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 있는 법정리. 교곡리는 무릉천(武陵川) 상류에 위치하여 교량 가설이 다소 많아서 다래실, 다리실이라고 불리기도 하다가 한자로 표기하며 교곡리(橋谷里)가 되었다. 이문성(李文聖)이 처음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전해지지만 자손은 다 흩어지고 선조 때 김국주(金國柱), 숙종 때 정임주(鄭任柱) 및 박천봉(朴天奉) 등이 이주하며 형성되었...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 있는 법정리. 교곡리는 무릉천(武陵川) 상류에 위치하여 교량 가설이 다소 많아서 다래실, 다리실이라고 불리기도 하다가 한자로 표기하며 교곡리(橋谷里)가 되었다. 이문성(李文聖)이 처음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전해지지만 자손은 다 흩어지고 선조 때 김국주(金國柱), 숙종 때 정임주(鄭任柱) 및 박천봉(朴天奉) 등이 이주하며 형성되었...
-
강원도 삼척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시책. 자본과 노동의 국제적 이동 및 국제결혼이 늘어나면서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인종적·문화적 편견 등의 이유로 차별과 경제적 어려움, 언어 장벽, 자녀양육의 어려움, 이로 인한 이혼율 증가 등의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 2013년 8월 삼척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개...
-
강원도 삼척 지역 단오 풍속의 특징. 5월 5일은 단오(端午)로, 옛날엔 술의(戌衣)날이라 하여 이날을 명절로 삼아 조상에게 차례를 지냈다. 특히 이날 약쑥을 베어 여기에 차례를 지낸 제주(祭酒)를 뿌려서 그늘에 매달아 두었다가 마르면 1년 내내 약으로 쓰는 풍습이 있다. 단오는 더운 여름을 맞기 전 초하(初夏)의 계절이며,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기풍제이기도...
-
강원도 삼척 지역 단오 풍속의 특징. 5월 5일은 단오(端午)로, 옛날엔 술의(戌衣)날이라 하여 이날을 명절로 삼아 조상에게 차례를 지냈다. 특히 이날 약쑥을 베어 여기에 차례를 지낸 제주(祭酒)를 뿌려서 그늘에 매달아 두었다가 마르면 1년 내내 약으로 쓰는 풍습이 있다. 단오는 더운 여름을 맞기 전 초하(初夏)의 계절이며,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기풍제이기도...
-
강원도 삼척시에 속하는 법정동. 당저동은 두랑산(斗郞山)이 있는 성황당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당밑거리[堂底街]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월계동(月桂洞)과 옥서동(玉瑞洞)을 합하여 현재의 당저동(塘底洞)이 되었다. 당저동은 원래 실직씨가 살던 곳이라 하였는데 그 후 심(沈)씨, 김(金)씨, 이(李)씨, 정(鄭)씨 등 여러 성씨가 이...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기리는 성황당(城隍堂)의 크기가 다른 마을보다 컸던 이유로 대기(大基), 또는 한터라고 하였다. 아울러 이 지역의 점구터(店舊基)를 대장터(大場基)라고 한데서 대기리(大基里)가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여지도서』에도 대기리(大基里)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효종 때 밀양 박씨가 개척한 것으로 알려져...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한소리와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에 걸쳐 있는 산. 대덕산(大德山)은 태백산맥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해발고도 1307m 산이다.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한소리(汗沼里)와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蒼竹洞)의 경계를 이룬다. 대덕산의 명칭은 산을 멀리서 보면 산 정상이 크고 둥근 모양을 하고 있는 것에서 유래했다. 일설에는 산 정상이 크...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갈남리에 있는 섬. 월미도는 해발고도 20m, 둘레 500m의 돌섬으로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갈남리 갈산 마을 앞바다 500m 지점에 있다. 월미도는 큰섬, 갈남섬, 대도섬이라고도 불리는데 마을 사람들은 주로 큰섬이라고 부른다. 갈남마을 앞에 있는 가장 큰 섬이기 때문에 갈남섬이라고도 한다. 1970년대 마을 주민들에 의해 인천...
-
현대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조직된 반공 청년운동 단체. 대동청년단은 한국광복군 총사령관을 지낸 지청천(池靑天)[1888~1957]이 모든 청년운동 단체를 통합하여 더욱 강력한 반공 단체를 결성하기 위하여 조직되었다. 대동청년단은 대동청년단을 중심으로 청년조선총동맹, 국민회청년단, 대한독립청년단, 서북청년회 등이 모여서 결성된 통합 청년운동 단체인 대한청년단에...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고천리에 있는 골짜기이다. 죽방골이라고도 하며,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고천리 본동 마을과 두타산까지의 골짜기이다. 옛날 마을 주민들이 대나무가 많은 동네라 하여 죽방곡이라 하다가 언제부터인가 대방골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현대 지도에는 죽방곡이라 표기되어 있다. 대방골 주변에는 발원지인 두타산을 비롯하여 갈밭등산[665m],...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은 정선군과의 경계에 용소(龍沼)가 있어 한소[대소(大沼)]라 일러 왔다. 허목(許穆)[1595~1682]의 『척주지』에는 한이수(汗伊藪)라 기록하기도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한소리(汗沼里)가 되었다. 일설에는 한수리(寒水里)라고도 한다. 조선 태종 때 김취원(金就元)이 이주하고 이후 송씨,...
-
강원도 삼척시 당저동에 위치한 대순진리회 삼척회관. 증산교(甑山敎) 계통의 민족 종단 가운데 하나인 대순진리회의 삼척회관이다. 대순진리회는 태극도(太極道)에서 분리되었으며, 현재 수십 개에 이르는 증산교 계통의 종단 가운데 교세가 가장 크고 활동도 왕성하다. 삼척회관은 2007년 4월 3일 소속 방면 도인들이 참례한 가운데 개관 기념 치성을 봉행하였다. 삼척회...
-
강원도 삼척시 당저동에 위치한 대순진리회 삼척회관. 증산교(甑山敎) 계통의 민족 종단 가운데 하나인 대순진리회의 삼척회관이다. 대순진리회는 태극도(太極道)에서 분리되었으며, 현재 수십 개에 이르는 증산교 계통의 종단 가운데 교세가 가장 크고 활동도 왕성하다. 삼척회관은 2007년 4월 3일 소속 방면 도인들이 참례한 가운데 개관 기념 치성을 봉행하였다. 삼척회...
-
조선 후기 삼척 출신의 문인. 홍응부(洪應溥)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대이(大而), 호는 송제(松齊)이다. 봉사(奉事) 홍연해(洪㶌海)의 아들이다. 홍응부는 어려서부터 현자를 사모하고 의리를 강론하는 것을 좋아하였다. 또 옳고 그른 것을 구분하여 바른 것을 지키는 데 흔들림이 없었다. 정묘호란 때는 관동 지방에서 치서(馳書)하여 여러 차례 강홍립의 죄...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있는 국내 최대규모의 석회암 개방 동굴. 환선굴(幻仙窟)은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석회암 개방 동굴이다. 환선굴은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에 속하는 석회암 동굴로 천연기념물 제178호로 지정되어 있다. 환선굴(幻仙窟)이 있는 강원도 신기면 대이리는 본래 도계읍 지역이었다. 1989년 4월 도계...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동굴 지대에 있는 석회암 동굴. 관음굴 입구의 크기는 폭 4.2m이며, 높이는 3m이다. 주굴의 길이가 1.2㎞이며, 지굴의 길이가 0.4㎞이다. 관음굴(觀音窟) 내부에는 4개의 폭포가 있다. 관음굴은 환선굴과 함께 대이리동굴군[천연기념물 제178호]을 구성하고 있다. 관음굴은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大耳里)에 있다...
-
강원도 삼척 지역의 석회암 동굴지대.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는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산117번지에 있는 석회암 동굴 지대로 1966년 6월 15일 천연기념물 제178호로 지정 되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굴은 ‘환선굴(幻仙窟)’, ‘관음굴(觀音窟)’, ‘사다리바위바람굴’, ‘양터목세굴’, ‘덕밭세굴’, ‘큰재세굴’ 6곳이 있다.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는...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이리는 대이리 서쪽에 대석굴이 있었기 때문에 본래 대굴(大窟), 한굴 등으로 불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대이리(大耳里)로 바뀌었다. 조선 인조 때 경주 이씨가 이주하여 토지를 개간하며 농업과 교육에 종사했다고 했다. 이후 안동 김씨, 전주 이씨 등이 이주했다. 호구수는 1916년 36호...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동굴 지대에 있는 석회암 동굴. 양터목세굴은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산117번지에 있는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三陟大耳里洞窟地帶)[천연기념물 제178호]에 속해 있는 석회암 동굴이다. 양터목세굴은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있다. 대이리는 본래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지역으로 1989년 4월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신...
