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김제문화대전 > 김제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와 인물) > 전통시대인물 > 효자·열녀
효자
-
조선 전기 김제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중장(仲章), 호는 이이당(怡怡堂)·구산처사(龜山處士). 아버지는 건계(建溪) 나안세(羅安世)이고, 형은 행정(杏亭) 나응허(羅應虛)이다. 나응삼(羅應參)은 아버지가 병환으로 자리에 눕자, 그 변을 직접 맛보며 병세를 살폈고, 돌아가시자 3년 동안 여묘살이를 하였다. 또한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도 한결같이 예법에 따랐다. 1...
-
조선 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유학자이자 효자.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장원(章元), 호는 행정(杏亭). 아버지는 나안세(羅安世)이고, 동생은 나응삼(羅應參)이다. 김응상(金應商)의 딸과 결혼하여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고, 다시 이형집의 딸과 결혼하여 4남을 두었다. 1537년(중종 32) 사헌부감찰을 지낸 뒤, 청주목판관겸청주진병마절제도위(淸州牧判官兼淸州鎭兵馬節制都尉)에...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사진(士眞), 호는 계이당(繼怡堂). 아버지는 구산처사(龜山處士) 나응삼(羅應參)이고, 어머니는 양성기(梁成紀)의 딸이다. 나표(羅表)는 어려서부터 효행과 우애로 이름을 떨쳤다. 입신(立身)에 뜻을 두지 않고 초야에 묻혀 성현의 가르침을 본받으며 늙을 때까지 경전을 암송하고 가르쳤다. 1588년(선조 21) 나라에서...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충신이자 효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신(汝信), 호는 퇴암(退庵). 오종손(吳從孫)의 현손으로, 동생은 오대익(吳大益)·오대진(吳大晋)이다. 조선 광해군 때 사옹원봉사로 있었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인조가 충청도 공주로 파천하자 두 동생과 함께 왕을 호종하였다. 벼슬에서 물러난 뒤 고향으로 돌아와 동생들과...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효자.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대천(大遷), 호는 외암(畏庵). 아버지는 정천배(鄭天培)이고, 큰아버지 정천기(鄭天基)의 양자가 되었다. 어머니는 나주나씨(羅州羅氏)이다. 동생은 정윤준(鄭允俊)·정윤검(鄭允儉)이다. 정윤교(鄭允喬)[1733~1821]는 18세 되던 해에 윤씨 성을 가진 여인이 친아버지인 정천배에게 강간을 당했다고 무고하여 친아버...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효자. 정존후(鄭存厚)[1778~1843]는 1803년(순조 3) 아버지가 병석에 누웠는데, 소의 생간을 먹어야 효험이 있다는 말을 듣고 소를 도살하는 것을 허락해달라고 관에 청하였다. 당시 개인의 집에서 소를 잡는 것은 불법이었지만, 지극한 효성에 군수가 감탄하여 도살을 허락하였고, 소의 생간을 먹은 아버지는 병이 나았다.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
조선 후기 김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제(金堤). 자는 자선(子善), 호는 회헌(晦軒)이다. 조용창(趙用昌)은 지금의 전라북도 김제시 복죽동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가 병을 얻어 몸져누우면 정성을 다하여 약을 달여 올리고,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 깨어나게 하였다. 그러다가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르고 3년 동안 무덤 곁에 움막을 짓고 정...
-
조선 후기 김제에서 활동한 효자.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몽촌(夢村). 할아버지는 홍처심(洪處深)이며, 아버지는 임피현감을 지낸 홍수제(洪受濟)이다. 형은 만경현에서 진사에 합격한 홍우현(洪禹賢), 동생은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홍우전(洪禹傳)이다. 담와 홍계희의 큰아버지이다. 홍우천이 세상을 떠나자 홍우전은 큰아들 홍계록(洪啓祿)을 그에게 입양시켜 대를 잇게 하였다. 하지만 홍계...
열녀
-
조선 전기 김제 출신의 열녀. 마비(馬非)는 학생(學生) 서치명(徐致明)의 아내였는데, 30세에 남편을 여읜 후 21년간 상복을 벗지 않은 채 위판(位版)[위패]을 설치하고 장막을 쳐 놓았으며, 겨울과 여름으로 의복을 만들어 영전 앞에 가져다 놓았고 조석으로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당시 전라도관찰사였던 유관(柳灌)에 의해 절의가 조정에까지 알려져 포상이 상신되었다. 1528년(중종...
-
조선 전기 김제 출신의 열녀. 박씨는 남편 유구연(柳九淵)이 죽자 3년 동안 여묘(廬墓)를 했다. 여묘를 마친 뒤에는 남편의 얼굴을 그려 벽에 걸어 두고 사철 의복을 지어 시렁에 달아 두면서 아침저녁 제사 지내는 것을 그치지 않았다. 박씨의 절의를 높이 평가하여 나라에서 세역을 감면해 주었다....
-
조선 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열녀. 윤사임 처 박씨는 25세이던 1510년(중종 5)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평생 동안 소복을 벗지 않고 고기도 먹지 않는 등 검소하고 소박하게 생활하였다. 또한 절일(節日)과 기제(忌祭) 때는 분묘 앞에 나아가 초상 때처럼 서럽게 울며 처음과 다름없이 애통해하였다. 이에 1526년(중종 21) 전라도관찰사 유관(柳灌)이 장계(狀啓)에 이와 같은...
-
조선 전기 김제 출신의 열녀. 동질금(同叱今)은 남편인 향리(鄕吏) 이당(李堂)이 세상을 떠나자 평생 동안 상복을 벗지 않고, 안방에 흰 장막을 설치하여 신주를 그 안에 모셔 놓고 아침저녁으로 상식(上食)을 올렸다. 1512년(중종 7) 정려의 명이 내려져 정문(旌門)이 세워졌으며, 1517년(중종 12)에는 전라도관찰사 남곤이 장계를 올려서 세(稅)를 감면받았다....
-
조선 후기 김제 출신의 열녀. 이씨는 남편 전시효(田時孝)가 도적에게 피살되자 남편을 따라 죽었다. 마을에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살았던 열녀. 김해김씨는 1901년 충청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김만수로, 18세에 전라북도 김제에 살고 있던 조재준과 결혼하였다. 결혼 후 남편의 고향집에서 신혼살림을 차린 김해김씨는 남편과 서로 아끼고 사랑하며 즐겁게 생활하였다. 그러던 어느 해 남편이 갑작스럽게 신병으로 자리에 누웠다. 백방으로 약을 구하여 정성을 다하였으나 백약이 무효로 차도가 없자...
-
조선 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열녀. 금이(今伊)[1473~?]는 37세인 1509년(중종 4) 자식도 없이 남편 갑사(甲士) 최치강(崔致江)을 여의었는데, 전라도관찰사 유관(柳灌)이 장계를 올린 1526년(중종 21)까지도 계속 흰옷을 입고 고기는 물론 양념한 반찬도 먹지 않았다. 그리고 평상과 장막을 갖추어 신주(神主)를 모신 뒤 향로와 꽃병을 놓고 조석으로 상식(上食)을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