황승규가 그린 민화. 황승규(黃昇奎)[1886~1962]는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서 거주하면서 이 초시로 알려진 이규황(李圭璜)[1868~1926]으로부터 민화를 처음 배웠다. 황승규는 해서, 행서, 초서 등 글씨에도 조예가 깊은 예술가였다. 황승규의 본관은 평해(平海), 호는 석강(石岡)이다. 호보다는 황노인이라는 별칭이 더 잘 알져져 있...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초곡길 176에 있는 마라톤 선수 황영조를 기념하기 위하여 꾸민 공원. 황영조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한국 마라톤 선수로는 1936년 손기정(孫基禎)[1912~2002] 이후 56년 만에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며, 대한민국 사상 첫 금메달이다. 당시 바르셀로나 주경기장 서쪽의 급경사로 이뤄진 난코스인 ‘몬주익 언덕’에서...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황장목을 벌목하면서 불렀던 노래. 강원도 삼척시는 남으로 백두대간이 줄기차게 내리뻗고 동서로 높고 가파른 고개가 우거져 아름드리나무들이 가득하다. 이 나무들을 금강송이라 부르고, 때로는 황장목이라고도 부른다. 금강송이란 단단한 나무를 이르는 말이고, 황장목(黃腸木)은 나라에서 사용하려고 금표를 설치하여 관리하는 금강송을 이르는 말이다. 나...
-
강원도 삼척시 전역에 서식하는 매목 매과 텃새. 주로 도시나 시골 마을 근처에 살며, 도시의 건물에서도 번식한다. 먹이를 찾으려고 공중을 빙빙 돌다가 한순간 정지비행을 하는 습성이 있는 매목 매과 텃새로, 도심에 적응한 맹금류이다. 수컷의 등은 진한 갈색 바탕에 옅은 갈색의 반점이 있다. 황갈색의 배에는 커다란 검은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머리는 회색이다. 꼬리는 회색...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있는 법정리. 황조리의 명칭은 지역 가운데 황소혈(黃巢穴)이라는 유명한 묘가 있어서 마을 이름을 황새[黃鳥]라 부른 것이 황조리가 되었다. 황조리는 최초 고천삼(高千三)이 개척한 마을로 후에 김녕 김씨, 진주 강씨 등이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수는 1916년 52호 239명, 1962년 62호 420명, 1982년 44호 3...
-
강원도 삼척시 도경동에 있던 정자. 강원도 삼척시 도경동 오십천 바위섬 위에 있었다고 전한다. 조선 성종 때 형조참판을 지낸 강릉 사람 최응현(崔應賢)[1428~1507]이 벼슬을 그만두고 이곳 오십천 길목 바위섬에다 정자를 지어 놓고 산수 경관을 관상하던 곳이 척주팔경의 하나인 회강정(廻江亭)이다. 강물이 휘돌아 흐르는 곳이라 하...
-
강원도 삼척 전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올빼미과 올빼미속 텃새. 올빼미는 주로 등줄쥐를 주식으로 하는 한국 특산 아종으로, 삼척 전역의 숲이나 노거수 밑둥의 파인 구멍에 서식하는 맹금류 텃새이다. 올빼미 몸길이는 38㎝ 정도이다. 둥근 머리에 귀털[이우(耳羽)]가 없고, 몸통 전체가 몹시 얼룩진 세로무늬가 있는 황갈색이다. 배는 담색이며, 많은 세로무늬...
-
강원도 삼척 전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올빼미과 올빼미속 텃새. 올빼미는 주로 등줄쥐를 주식으로 하는 한국 특산 아종으로, 삼척 전역의 숲이나 노거수 밑둥의 파인 구멍에 서식하는 맹금류 텃새이다. 올빼미 몸길이는 38㎝ 정도이다. 둥근 머리에 귀털[이우(耳羽)]가 없고, 몸통 전체가 몹시 얼룩진 세로무늬가 있는 황갈색이다. 배는 담색이며, 많은 세로무늬...
-
근대 개항기 삼척 지역 의병이자 문신. 김헌경(金憲卿)[?~1910]의 본관은 강릉(江陵)이다. 자는 장익(章益), 호는 휘남(輝南)이다. 우고(愚皐)김연중의 조카이다. 김헌경은 강릉 출신으로, 1907년 군주사(郡主事)가 되었다. 판임관(判任官) 4등이었다. 성품이 강직하고, 부모와 형제간 효우가 돈독하였고, 유교 경전에 박식하였으며, 글씨를 잘 썼다. 18...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경작을 하지 않는 고대적 농경 방식. 산간 지역에서 급격한 인구의 유입 등에 의하여 화전이 증가하게 되지만 시비법이 보급되지 못하거나 시비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경우 휴경을 할 수밖에 없다. 해발 고도가 높은 한랭한 고산지대에 적합한 화전 작물은 귀리, 감자, 옥수수 등인데 이들 작물은 공중질소고정을 하는 콩 등의 작물보다는 지력...
-
고려 후기에 현재의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이자 학자. 이승휴의 자는 휴휴(休休)이고, 자호(自號)는 동안거사(動安居士)이다. 경산부(京山府) 가리현(加利縣) 사람으로, 가리이씨 시조이다. 1287년에 삼척 삼화사 용안당에서 『제왕운기』와 『내전록』을 저술하였다. 가리이씨(加利李氏)의 시조이며, 가계는 자세하게 전해지지 않는다. 아들은 이연종이다....
-
일제강점기 삼척 출신 독립운동가. 김동호(金東鎬)[1877~1924]의 본관은 삼척이다. 고조부는 김득선(金得先), 증조부는 김우경(金佑京), 조부는 김재언(金載彦), 아버지는 김시영[족보에 올라간 이름은 홍간(弘侃)]이다. 김동호는 1915년 8월 25일(음 7월 15일) 대구달성공원에서 풍기의 광복단과 대구의 조선국권회복단이 통합하여 비밀, 폭동, 암살을...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흥전안길 137번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하게 자라는 흥전 어린이’이며, 교육 목표는 ‘새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꿈 자람],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참 자람], 몸과 마음이 조화로운 건강한 어린이[힘 자람], 모두가 함께하는 행복한 어린이’이다. 1963년 11월 22일 흥전 공립 국민학...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있는 법정리. 허목의 『척주지』에는 이 지역을 삼물탄(三勿呑)이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삼전(三田), 초전(草田) 등 자연마을의 전(田)자와 응암(鷹岩)의 응(鷹)자가 흥(興)자로 와전된 것이 합쳐져 흥전(興田)이 되었다. 조선 숙종 때 밀양 박씨 이후 삼척 김씨, 영일 정씨, 파평 윤씨, 남양 홍씨 등이 이주하며...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흥전안길 137번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하게 자라는 흥전 어린이’이며, 교육 목표는 ‘새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꿈 자람],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참 자람], 몸과 마음이 조화로운 건강한 어린이[힘 자람], 모두가 함께하는 행복한 어린이’이다. 1963년 11월 22일 흥전 공립 국민학...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흥전안길 137번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하게 자라는 흥전 어린이’이며, 교육 목표는 ‘새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꿈 자람],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참 자람], 몸과 마음이 조화로운 건강한 어린이[힘 자람], 모두가 함께하는 행복한 어린이’이다. 1963년 11월 22일 흥전 공립 국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