-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동굴지대에 속해 있는 석회암 동굴. 큰재세굴은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에 속해 있는 석회암 동굴이다. 큰재세굴은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에 속해 있는 동굴로 1966년 6월 15일 천연기념물 제 178호로 지정되었다. 큰재세굴은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있다.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는 본래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지역...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대전리라는 명칭은 이 지역이 인근 마을보다 조금 더 넓은 지역이라 하여 큰밭·한밭 등으로 부른 데서 유래하며, 한자로 표기되면서 대전(大田)이 되었다. 본래 김씨가 처음 개척한 마을이었다. 이후 조선인조 때 송해경(宋海景)과 김효근(金孝謹)이 이주해 온 후 정씨, 이씨, 한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
-
강원도 삼척시의 근산에 있던 사당.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근산 꼭대기에 근산사가 있었는데 세간에 대천왕사라고 하여 고을 사람들이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낸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척 지역 주민 가운데 태백산사 외 근산에서 제사를 지내는 사람들이 높이 받들던 천왕신으로부터 유래한다. 현재 근산사는 실전하였지만 태고종 계통의 구방사라고 하는 사찰...
-
강원도 삼척시 오분동에서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로 넘어가는 고개. 한재[漢峙]는 해발고도 102.6m로 과거 강원도 삼척부에서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했던 산줄기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고개이다. 한재라는 명칭은 큰 고개란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한재는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황조리의 응봉산[1267....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평리는 명칭의 정확한 유래는 전해지는 것이 없으나 예전부터 대평(大坪), 큰드루라 불러왔다. 전국에 다수 분포하는 대평리라는 지명이 비교적 넓은 평지가 있는 경우에 유래된 것으로 보아 맥락으로 유추할 수 있다. 조선 세조 때 손씨, 이씨, 양씨 등이 개척하였다고 하나 이후 그 후손들은 각 처로 이주했...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평리에 있는 마을 제단과 제의. 매년 정월 초에 대평리에서는 날을 받아서 천제와 서낭제를 지낸다. 대평리를 구성하는 본마을과 버들골, 사무실 사람들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의 정성을 모아 천제를 지내며, 이후 본마을 서낭당에서 서낭제를 지낸다. 이후 버들골과 사무실에서 날을 받아 각각 서낭제를 지낸다, 이를 통해 대평리 전체 마을 주민들의 안녕과 풍...
-
강원도 삼척시 대학로 31번지 대학로공연장에 있는 문화 휴식 공간. 대학로 음악분수공원은 음악에 따라 작동되는 분수가 다채로운 조명과 함께 환상을 자아내고, 각종 문화 행사 및 공연을 위하여 설치한 무대에서는 시민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하는 행사가 줄을 잇고 있어 도심 속 시민 휴식 공간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대학로 문화 휴식 공간은...
-
현대 강원도 삼척 지역의 국민운동단체. 1946년 민족주의 정당들이 모여 구성한 국민 운동 추진 단체인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삼척군지부는 먼저 발족된 삼척우국동지회를 모체로 해서 1946년 4월 13일 김동석(金東錫), 김중열(金重烈) 등이 중심이 되어 발족되었다. 초대회장은 김동석, 부회장은 김진구(金振九)와 김기덕(金基悳)이었다. 김동석은 9대까지 계속해서 회장에 선출되는 등 약...
-
1949년에 결성된 우익 청년운동 단체인 대한청년단의 삼척군 지부. 1948년 12월 19일 족청(族靑)·독청(獨靑) 등 8개 청년단체 통합과 800만 명의 단원을 포옹하고 민족 청년 운동의 우익 활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대한청년단이 결성되었다. 삼척군단부는 이듬해인 1949년 강원도단부가 결성된 후 조직되었다. 대한청년단은 ‘우리 대한민국은 국제연합의 승인을 받은 정정당...
-
강원도 삼척시 정상동 육향산에 있는 비석. 삼척 척주동해비와 평수토찬비는 강원도 삼척시 정상동육향산 정상부 일대에 위치하며, 1971년 12월 16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되었다.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는 조선시대 삼척부사 허목(許穆)[1595~1682]이 1661년(현종 2)에 세운 비석(碑石)이다. 허목이 1660~1662년...
-
강원도 삼척시 육향산에 있는 비석. 대한평수토찬비는 강원도 삼척시 정라동육향산 정상부의 육향정 바로 밑에 위치하며, 척주동해비와 근거리에 함께 있다. 조선현종 때인 1660년(현종 원년) 삼척부사로 부임한 허목이 짓고 쓴 것이다. 당시 허목이 중국형산(衡山)에 있는 하(夏)나라 시조 우제(㝢帝)가 썼다는 형산비에서 대우수전 77자 가운데 48자를 모아...
-
일제강점기 삼척 출신 독립운동가. 김동호(金東鎬)[1877~1924]의 본관은 삼척이다. 고조부는 김득선(金得先), 증조부는 김우경(金佑京), 조부는 김재언(金載彦), 아버지는 김시영[족보에 올라간 이름은 홍간(弘侃)]이다. 김동호는 1915년 8월 25일(음 7월 15일) 대구달성공원에서 풍기의 광복단과 대구의 조선국권회복단이 통합하여 비밀, 폭동, 암살을...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상사전리에 속하는 고개. 댓재의 해발고도는 810m로 강원도 삼척시의 두타산과 남쪽 능선에 있는 황장산[976m]의 안부에 해당된다. 백두대간 종주 코스에서 반드시 지나치는 고개이다. 댓재라는 명칭은 산죽이 군락을 이루고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죽치(竹峙), 죽현(竹峴), 죽령(竹嶺)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선캄브리아기의 태백산층...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속하는 산. 덕봉산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있는 해발고도 54m의 산이다. 과거에는 섬이었으나 현재의 덕산해변인 육계사주[육지로부터 돌출 성장하여 가까운 섬에 연결된 사주]에 의해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이다. 덕봉산은 산 모양이 물더덩[물독의 방언]과 흡사하여 ‘더멍산’이라는 속칭을 가지고 있었는데, 한자로 표기...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속하는 산.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속하는 해발고도 1,071m 산으로 동양 최대의 자연 동굴을 품고 있다. 옛날 먹거리가 부족해 한 평의 경작지가 아쉬웠던 때에 강원도 삼척 지역의 대이리·대기리 주민들은 “가파른 산을 넘으면 화전을 일구기 좋은 평평한 땅이 있어 덕을 볼 수 있다.“고 하여 덕메기산이라고 불렀으며, 이를...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동굴 지대에 속해 있는 석회암 동굴. 덕밭세굴은 동굴 입구의 크기가 장경 3m, 단경 1.9m이며, 통로가 수직으로 발달한 수직 석회암 동굴이다. 덕밭세굴은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에 속한 굴로 1966년 6월 15일 천연기념물 제178호로 지정되었다. 덕밭세굴은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있다. 대이리는 본래 강원도 삼...
-
강원도 삼척시에 속하는 면. 맹방리, 교가리, 부남리, 궁촌리, 장호리, 임원리 등 14개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1630년(인조 8) 삼척부사 이준(李埈)[1560~1635]이 근덕과 원덕을 합한 지역을 덕번이라 하였다. 근덕면은 근덕이란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삼척부에서 가까운 덕번이라는 뜻이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근덕면은 영조 연간에 불리기...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속하는 산. 덕봉산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있는 해발고도 54m의 산이다. 과거에는 섬이었으나 현재의 덕산해변인 육계사주[육지로부터 돌출 성장하여 가까운 섬에 연결된 사주]에 의해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이다. 덕봉산은 산 모양이 물더덩[물독의 방언]과 흡사하여 ‘더멍산’이라는 속칭을 가지고 있었는데, 한자로 표기...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속하는 산. 덕봉산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있는 해발고도 54m의 산이다. 과거에는 섬이었으나 현재의 덕산해변인 육계사주[육지로부터 돌출 성장하여 가까운 섬에 연결된 사주]에 의해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이다. 덕봉산은 산 모양이 물더덩[물독의 방언]과 흡사하여 ‘더멍산’이라는 속칭을 가지고 있었는데, 한자로 표기...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속하는 산. 덕봉산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있는 해발고도 54m의 산이다. 과거에는 섬이었으나 현재의 덕산해변인 육계사주[육지로부터 돌출 성장하여 가까운 섬에 연결된 사주]에 의해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이다. 덕봉산은 산 모양이 물더덩[물독의 방언]과 흡사하여 ‘더멍산’이라는 속칭을 가지고 있었는데, 한자로 표기...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있는 덕봉산의 유래담. 원래 섬이었는데 육지와 연결되어 육계도가 되었고, 이름도 덕산도에서 덕봉산으로 바뀌었다. 2005년 8월 30일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 일대를 답사하며 채록하였다. 제보자는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 2반에 거주하는 조정자[66세, 여], 김종상[70세, 남], 이두강[79세, 여]이다.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속하는 산. 덕봉산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있는 해발고도 54m의 산이다. 과거에는 섬이었으나 현재의 덕산해변인 육계사주[육지로부터 돌출 성장하여 가까운 섬에 연결된 사주]에 의해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이다. 덕봉산은 산 모양이 물더덩[물독의 방언]과 흡사하여 ‘더멍산’이라는 속칭을 가지고 있었는데, 한자로 표기...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속하는 산. 덕봉산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있는 해발고도 54m의 산이다. 과거에는 섬이었으나 현재의 덕산해변인 육계사주[육지로부터 돌출 성장하여 가까운 섬에 연결된 사주]에 의해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이다. 덕봉산은 산 모양이 물더덩[물독의 방언]과 흡사하여 ‘더멍산’이라는 속칭을 가지고 있었는데, 한자로 표기...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있는 제의 공간. 양야산 봉수(烽燧)가 있는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의 제의 공간은 성황당, 덕봉산에 있는 당지바위와 부소바위, 그리고 기우제를 지냈던 회선대, 양야산에 있는 봉할머니당 등이 있다. 마을 제의는 성황제, 3년에 한 번 실시한 풍어제, 어민들에 의해 행해진 동짓달 고사가 있다. 마을에서 봉화산이라고 부르는 산 정...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 있는 법정리. 덕산리의 명칭은 덕봉산(德峯山) 아래 위치한 입지로 인하여 유래되었다. 전주 이씨가 처음 이주했다고 전한다. 이후 이씨, 김씨, 최씨, 박씨 등이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119호 670명, 1962년 229호 1233명, 1982년 243호 1198명, 1995년 260호 795명이다....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있는 해변. 덕산해변은 총 길이 1.5㎞로 마읍천을 경계로 맹방해변과 접하며 육계도인 덕봉산[54m]의 남쪽 해변이다. 해안사구를 따라 건설된 산책로 남쪽에는 덕산항[남애포]이 있으며, 스킨스쿠버·윈드서핑·수상스키 등 해양 스포츠 및 해양 관광을 위한 강원대학교 해양관광레저스포츠센터도 있다. 삼척 수중 비경 촬영 및 해양레저스포츠...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에 있는 해변. 덕산해변은 총 길이 1.5㎞로 마읍천을 경계로 맹방해변과 접하며 육계도인 덕봉산[54m]의 남쪽 해변이다. 해안사구를 따라 건설된 산책로 남쪽에는 덕산항[남애포]이 있으며, 스킨스쿠버·윈드서핑·수상스키 등 해양 스포츠 및 해양 관광을 위한 강원대학교 해양관광레저스포츠센터도 있다. 삼척 수중 비경 촬영 및 해양레저스포츠...
