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401301 |
---|---|
한자 | 喪輿- |
영어공식명칭 | Song of Bier |
이칭/별칭 | 상두가,향도가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충청남도 당진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성의 |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에 전해 오는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
[개설]
「상엿소리」는 상가에서 모든 절차를 마치고 발인하여 시신을 장지로 운구하는 과정에서 상두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 중 하나이다. 상두가, 향도가라고도 불린다. 상여를 메고 가는 일은 여러 사람이 호흡을 맞추어야 하는 일이다. 이는 힘들고 슬픈 일이며 장지까지 가는 도중에는 어려운 길도 있을 수 있다. 다리를 건너고 고개를 오르면서 여러 사람이 「상엿소리」를 부르며 호흡을 맞추고, 이 소리는 유족들의 슬픔을 달래 주기도 한다.
「상엿소리」는 지역에 따라 다르고 같은 지역에서도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데, 메김 소리를 하는 요령잡이가 그때그때 임기응변으로 사설을 바꾸어 부른다.
[채록/수집 상황]
「상엿소리」는 1990년에 면천, 석문 지역에서 채록하여 『유서 깊은 면천』(면천면, 1991), 『밝아 오는 석문』(석문면, 1991)에 수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앞소리를 요령잡이가 메기면 뒷소리는 상두꾼들이 받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단체요이다.
[내용]
1. 어허야 어헤에랴 (어허야 어헤에랴)/ 간다 간다 나 돌아간다 황천으로 나 돌아간다 (어허야 어헤에랴)/ 이제 가면 언제 오나 다시 올 길 전혀 없네 (어허야 어헤에랴)/ 부모 처자 다 버리고 저승길로 나는 가네 (어허야 어헤에랴)/ 아침나절 성튼 몸이 저녁나절에 병이 들어 (어허야 어헤에랴)/ 찾는 것은 냉수에다 부르노니 어머니요 (어허야 어헤에랴)/ 일직사자 손을 끌고 월직사자 등을 미네 (어허야 어헤에랴)/ 여보시오 사자님네 신이나 신고 가게 해 주소 (어허야 어헤에랴)/ 활대같이 굽은 길을 장대같이 내달으니 (어허야 어헤에랴)/ 저승길이 멀다더니 대문 밖이 저승이요 (어허야 어헤에랴)/ 북망산천 멀다더니 대문 밖이 복망일세 (어허야 어헤에랴)/ 여보시오 소년들아 젊었다고 자랑 마라 (어허야 어헤에랴)/ 오늘 청춘 내일 백발 세월은 덧없구나 (어허야 어헤에랴)/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저승으로 나는 간다 (어허야 어헤에랴)/ 이제 가면 언제 오나 다시 오기 어렵구나 (어허야 어헤에랴)
2. (메김) 어허아~허어아~(받음) 어허아~허어아~/ 저승길이 멀다더니 (어허아~허어아~)/ 대문 밖이 저승일세 (어허아~허어아~)/ 어린 자식을 떼어 놓고 (어허아~허어아~)/ 내가 가며는 아주 가나 (어허아~허어아~)/ 어디 간들 잊을쏘냐 (어허아~허어아~)/ 명사십리 해당화야 (어허아~허어아~)/ 꽃 진다고 설워 마라 (어허아~허어아~)/ 명년 삼월 돌아오면 (어허아~허어아~)/ 꽃이야 다시 피지마는 (어허아~허어아~)/ 우리 같은 인생이야 (어허아~허어아~)/ 한 번 아차 죽어지면 (어허아~허어아~)/ 싹이 나나 윤이 나나 (어허아~허어아~)/ 저승길이 멀다더니 (어허아~허어아~)/ 대문 밖이 저승이요 (어허아~허어아~)/ 구석구석 웃는 모양 (어허아~허어아~)/ 애통하고 원통하다 (어허아~허어아~)/ 이제 가면 언제 오나 (어허아~허어아~)/ 다시 오기 어렵구나 (어허아~허어아~)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상엿소리」는 사람의 삶 중에서 마지막 단계인 죽음을 맞아 영생하는 자리를 찾아가는 자리에서 불린다.
[현황]
「상엿소리」도 다른 민요들과 마찬가지로 지금은 잘 불리지 않는다.
[의의와 평가]
사람의 죽음은 인간사에서 가장 슬픈 일인데, 옛사람들이 조금이나마 슬픔을 줄여 보려 「상엿소리」를 부르며 아끼는 이들을 떠나보내는 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