-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와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덕풍리에 걸쳐 있는 계곡. 강원도 삼척시와 경상북도 봉화군과 경상북도 울진군에 걸쳐 있는 응봉산[999m]의 북서쪽에 덕풍계곡이 있다. 덕풍계곡은 천미터가 안되는 산에 용소골, 보리골, 문지골, 재량박골, 굉이골 등 계곡이 다섯개가 있어 계곡이 풍부하다는 뜻의 풍곡리(豊谷里)에서 시작하여, 마을이 끝나는 곳에...
-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덕풍계곡 입구에 위치한 마을. 강원도 최남단에 있으며,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와 경계를 이룬다. 응봉산과 덕풍계곡으로 산세가 빼어나며, 산양이 서식하고 산삼이 자생하는 등 산림 자원이 풍부하다. 고추, 마늘 등 농산물을 주 소득원으로 하는 산촌 전형 마을이다. 폐광과 잇달은 태풍으로 마을이 어려움에 처하기도 하였지만 지역의...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속하는 산.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속하는 해발고도 1,071m 산으로 동양 최대의 자연 동굴을 품고 있다. 옛날 먹거리가 부족해 한 평의 경작지가 아쉬웠던 때에 강원도 삼척 지역의 대이리·대기리 주민들은 “가파른 산을 넘으면 화전을 일구기 좋은 평평한 땅이 있어 덕을 볼 수 있다.“고 하여 덕메기산이라고 불렀으며, 이를...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덕항산에서 매년 10월에 개최되는 등반대회.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과 하장면에 걸쳐 자리하고 있는 덕항산은 높이가 1071m이다. 덕항산은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한다. 북쪽에는 두타산(頭陀山)[1355m], 서쪽에는 삼봉산(三峰山)[1232m], 남쪽에는 매봉산(梅峰山)[1303m], 동쪽에는 깃대봉[802m] 등이 솟아 있다. 산...
-
태음력에서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태진 달. 윤달은 윤월(閏月)이라고도 불린다. 윤달이 있는 해는 13개월이다. 가외로 더 있는 달이기 때문에 공달[공월(空月)], 덤달, 여벌달, 남은달이라고 부른다. 윤달에는 아무런 재액(災厄)이 없기 때문에 이장 등 평소 꺼리던 어떤 일을 하더라도 전혀 거리낌이 없다고 믿어 왔다. 달력의 계절과 실제 계절 간 차이를 조절하기...
-
강원도 삼척시 도경동에 있던 삼척서부초등학교의 분교장. 1963년 1월 2일 삼척국민학교 도경분교장 설립 인가를 받고 3월 분교로 개교하였다. 1964년 12월 1일 다시 도경국민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88년 3월 1일 삼척서부국민학교 도경분교장으로 격하되었다가 1999년 9월 1일 삼척서부초등학교에 통폐합, 폐교되었다. 1. 교가 다북산 기슭에 아침 햇...
-
강원도 삼척시에 속하는 법정동. 도경동 지역은 이웃의 다른 마을보다 지세(地勢)[땅의 모양]가 높은 곳에 위치했기 때문에 본래 돈경(敦境), 도든지경, 된경 등으로 불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구무바우를 합하여 도경(桃京)이라 하였다. 달곡, 궁검곡, 다악곡, 천곡, 혈암동 등은 등봉동에 소속되었으나 1905년에 통합되었다. 강원도 삼척시...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와 심포리 일원의 오봉산에 조성되는 등산로.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와 심포리 일원에 조성되는 등산로가 검댕이길이다. 삼척시 도계 지역은 삼척탄전이 있던 대표 폐광 지역이다. 검댕이길 조성은 도계읍오봉산과 대덕산을 연계한 관광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으로, 폐광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관광 소득 증대를 위하여 폐광 지역 관광벨트화 사업...
-
강원도 삼척시 도계 지역 석탄 산업의 변천사와 도계 경제살리기 대정부 투쟁. 도계 지역 석탄 산업은 일제강점기 시대에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이곳은 광복 이후 우리나라 에너지 공급의 메카였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 들어 국가 경제의 고속 성장과 청정에너지 요구가 커지면서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이 수립되었다. 이에 따라 도계 경제살리기 대정부 투쟁이 시작되었다...
-
강원도 삼척시가 운영하는 장학재단. 도계장학재단은 「공익법인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설립되었고, 기부 금품 접수는 「기부 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다. 도계장학재단은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출신자와 강원대학교 도계 캠퍼스 재학생 가운데 가정 환경이 어려운 학생이나 유능한 인재를 선발하여 장학금을 지급하는 장학 사업이다. 장...
-
강원도 삼척시 도계 지역에서 5일마다 형성되는 시장. 오일장은 옛날부터 지역 내외 농산물과 공산품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5일마다 형성되는 시장을 통하여 물품을 매매하는 전통시장을 말한다. 오일장은 조선 시대의 장시(場市)에서 역사를 찾을 수 있다. 장시는 농민, 수공업자, 어민 등 직접 생산자들이 일정한 날짜와 장소에서 서로 물산을 교환하던 정기 시장이다. 장시는 조선...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69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근면, 봉사, 단결’이고, 교육 목표는 ‘삶을 기획하고 열정으로 실천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이다. 1966년 12월 28일 도계실업고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67년 4월 11일 9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74년 3월 1일 도계종합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81년 3월 11일 도계종합고등...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69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근면, 봉사, 단결’이고, 교육 목표는 ‘삶을 기획하고 열정으로 실천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이다. 1966년 12월 28일 도계실업고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67년 4월 11일 9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74년 3월 1일 도계종합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81년 3월 11일 도계종합고등...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지역에서 재배되는 특산물. 도계고원포도는 해발 400m 이상의 태백산맥 준령에서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된다. 도계고원포도는 2010년 탑푸르트 품질평가에서 우수상을 받았으며, 무농약·유기 농산물 생산으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품질 인증을 획득하였다. 도계고원포도는 60여 명의 생산 농민들이 50㏊의 포도원에서 1000여...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늑구1길 20-17번지에 있는 공설운동장. 공설운동장은 특별시, 광역시, 도, 시, 군, 면 등 공공기관이 지역 주민의 체육 활동 증진을 위하여 건설한 운동장 및 운동경기 시설을 말한다. 도계공설운동장은 부지 면적 5만 2140㎡, 건축 면적 499㎡ 규모로 1987년 공사에 들어가 1993년에 준공되었다. 도계공설운동장은 주로...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있는 도계광업소 광부들의 사택.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광부들을 위한 사택으로, 1960년대부터 짓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에는 시멘트 벽돌조로 만들어졌으며, 1980년대에는 아파트로 건립되었다. 도계광업소 사택은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위치하고 있다. 1960년대 들어와 건립되기 시작한 사택은 대한석탄공사...
-
강원도 삼척시 소재 도계광업소에서 1989년 2월 광산 노동자 3000여 명이 일으킨 노동운동. 1989년 2월 삼척시 도계읍 소재 도계광업소 광산 노동자 3000여 명이 노조 지부장과 임원들의 부정과 노조 탄압에 저항하여 일으킨 노동운동이다. 1980년대는 민주화운동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한국 사회가 성숙해 가는 과정에서 어용 노조를 통하여 선량한 노조원들을 억압하...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늑구리 일원에 조성된 농공단지. 농공단지 개발정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공업 부문에 비하여 생산성이 점차 저하되고 있는 농업 부문과 농어촌 지역의 구조 조정을 위해서였다. 농업 부문이 사양화됨에 따라 농어촌 지역 경제 기반이 위축되고 많은 농촌 주민이 도시 지역으로 이동하는 ‘이촌향도’ 현상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농어촌 지역 구조 문...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계도서관은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25-18번지에 있다. 부지 3280㎡, 연건평 1160㎡, 열람석 180석이다. 4층 건물 가운데 2~4층에 있다. 연간 이용자 수는 2만 3000여 명이고, 이용한 책 수는 2만 6000여 권이다. 도계도서관은 읍·면 지역 주민의 문화 수준 향상과 지식...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있는 법정리. 도계리는 세 갈랫길의 분기점에 있어서 본래 길가말[道邊村]이라 불렸는데 이것이 와전되어 도계리(道溪里)가 되었다. 조선 중중 때 김녕 김씨, 강릉 함씨, 강릉 이씨 등이 이주했고 이후 이씨, 김씨, 최씨, 안씨, 정씨, 박씨, 홍씨, 서씨 등이 이주했다. 호구수는1916년 82호 327명, 1962년 1...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전두리에 있는 버스터미널. 강원도 삼척시 도계 지역 주민과 도계 지역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교통 편의를 제공하는 시설로, 최근 강원대학교 도계캠퍼스가 개교하면서 활성화되고 있는 버스터미널이다. 과거 도계버스터미널은 유동인구가 매우 많았다. 석탄이 중요한 에너지 자원의 역할을 한 1990년 이전에는 도계 인구가 7만 명에 가까웠다....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에 있는 원주교구 소속 가톨릭 천주교회. 도계성당은 1965년 12월 10일 북평 본당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초대 신부로 오브리언[신] 안토니오 신부가 부임하였다. 현재는 2016년 7월 29일 부임한 김영진바르나바 신부가 재임하고 있는 가운데 가톨릭 신앙을 실천하는 종교 활동 외에도 삼척 지역 문화 및 환경 등과 관련된 사업을...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36에 있는 공립 여자중학교. 교훈은 ‘성실, 창조, 봉사’이다.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능력과 덕성을 고루 갖춘 창의적이고 민주적인 인간 육성’이다. 1969년 10월 24일 도계여자중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70년 3월 12일 입학식을 열고, 7월 9일에는 신축 공사 준공 및 개교식을 하였다. 1975년 5...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36에 있는 공립 여자중학교. 교훈은 ‘성실, 창조, 봉사’이다.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능력과 덕성을 고루 갖춘 창의적이고 민주적인 인간 육성’이다. 1969년 10월 24일 도계여자중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70년 3월 12일 입학식을 열고, 7월 9일에는 신축 공사 준공 및 개교식을 하였다. 1975년 5...
-
강원도 삼척시 도계 지역에서 5일마다 형성되는 시장. 오일장은 옛날부터 지역 내외 농산물과 공산품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5일마다 형성되는 시장을 통하여 물품을 매매하는 전통시장을 말한다. 오일장은 조선 시대의 장시(場市)에서 역사를 찾을 수 있다. 장시는 농민, 수공업자, 어민 등 직접 생산자들이 일정한 날짜와 장소에서 서로 물산을 교환하던 정기 시장이다. 장시는 조선...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강원남부로 895번지에 위치한 유리 조형 테마파크. 강원도 삼척시는 아직도 유일하게 채탄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채탄 과정에서 나오는 석탄 폐석을 활용한 유리제품의 산업화를 위하여 2009년부터 지역 연고 특성화 사업으로 유리 조형 테마파크 건설을 추진하게 되었다. 석탄산업 합리화 조치 이후 석탄 산업을 대체할 산업으로 유리 공예에 주...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흥전남길 63번지에 조성된 유리 산업 특화 마을.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지역은 석탄 산업을 대체할 새로운 산업을 찾다가 지역에 산재한 석탄 폐석을 활용하는 유리 산업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지역 폐자원인 석탄 폐석을 이용하여 유리 제품을 개발하고, 유리공예 등을 체험할 수 있는 마을이다. 도계 지역은 1970~1980년대 석...
-
강원도 삼척시에 속하는 읍. 발이리, 차구리, 고사리, 산기리, 무건리, 늑구1·2리, 점리, 마교리, 도계1·2·3·4·5리, 상덕리, 황조리, 전1·2·3리, 흥전1·2·3·4·5리, 심포리, 구사리, 신리 등 27개 행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척주지』에 “소달리는 노곡 서남쪽에 있는 산골짜기 지역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삼척군지인 『진주지』...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소재하며, 도계읍 주민의 생활 업무를 처리하는 행정기관. 도계읍 행정복지센터는 강원도 삼척시를 구성하고 있는 2개 읍, 6개 면, 4개 동 가운데 하나인 도계읍의 27개 리[17개 법정리], 240개 반, 55개 자연마을의 행정업무를 총괄하는 읍 단위 행정 조직이다.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도계읍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증...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소재하며, 도계읍 주민의 생활 업무를 처리하는 행정기관. 도계읍 행정복지센터는 강원도 삼척시를 구성하고 있는 2개 읍, 6개 면, 4개 동 가운데 하나인 도계읍의 27개 리[17개 법정리], 240개 반, 55개 자연마을의 행정업무를 총괄하는 읍 단위 행정 조직이다.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도계읍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증...
-
강원도 삼척시가 운영하는 장학재단. 도계장학재단은 「공익법인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설립되었고, 기부 금품 접수는 「기부 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다. 도계장학재단은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출신자와 강원대학교 도계 캠퍼스 재학생 가운데 가정 환경이 어려운 학생이나 유능한 인재를 선발하여 장학금을 지급하는 장학 사업이다. 장...
-
강원도 삼척군 도계읍 전두리에 있던 중학교 과정의 사립 재건학교. 교훈은 ‘근면, 성실’이다. 도계재건학교는 삼척군 도계읍장이던 이종년이 설립한 학교이다. 삼척군으로부터 전두리에 있는 대한석탄공사 부지[459㎡]에 세워진 전두극장을 무상으로 임대 받아서 국민학교 졸업 후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청소년을 위하여 중등 교육 과정을 교육하였다. 1966년 6월 7일...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있는 상설 재래시장. 도계전두시장은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는 탄광 지역의 상설 재래시장이다. 도계전두시장은 삼척시민은 물론 다른 지역의 사람들도 내방하는 시장으로, 쾌적한 쇼핑문화공간을 조성하고 점포의 현대화와 풍물야시장이 조성되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도계전두시장은 1951년 5월에 개설된, 역사가 상당히 오래 되었...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24에 있는 공립 전산정보고등학교. 교훈은 ‘정직, 성실, 창조’이며,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실력을 겸비한 창의적인 전문인 육성’이다. 1974년 2월 27일 도계여자종합고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75년 3월 1일 6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86년 9월 22일 도계상업고등학교로 개편하였고, 2002년 10월 4일 도계전산정보...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24에 있는 공립 전산정보고등학교. 교훈은 ‘정직, 성실, 창조’이며,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실력을 겸비한 창의적인 전문인 육성’이다. 1974년 2월 27일 도계여자종합고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75년 3월 1일 6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86년 9월 22일 도계상업고등학교로 개편하였고, 2002년 10월 4일 도계전산정보...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15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 근면, 창조’이며,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며 조화로운 인성을 갖춘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1952년 3월 31일 북평중학교 도계분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2년 7월 1일 북평중학교 도계분교로 개교한 뒤 1953년 4월 2일 도계중학교로 개칭하였다. 1966년 12월 28일 도계실업고등학...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15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 근면, 창조’이며,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며 조화로운 인성을 갖춘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1952년 3월 31일 북평중학교 도계분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2년 7월 1일 북평중학교 도계분교로 개교한 뒤 1953년 4월 2일 도계중학교로 개칭하였다. 1966년 12월 28일 도계실업고등학...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254번지에 있는 청소년 지원 단체. 강원도 삼척시 도계 지역은 석탄 산업이 한국 경제 발전에서 중추 역할을 했었을 땐 인구가 증가하고 경기가 호황이었지만, 정부의 석탄합리화정책 이후 인구가 급격히 줄고 경기가 나빠지기 시작하자 공동화 현상이 나타났다. 삼척시 도계청소년장학센터는 대체로 문화 취약지가 된 광산 지역 청소년들...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165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바르고 굳세며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이며, 교육 목표는 ‘바른 품격을 바탕으로 창의와 감성을 키워 가는 건강한 도계인 육성’[품격인, 창의인, 감성인, 건강인]이다. 1940년 3월 24일 덕전공립심상소학교로 개교하여 1941년 4월 1일 덕전공립국민학교로 개칭한 뒤 1996년 3월 1일 도계초등학교로...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165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바르고 굳세며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이며, 교육 목표는 ‘바른 품격을 바탕으로 창의와 감성을 키워 가는 건강한 도계인 육성’[품격인, 창의인, 감성인, 건강인]이다. 1940년 3월 24일 덕전공립심상소학교로 개교하여 1941년 4월 1일 덕전공립국민학교로 개칭한 뒤 1996년 3월 1일 도계초등학교로...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69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근면, 봉사, 단결’이고, 교육 목표는 ‘삶을 기획하고 열정으로 실천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이다. 1966년 12월 28일 도계실업고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67년 4월 11일 9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74년 3월 1일 도계종합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81년 3월 11일 도계종합고등...
-
조선 후기 삼척 지역 효자. 배병호(裵秉鎬)의 자는 선익(善益), 호는 도남(桃南)이다. 참의(參議) 배순진(裵淳晋)의 증손이다. 배병호는 아버지의 병으로 앓아 누워 있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넣어 드렸다. 배병호는 아버지상과 어머니상을 당하여 전후 6년 동안을 고기나 생선이 없는 소식(素食)을 하였다고 한다. 배병호는 임금이 돌아가셨을 때 단을 모아서 새벽에...
-
조선 후기 삼척도호부에 유배(流配)되어 온 죄인 명단. 『도류안』은 1858년 당시 삼척도호부에 유배되어 있던 죄인 10명의 명단이다. 겉표지에 ‘관상(官上)’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삼척도호부에서 유배되어 온 죄인들의 관리를 위하여 자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규격은 25.5⨯8.5㎝이다. 형식은 12면 접철이며, 지질은 저지(楮紙)이다. 표제는 ‘도류안(徒流案...
-
강원도 삼척시 일대에 소재하고 있는 도서관. 강원도 삼척시에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도서관을 제외한 주요 도서관으로 삼척교육문화관, 도계읍 도서관, 원덕읍 도서관,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중앙도서관 등이 있다. 지역 주민들의 풍요로운 삶을 위하여 정보화 시대에 맞는 자료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각종 문화 강좌를 운영하여 지역의 정보·교육·문화센터 역할을 하고...
-
강원도 삼척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리를 목적으로 한 물품 매매업. 상업의 의미는 경제의 발전과 함께 변화해 왔다. 넓은 의미의 상업은 생산에서부터 소비자에게 상품의 사회적 배급활동, 생산 및 소비의 지도, 가격의 조정, 배급활동을 효율화하기 위한 촉진적 보조활동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생산, 유통, 소비라는 경제순환의 한 과정인 사회경제현상을 일컫는다. 좁은 의미의 상업...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36에 있는 공립 여자중학교. 교훈은 ‘성실, 창조, 봉사’이다.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능력과 덕성을 고루 갖춘 창의적이고 민주적인 인간 육성’이다. 1969년 10월 24일 도계여자중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70년 3월 12일 입학식을 열고, 7월 9일에는 신축 공사 준공 및 개교식을 하였다. 1975년 5...
-
조선 후기 삼척 출신 의병. 최진남(崔鎭南)의 본관은 강릉(江陵)이다. 자는 도원(圖遠)이고, 호는 죽정(竹亭)이다. 최원흘(崔元屹)의 아들이다. 최진남은 정묘호란(丁卯胡亂)이 일어나자 각 지방의 여러 고을에 격문(檄文)을 돌려서 강홍립(姜弘立)[1560~1627]의 죄를 성토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한 후 거병을 하였지만 횡성(橫城)에 이르러...
-
조선 후기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활동한 자선가. 최상화(崔相和)의 본관은 강릉이다. 자는 중신(重信)이고, 호는 도은(桃隱)이다. 최상화는 효자 최진후(崔鎭厚)[1603~1676]의 후손이다. 최상화는 어려서부터 성품이 인자하고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하였다. 또 남 돕기를 좋아하여 집안과 이웃의 가난한 자를 도와 주었다. 어려워서 결혼하지 못한 자가 있으면 그...
-
조선 전기 삼척 출신 무관. 홍견(洪堅)[1535~1610]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강중(剛仲)이며, 호는 도장(道庄)이다. 장사랑(將士郞) 홍사웅(洪士雄)의 아들이다. 형제로는 홍벽(洪壁), 홍확(洪確), 홍광(洪礦)이 있다. 홍견은 1572년(선조 5) 별시(別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훈련봉사, 주부(注簿), 습독(習讀), 훈정(訓正), 부호군...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느티로 15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 근면, 창조’이며,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며 조화로운 인성을 갖춘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1952년 3월 31일 북평중학교 도계분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2년 7월 1일 북평중학교 도계분교로 개교한 뒤 1953년 4월 2일 도계중학교로 개칭하였다. 1966년 12월 28일 도계실업고등학...
-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은 복두산(福頭山)에서 기인하여 복동아리[도화리(桃花里)]로 부르다가 점차 와전되어 동활리(東活里)가 되었다. 조선 숙종 때 북평읍으로부터 김찬영(金贊永), 평창군으로부터 이형룡(李亨龍) 등이 이주한 이후 전씨, 이씨, 박씨, 최씨 등의 각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64호 390명,...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에 속하는 산. 도화산(桃花山)은 해발고도 925.1m로 동쪽으로는 육백산[1244m], 응봉산[1267.3m]과 연결되며, 남쪽으로는 오봉산[730m]과 이어진다. 남동쪽 능선으로 탕건봉[1045m]과 마주보고 있다. 북동쪽 능선으로는 삿갓봉[1025m], 두리봉산[1050m], 두리봉[1072.3m]과 연결되는 산이다....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법사(法師)나 경쟁이(經--)가 무경(巫經)을 구송함으로써 개인의 수복과 집안의 강녕을 기원하는 무속 행위. 독경은 전국적으로 맹인들이 하던 것이었다. 조선시대에 이들은 나라에서 만든 맹승단체에 속해있어 국가에서는 가뭄이 들거나 질병이 돌면 그들에게 기도하도록 시켰다. 이들은 실제 승려는 아니었으나 모두 삭발하고 있어 맹승이란 이름을 얻었다. 일반인...
-
고려 후기 삼척 출신 무관. 김광유(金光裕)의 호는 돈재(遯齋)이며, 삼척김씨 시조 김위옹(金渭翁)의 후손이다. 김광유는 고려공민왕 때 관창신교위 비순위겸후령 중랑장(中郞將)으로서 홍건적을 평정한 공을 인정받아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봉되었다. 김광유는 장수로서 전쟁에 나가면 반드시 승리하고 돌아왔기 때문에 왕이 김광유의 장렬함에 감탄하였으며, 그 공로를 인정...
-
조선 전기 삼척 출신 문신. 진관(陳瓘)의 본관은 삼척(三陟)이다. 자는 영중(瑩中, 瑩仲)이며, 호는 동강(東岡)이다. 함경도사 진가유(陳嘉猷)의 아들이다. 조부는 진숭백(陳崇伯), 증조부는 진광(陳曠)이다. 형은 진수(陳璲)이다. 1534년(중종 29) 갑오 식년시에서 생원(生員)에 급제하고, 1543년(중종 38) 계묘 식년시 문과 병과(丙科)에 급제하였다. 호조좌...
-
조선 후기 삼척 출신 문관. 최제남(崔悌男)의 본관은 강릉(江陵)이다. 자는 치공(治恭)이며, 호는 동계(桐溪)이다. 영흥교수(永興敎授) 최수량(崔守良)의 아들이다. 최제남은 1609년(광해군 1) 증광진사(增廣進士)에 합격하여 서산훈도(瑞山訓導)를 지냈다. 1619년(광해군 11)에는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전적(典籍)을 거쳐 안변교수(安邊敎授)로 갔다. 이후...
-
조선시대 삼척 지역에서 실시된 향촌 자치 규약. 향약은 향촌규약(鄕村規約)의 준말이다. 넓은 의미로는 향촌규약·향규(鄕規)·일향약속(一鄕約束)·향약계(鄕約契)·향안(鄕案)·동약(洞約)·동계(洞契)·동안(洞安)·족계(族契)·약속조목(約束條目) 등을 나타낸다. 향약은 조선시대 양반들의 향촌 자치와 이를 통하여 하층민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숭유배불정책에 의하여 유교...
-
조선시대 강원도 삼척시 우지동일대 평야 지역에 있던 저수지. 전통시대의 수리시설은 제언, 보, 유거, 언전 등이었다. 제언은 저수지의 일종으로, 농업수리의 중심을 차지하게 되었다. 조선시대 후기에 와서 산곡형과 평지형으로 나뉘게 되었다. 동대제언은 평야 지대에 입지한다. 동대제언은 평지형 제언으로, 논에 물을 대어 재배하는 벼농사에서 논농사의 성패를 가름하는 필수 요건이...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 있는 법정리. 동막리의 중앙에는 마읍천이 흐르며, 물길[수도(水道)] 동쪽을 막아 논을 개간하였다 하여 동막(東幕)이라 하였다. 조선 세종 때 밀양 박씨, 의성 이씨 등이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274호 1272명, 1962년 385호 2523명, 1982년 454호 2174명, 1995년 420호...
-
일제강점기 당시 강원도 삼척군 근덕면 동막리 일대에 건립된 철도 터널. 동막터널은 1933년께 일제가 강원도영동 지방의 자원을 수탈할 목적으로 만든, 길이 약 1㎞의 철도 터널이다. 동막터널 구조는 콘크리트로 되어 있으며, 단면은 반원형 형태이다. 양쪽 출입구 중 삼척 궁촌 레일바이크 정거장 쪽에 있는 터널 입구는 반쯤 정도 막혀 있고, 그 반대편인 동막 쪽...
-
조선 전기 삼척 출신 문관. 단종이 양위하자 세조의 찬위 사건을 불의의 행위로 단정하고 이에 벼슬을 버린 후 낙향하여 은둔 생활을 하면서 단종을 추모한 충절 인물이다. 김자의(金子義)의 본관은 삼척(三陟)이고, 호는 동명(東溟)이다. 사육신 가운데 한 명인 하위지(河緯地)[1412~1456]의 조카 사위이다. 김자의는 단종을 위하여 사절(死節)한 사...
-
조선시대 강원도 삼척 지역 삼척포진성의 동문루. 삼척시 정상동 육향산(六香山) 아래에는 석성(石城)이 있었다. 이곳이 바로 동해를 지키기 위하여 설치한 조선시대의 삼척포진성(三陟浦鎭城)이다. 이 진영(鎭營)의 성(城) 동문루(東門樓)를 진동루(鎭東樓), 안해루(晏海樓), 세병루(洗兵樓)라고도 불렀다. 삼척포진성은 원래 삼척시 오분동 뒷산 해변의 험준한...
-
강원도 삼척 지역에 서식하는 동물 이름과 관련된 방언.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의 다양성과 그 동물의 특징을 통하여 언어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삼척 지역에 서식하는 동물에는 갯지렁이, 게, 곤충 및 수서곤충, 연체동물, 어류, 양서류 및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이 있다. 특히 조류는 바다와 해안, 습지, 논경지, 야산, 심산이나 고산 등 다양하게 분포한다. 그리고 포유류...
-
강원도 삼척시 일원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들. 강원도 삼척시는 백두대간의 가파른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울창한 원시림과 함께 이 숲에서 흘러나오는 오십천, 마읍천, 가곡천은 동해안으로 유입되는 하천이다. 또 동해 연안을 끼고 있는 해양자원과 산림자원 등을 동시에 품고 있는,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우수한 자연 생태계가 보존되고 있는 지역이다. 삼척시의 동물상...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 위치한 동부지방산림청 산하 국유림관리소. 산림청은 전국 국유림을 5개 지역으로 나누어 중부지방산림청, 북부지방산림청, 동부지방산림청, 서부지방산림청, 남부지방산림청의 지역 조직을 두고 있다. 삼척국유림관리소는 동부지방산림청 산하의 7개 국유림관리소[강릉, 양양, 평창, 영월, 정선, 삼척, 태백] 가운데 하나이다. 삼척국유림관리소는 삼척...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에 있는 법정리. 동산리 지역은 본래 등산(嶝山)이라 하였으며, 속전되어 동산리(東山里)가 되었다. 영경묘(永慶墓)의 동쪽에 있다는 이유로 동산(東山)이라는 설도 있다. 조선 인조 때 밀양 박씨가 이주하고 난 후 이씨, 김씨, 석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41호 240명, 1962년 52호...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에 있는 법정리. 동산리 지역은 본래 등산(嶝山)이라 하였으며, 속전되어 동산리(東山里)가 되었다. 영경묘(永慶墓)의 동쪽에 있다는 이유로 동산(東山)이라는 설도 있다. 조선 인조 때 밀양 박씨가 이주하고 난 후 이씨, 김씨, 석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41호 240명, 1962년 52호...
-
강원도 삼척시 정상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1944년 5월 1일에 설립된 예장 통합 소속의 장로교회이다. 1997년 조사 당시 교인수는 112명이었다. 처음에는 1944년 5월 삼척읍 정상리에서 정라교회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고 전해온다. 정라라는 교회 이름은 이 교회가 설립된 동네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윗동네인 정상리와 아랫동네인 정하리를 합쳐서 ‘정...
-
강원도 삼척시 정상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1944년 5월 1일에 설립된 예장 통합 소속의 장로교회이다. 1997년 조사 당시 교인수는 112명이었다. 처음에는 1944년 5월 삼척읍 정상리에서 정라교회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고 전해온다. 정라라는 교회 이름은 이 교회가 설립된 동네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윗동네인 정상리와 아랫동네인 정하리를 합쳐서 ‘정...
-
강원도 삼척시 및 동해시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문학 단체. 작가 동인 동안은 ‘작가 동인’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지만 정식으로 등단해야만 회원이 되는 것은 아니다. 문학 활동에 뜻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대중 동아리를 지향하고 있다. 작가 동인 동안은 삼척시와 동해시에 거주하는 한국작가회의 소속 일부 문인과 미등단 문학인이 모여 결성...
-
강원도 삼척시와 동해시의 문학 단체인 ‘작가 동인 동안’에서 발간하는 문학 계간지. 『동안』은 문학 단체 ‘작가 동인 동안’이 주관해서 2007년에 연간 무크지 형식으로 처음 발간되었다. 2015년에 반연간지로 전환하였고, 2016년부터 계간지로 발간되고 있다. 계간지 전환에는 발행인[이상웅]의 후원이 큰 역할을 했다. 전국 단위로 발간되는 계간 문예지로는 삼...
-
조선시대 삼척 지역에서 실시된 향촌 자치 규약. 향약은 향촌규약(鄕村規約)의 준말이다. 넓은 의미로는 향촌규약·향규(鄕規)·일향약속(一鄕約束)·향약계(鄕約契)·향안(鄕案)·동약(洞約)·동계(洞契)·동안(洞安)·족계(族契)·약속조목(約束條目) 등을 나타낸다. 향약은 조선시대 양반들의 향촌 자치와 이를 통하여 하층민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숭유배불정책에 의하여 유교...
-
고려 후기에 현재의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이자 학자. 이승휴의 자는 휴휴(休休)이고, 자호(自號)는 동안거사(動安居士)이다. 경산부(京山府) 가리현(加利縣) 사람으로, 가리이씨 시조이다. 1287년에 삼척 삼화사 용안당에서 『제왕운기』와 『내전록』을 저술하였다. 가리이씨(加利李氏)의 시조이며, 가계는 자세하게 전해지지 않는다. 아들은 이연종이다....
-
고려 후기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은거한 문신.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동안로에 있는 천은사는 동안이승휴가 『제왕운기』를 편찬한 곳이다. 오랜 벼슬살이에 지친 이승휴는 그의 외가이자 고향인 이곳 삼척 미로에 은거하였다. 그러나 세상을 등진 것은 아니었다. 벼슬살이 때는 조정에서 직접 국왕과 신료들을 상대로 자신의 소신을 펼쳤다면 삼척에 은거하면서부터 상대는 역사로 바뀌었다....
-
고려시대 문인 이승휴의 문집. 『동안거사문집』은 이승휴의 문집으로, 그의 아들 이연종이 1359년 전후 시기에 간행하였다. 1책으로, 「잡저」 1부와 「행록」 4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승휴(李承休)[1224~1300]의 셋째 아들 이연종(李衍宗)이 부친의 시문을 수집·정리하여 편찬하였다. 『동안거사문집(動安居士文集)』은 고려 후기 문인 이승휴의 문...
-
고려시대 문인 이승휴의 문집. 『동안거사문집』은 이승휴의 문집으로, 그의 아들 이연종이 1359년 전후 시기에 간행하였다. 1책으로, 「잡저」 1부와 「행록」 4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승휴(李承休)[1224~1300]의 셋째 아들 이연종(李衍宗)이 부친의 시문을 수집·정리하여 편찬하였다. 『동안거사문집(動安居士文集)』은 고려 후기 문인 이승휴의 문...
-
강원도 삼척시 천은사에 있는 이승휴의 사당과 그를 기리는 제의. 동안사는 동안이승휴(李承休)[1224~1300]의 사당으로, 1995년 지락당 터 옆에 사업비 1억 5000만 원으로 사당 1동을 건립하였다. 이후 이승휴 선생을 기리는 동안대제를 삼척시의 지원과 천은사의 후원으로 매년 10월 3일 이곳에서 봉행하고 있다. 동안 이승휴...
-
강원도 삼척시에서 개최되는 학생백일장. 동안이승휴 전국학생백일장은 동안이승휴사상선양회에서 주최한다. 단군으로부터 시작된 우리 역사의 근거와 발해를 우리 역사에 포함해 중국과 독립된 민족의 역사와 혼을 일깨워 준 이승휴의 정신을 기리며 ‘이승휴제왕운기문화제’를 매년 시행한다. ‘동안이승휴 전국학생백일장’도 같은 맥락이다. 매년 10월 9일을 전후하여 죽서루 경내...
-
조선시대 삼척 지역에서 실시된 향촌 자치 규약. 향약은 향촌규약(鄕村規約)의 준말이다. 넓은 의미로는 향촌규약·향규(鄕規)·일향약속(一鄕約束)·향약계(鄕約契)·향안(鄕案)·동약(洞約)·동계(洞契)·동안(洞安)·족계(族契)·약속조목(約束條目) 등을 나타낸다. 향약은 조선시대 양반들의 향촌 자치와 이를 통하여 하층민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숭유배불정책에 의하여 유교...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최초로 제작된 문학 동인지. 『동예』는 1961년에 결성된 동예문학회가 제작한 삼척 지역 최초의 문학 동인지이다. 총 3집까지 제작되었다. 『동예』는 강원 남부 지역 최초의 동인지임에도 장르별 구색을 갖추었다. 작품을 수록한 사람은 김영준, 정일남, 박종철, 이경국, 김정남 등이다. 이들은 자칭 갈산(葛山)[김영준], 말로[정일...
-
조선시대 강원도 삼척 지역의 중산간 지역에 있던 저수지. 전통시대 논농사에 필요한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평지에 큰 구덩이를 파고 그 주위에 둑을 만들어서 지하의 용수와 천수를 모아 이용하는 방법이다. 논에 물을 대어 재배하는 벼농사에서 물의 적절한 공급과 관리는 논농사의 성패를 가름하는 필수 요건이다. 전통사회에서 국방과 더불어 식량 공급을 최우선 정치 과제로 삼아 그 근본을 농업...
-
근대 영동지방 서화계의 맥을 이어온 삼척 출신의 서화가. 서화가 김영경(金英卿)은 1908년 11월 16일 현재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맹방리 지역에서 출생하여 2001년 9월 28일 94세의 일기로 타계하였다. 자는 시영(時英), 호는 동우(東愚)이다. 동우김영경은 석재(石齋)최중희(崔中熙)[1896~1990]에게서 3년 정도 공부하였고, 계남(桂南)심지황(沈之潢)[1888~196...
-
개항기 삼척 지역 효자. 지윤주(池胤周)의 본관은 충주(忠州)이다. 자는 상윤(相胤)이며, 호는 동은(東隱)이다. 망의군(忘義君)지용기(池湧奇)[?~1392]의 후손이다. 지윤주는 아버지가 병환에 시달리자 북두칠성을 향해 빌 정도로 효성이 지극하였다. 지윤주의 간절함에 감동한 나머지 신이 산삼 있는 곳을 알려 주었다고 한다. 지윤주는 신이 알려 준 곳으로 달려...
-
동인 활동의 결과물로 제작되는 문예지로, 강원도 삼척시의 문학 매체 대표 형태. 강원도 삼척시의 문학 매체를 대표하는 형태인 동인지의 사전 정의는 ‘사상, 취미, 경향 따위가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서 편집·발행하는 잡지’이다. 한국 현대 문단의 형성은 동인지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한국문학사는 동인지 중심으로 문학 활동이 전개되던 191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를 ‘동인지문...
-
강원도 삼척 지역 동지 풍속. 동지는 24절기 가운데 밤이 가장 긴 때다. 이때는 시식으로 팥죽을 먹고 나이 한 살을 먹었다 한다. 『동국세시기』에는 이날 팥죽은 찹쌀가루로 새알 모양의 떡을 만들어 죽에 넣고 꿀을 타서 시절 음식으로 삼아 제사에 쓰며, 문에 뿌려서 상서롭지 못한 것을 물리친다고 하였다. 태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미도 있어서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
고려시대 삼척 지역에 설치한 군사 시설. 고려시대 삼척 지역에는 외적의 침입에 대비한 군사 시설로 동진수가 있었다. 이 밖에 임원수도 있었다. 이들은 모두 고려 전기에 설치된 것으로, 동여진의 잦은 침략에 대비한 군사 시설이었다. 고려시대 삼척현에도 수소(戍所)가 있었다.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에 따르면 삼척 지역에 위치한 수소로 동진수(桐津戍)와 임원수(臨遠戍)가 있었다....
-
강원도 양양군과 부산광역시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고속국도 제65호선 가운데 삼척시 구간에 해당되는 고속국도. 동해고속국도는 강원도 양양군과 영덕군 간 85㎞, 포항시와 울산광역시-부산광역시를 연결하는 47.2㎞의 두 구간으로 이루어진 고속국도이다. 삼척시 구간은 동해시로부터 근덕면상맹방해수욕장을 지나 옥계까지 23.12㎞가 개통되어 있다. 나머지 삼척시-울진-영...
-
조선 전기 삼척 출신 문관. 심언경(沈彦慶)의 본관은 삼척(三陟)이고, 자는 사길(士吉)이며, 호는 적연(磧淵) 또는 동해랑옹(東海浪翁)이다. 아버지는 좌랑 심준(沈濬)이다. 심언경은 1516년(중종 11)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판서, 홍문관, 예문관의 제학과 좌찬성을 지냈다. 성품이 효성이 지극하고 우애가 있었으며, 충직하였다고 전한다. 아우 심언광(沈彦光)...
-
강원도 삼척시 정라동 육향산에 있는 비석. 삼척 척주동해비는 강원도 삼척시 정라동육향산 정상부에 위치하며, 조선시대 삼척부사 허목이 1661년(현종 2)에 세운 비석이다. 1660년(현종 원년) 허목이 삼척부사로 부임한 당시 동해 바다의 조수가 시내까지 들어오고, 여름철 홍수로 인해 삼척의 젖줄인 오십천(五十川) 하구가 막히고 범람하여 가옥과 농작물이...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축산업 종사자들의 상호 이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설립된 협동조합. 동해삼척태백 축산업협동조합은 은행과 유사한 여·수신 업무를 취급하지만 좀 더 제한된 목적으로 설립되어 자금 조달이나 운영 등에서 은행과 다른 규제를 받는 형태의 비은행 금융기관이다. 동해삼척태백 축산업협동조합은 지역 축산 농가의 실익 도모와 천혜의 청정 환경에서 생...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축산업 종사자들의 상호 이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설립된 협동조합. 동해삼척태백 축산업협동조합은 은행과 유사한 여·수신 업무를 취급하지만 좀 더 제한된 목적으로 설립되어 자금 조달이나 운영 등에서 은행과 다른 규제를 받는 형태의 비은행 금융기관이다. 동해삼척태백 축산업협동조합은 지역 축산 농가의 실익 도모와 천혜의 청정 환경에서 생...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존재한 초기 형태의 국가. 실직국은 삼척 지역에 존재한 초기 형태의 국가로, 중심지는 지금의 삼척시 사직동 일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직국은 삼척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경상북도 청하와 흥해에서 강원도 강릉시 옥계에 이르는 동해안의 띠 형태 공간을 활동 무대로 삼으면서 강원도 및 경상북도동해안 일대의 해상 교역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
강원도 삼척시에서 이사부 장군의 우산국 복속과 해양 개척 정신을 계승시키기 위해 개최하는 의례. 이사부는 신라진흥왕대에 크게 활약한 장군·정치가로 신라의 대표적인 장군 중 한명이다. 505년(지증왕 6) 신라에서는 군현제가 실시되어 최초로 실직주(悉直州)가 설치되었는데, 이때 이사부는 실직주의 군주(軍主)가 되었다. 그 후 512년에는 우산국(于山國)[지금의...
-
신라 내물왕 4대손으로, 동해의 섬나라 우산국을 정벌한 삼국시대 신라 장군이자 정치인. 이사부는 지금의 울릉도인 고대 섬나라 우산국을 정복함으로써 동해의 해상왕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이다. 바다는 우리 민족이 탁월한 기상을 펼치던 무대였다. 우리나라 역사 속에서 바다를 정복하는 것은 곧 세상을 정복하는 것이었다. 이에...
-
강원도 삼척시 이사부길에 위치한 동해해양경찰서 산하 조직.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산하 동해해양경찰서의 하위 조직으로 해안 지역과 해상에서 경찰 업무를 수행한다. 동해해양경찰서 삼척파출소는 삼척 해안지역 및 해상에서 발생하는 해양 오염 감시·방제, 해상교통안전, 해난구조, 해상범죄수사 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4년 11월 19일부터 2017년 7월까...
-
강원도 삼척시 이사부길에 위치한 동해해양경찰서 산하 조직.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산하 동해해양경찰서의 하위 조직으로 해안 지역과 해상에서 경찰 업무를 수행한다. 동해해양경찰서 삼척파출소는 삼척 해안지역 및 해상에서 발생하는 해양 오염 감시·방제, 해상교통안전, 해난구조, 해상범죄수사 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4년 11월 19일부터 2017년 7월까...
-
일제강점기 삼척 출신 독립운동가. 김동호(金東鎬)[1877~1924]의 본관은 삼척이다. 고조부는 김득선(金得先), 증조부는 김우경(金佑京), 조부는 김재언(金載彦), 아버지는 김시영[족보에 올라간 이름은 홍간(弘侃)]이다. 김동호는 1915년 8월 25일(음 7월 15일) 대구달성공원에서 풍기의 광복단과 대구의 조선국권회복단이 통합하여 비밀, 폭동, 암살을...
-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은 복두산(福頭山)에서 기인하여 복동아리[도화리(桃花里)]로 부르다가 점차 와전되어 동활리(東活里)가 되었다. 조선 숙종 때 북평읍으로부터 김찬영(金贊永), 평창군으로부터 이형룡(李亨龍) 등이 이주한 이후 전씨, 이씨, 박씨, 최씨 등의 각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64호 390명,...
-
강원도 삼척 산간 지역의 조명 장치. 삼척 산간 지역의 굴피집이나 너와집에서 부엌과 안마루 사이 벽에 구멍을 내어 이곳에 등잔이나 관솔을 올려놓아 부엌과 안마루 양쪽을 조명하도록 만든 개구부를 말한다. 코쿨이라 하기도 한다. 저녁때가 되어 어두워지면 이곳에 등잔불이나 관솔불을 밝혀서 부엌에서는 주부가 밥을 짓거나 반찬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여름철 저녁식사를...
-
강원도 삼척 산간 지역에서 나타나는 주거 평면 형태로 볼 때 중앙에 마루[안마루]를 중심으로 하여 방들이 주위에 배열되는 집. 삼척 산간 지역에서 나타나는 여러 종류의 화전 민가 가운데 오십천을 따라서 분포되어 있는 특이한 평면 구조의 화전 민가가 있다. 이 집은 통상 지붕 재료에 따라 너와집, 굴피집, 겨릅집[또는 저릅집] 등으로 알려져 있지만 원래 명칭은...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중마읍리와 주지리 경계에 속하는 산. 두리봉은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중마읍리와 주지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해발고도는 1074m이다. 두리봉은 정상부가 평탄하고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두리봉은 낙동정맥에서 갈라져 나와 백병산에서 육백산, 핏대봉, 삿갓봉, 안개산, 동해안의 고성산으로 이어지는...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중마읍리와 주지리 경계에 속하는 산. 두리봉은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중마읍리와 주지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해발고도는 1074m이다. 두리봉은 정상부가 평탄하고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두리봉은 낙동정맥에서 갈라져 나와 백병산에서 육백산, 핏대봉, 삿갓봉, 안개산, 동해안의 고성산으로 이어지는...
-
강원도 삼척시에서 활동하는 두타문학회가 주최하는 시 낭송회. 두타 시 낭송회는 강원도 삼척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학 단체 ‘두타문학회’가 펼치는 시 낭송회이다. 두타문학회는 1969년 ‘삼척문학회’로 결성되어 1970년 4월 첫 동인지 『삼척시단』, 1977년 10월 『삼척문학』 5집을 각각 발간하였다가 1978년 명칭을 두타문학회로 개명하고 1979년 『두타...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활동하는 두타문학회가 발간하는 연간 문예지. 『두타문학』은 두타문학회가 연간지 형식으로 발간하는 문학 잡지이다. ‘두타문학회’ 회원 작품 중심으로 구성되는 만큼 기관지이자 동인지 성격을 띤다. ‘두타문학회’의 전신은 ‘삼척문학회’이며, 1969년에 결성되었다. 동인지 1집은 1970년 4월 『삼척시단』이라는 제하로 발행되었다. 문학평론가로...
-
강원도 삼척시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 된 문학 단체. 두타문학회는 강원도영동 지역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 된 문학 단체로, 삼척시를 거점으로 하고 있다. 정관에 따르면 두타문학회는 향토문학 및 한국문학의 발전을 꾀하고, 회원 각자의 문학 성취와 권익을 옹호하며, 회원 상호 간 친목 도모 및 국내외 문학 단체와의 교류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미로면 그리고 동해시 삼화동의 경계를 이루는 산. 두타산은 해발고도 1357m의 산으로 예부터 강원도영동 남부의 영적인 모산으로 숭상되어 왔다. 두타산은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저술한 곳이며, 두타산성 등의 역사적 유물도 산재한다. 무릉계곡과 쉰움산의 오십정 등 지형 경관이 아름답다. 두타산의 두타(頭陀)는 산스크리트어의 두타(...
-
고려 후기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은거한 문신.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동안로에 있는 천은사는 동안이승휴가 『제왕운기』를 편찬한 곳이다. 오랜 벼슬살이에 지친 이승휴는 그의 외가이자 고향인 이곳 삼척 미로에 은거하였다. 그러나 세상을 등진 것은 아니었다. 벼슬살이 때는 조정에서 직접 국왕과 신료들을 상대로 자신의 소신을 펼쳤다면 삼척에 은거하면서부터 상대는 역사로 바뀌었다....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두타산에서 매년 10월에 개최되는 등산 대회. 두타산등산대회는 관광객들에게 삼척시의 수려한 자연 경관과 관광지를 홍보하고 시민들의 건강 증진 및 화합을 위하여 개최되는 등산 대회이다. 2004년에 제1회 대회가 열린 가운데 2017년에 제14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MBC강원영동과 삼척시산악연맹이 주최·주관하고 삼척시가 후원한다...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두타산에 있는 두타산 신에게 기우제를 지낸 사당. 고산지대는 가뭄과 홍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산악 지형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두타산사에서는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제사를 지내었다. 특히 가뭄이 심할 때 기우제를 지내면 비가 내린다는 전설이 있다. 삼척의 뿌리가 되는 두타산에 위치한다고 해서 두타산사라고 불...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번천리 산촌체험장에서 열리는 산나물 축제. 2008년부터 두타산 산나물축제위원회 주관으로 열리는 산나물 축제 행사로, 대부분 매년 5월 하순 무렵에 개최된다. 관광객을 위한 체험 행사로는 산나물 채취, 나물밥 짓기, 산나물 요리 만들기, 취떡 만들기, 산나물 및 고기 먹기 등 다양하게 열린다. 이벤트 행사로는 맨손 송어잡기, 노래 및 장기자랑 등이...
-
조선시대 삼척 영장이 주관하여 국가 제사를 지내던 제단. 둑제(纛祭)는 조선시대 군대를 출동시킬 때 군령권(軍令權)을 상징하는 둑(纛)에 지내는 국가 제사로, 경칩[음력 2월]과 상강[음력 9월]에 병조판서가 주관하여 제사를 지낸다. 둑제는 국가의 군사권을 상징하는 제사로, 이에 관한 기록은 고려시대 때부터 나온다. 조선성종대에 편찬된 『국조오례의』에는 소사(小祀)로 규정되었다....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에 있는 법정리. 둔달리는 마을의 입지가 산비탈에 있어서 본래 둔들박이라고 부르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둔달(屯達)이 되었다. 조선 광해군 때 김군택(金君澤)이 들어온 이후 문중달(文仲達) 등 각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31호 244명, 1962년 24호 152명, 1982년 14호 92명,...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에 있는 법정리. 둔달리는 마을의 입지가 산비탈에 있어서 본래 둔들박이라고 부르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둔달(屯達)이 되었다. 조선 광해군 때 김군택(金君澤)이 들어온 이후 문중달(文仲達) 등 각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31호 244명, 1962년 24호 152명, 1982년 14호 92명,...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조선시대 군인들이 경작하던 토지, 즉 둔전(屯田)을 이곳에 설치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선조 때 이씨가 처음 개척한 이후 김씨, 이씨, 송씨, 안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45호 267명, 1962년 35호 255명, 1982년 41호 241명, 1995년 28호 119명이다....
-
드라마 「태양의 남쪽」의 강원도 삼척시 촬영 장소. 「태양의 남쪽」은 최민수·최명길이 주연을 맡은 드라마로, 2003년 SBS에서 방영되었다. 「태양의 남쪽」에서 최민수는 회사 내부 음모에 휘말려 공금 횡령 누명을 쓰고 교도소에 들어간 전직 펀드 매니저로 출연한다. 소식이 끊긴 전 애인에게 쓴 최민수의 편지가 그 집에 새로 이사 온 최명길에게 전해지면서 두 사람은 1년...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에 있는 법정리. 고자리는 월산천(月山川)이 북류하여 남쪽에서 땅속으로 스며들었기 때문에 본래는 들녜골[입고동(入古洞)]이라고 불렀으나 이후 속전되어 고자리(古自里)가 되었다. 조선 선조 때 정인보(鄭仁普)가 북평 쇄운리에서 이주한 이후 최씨, 박씨, 진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75호 4...
-
강원도 삼척시에 속하는 법정동. 등봉동은 예전에 등봉골이라 불렸던 곳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어문동(於文洞)과 신리(新里)를 병합하여 등봉리가 되었고, 후에 등봉동(登鳳洞)으로 개칭되었다. 처음 심(沈)씨가 이주한 후로 중종 때 김산우가 광해군 때 최도린이 숙종 때 정수명 등이 이주해 들어왔다고 한다. 강원도 삼척시 등봉동은 삼척시의 서...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에 있는 법정리. 동산리 지역은 본래 등산(嶝山)이라 하였으며, 속전되어 동산리(東山里)가 되었다. 영경묘(永慶墓)의 동쪽에 있다는 이유로 동산(東山)이라는 설도 있다. 조선 인조 때 밀양 박씨가 이주하고 난 후 이씨, 김씨, 석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41호 240명, 1962년 52호...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지역에서 제조하는 삼척 지역 특산물. 또바기 된장은 삼척두타산 인근에서 재배한 콩을 가마솥에서 삶아 메주로 만들고 발효시켜서 정월장을 만든다. 2004년에 50가마의 메주를 띄운 것이 또바기 된장의 시초가 되었다. 또바기 된장은 2015년에 발효 기간이 단축된 저온 숙성 된장으로 특허 등록을 하였으며, 대표 박수정은 2015년 신지식농업인에 선정되었...
-
강원도 삼척시 오십천 등 민물의 자갈 바닥이나 모래무지에 서식하는 동사리를 끓여서 만든 탕. 동사리는 삼척 지역 방언으로 뚜구리라 부른다. 태백산에서 흘러내려 삼척 시내를 관통하는 오십천의 중·하류에서 주로 서식한다. 몸길이는 6~10㎝ 정도이며, 대체로 2급수 이상의 맑은 물에서 산다. 산란은 5~6월에 한다. 이즈음은 오십천의 은어낚시가 성행하는 시기여서 뚜...
-
강원도 삼척 지역 ㄹ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강원도 삼척 지역 방언은 타 지역과 다른 어미의 사용이 나타나며, 다른 지역에서는 반말로 인식되는 의문형 어미가 존대어로 쓰인다. 또 목적격 조사 ‘-을/를’의 받침 ‘ㄹ’이 탈락되어 발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삼척 지역 방언은 타 지역과 다른 연결 어미의 사용이 나타난다. 보통 모음이나 ‘ㄹ’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