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400634 |
---|---|
한자 | 李載瑞 |
영어공식명칭 | Yi Jaeseo |
이칭/별칭 | 취암(醉巖)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충청남도 당진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남석 |
출생 시기/일시 | 1911년 - 이재서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960년 - 이재서 문교부 총무과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63년 - 이재서 민주 공화당 충남 사무국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68년 - 이재서 성균관 부관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80년 - 이재서 성균관 관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81년 - 이재서 유도회 총본부 위원장에 피선 |
몰년 시기/일시 | 1984년 - 이재서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986년 - 성균관장 이재서 선생 기적비 건립 |
출생지 | 이재서 출생지 - 충청남도 당진시 |
학교|수학지 | 명륜 전문학교 - 서울특별시 |
묘소 | 이재서 묘소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가학리 |
성격 | 행정가|서예가 |
성별 | 남 |
본관 | 덕수(德水) |
대표 경력 | 문교부 총무과장|성균관 관장 |
[정의]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행정가이자 서예가.
[개설]
이재서(李載瑞)[1911~1984]는 충청남도 당진시 출신으로 성균관에서 한학을 배우고 해방 후에 부여 군수, 문교부 총무과장을 역임하였으며, 민주 공화당 충남 사무국장과 성균관 관장을 지냈다. 서예가로도 명성이 높다.
[가계]
이재서의 본관은 덕수(德水), 호는 취암(醉巖)이다. 조선 전기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1478~1534]의 16대손이다. 아버지는 당진 향교 전교를 지낸 이엽(李燁), 어머니는 능성 구씨(綾城具氏) 구인서(具仁書)다.
[활동 사항]
이재서는 성균관에서 정만조(鄭萬朝), 정봉시(鄭鳳時), 안인식(安寅植) 등으로부터 경사(經史)를 배웠고, 명륜 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해방 후에 부여 군수·충남 문정과장·내무국 서무과장·산업국 양정과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0년에는 문교부 총무과장에 올랐으며, 1963년부터 민주 공화당 충남 사무국장을 지냈다. 1968년부터 성균관 부관장을 3회 연임하였으며, 1980년부터 1984년까지 성균관 관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1981년에는 유도회 총본부 위원장에 피선되어 성균관 관장과 겸임하였다.
이재서는 성균관 관장 재임 시에 인도네시아와 문화 교류 협정을 체결하였고, 유도회(儒道會) 도쿄 지부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대만과 유교 문화 교류를 본격화하였고, 동족 상혼 입법(同族相婚立法)을 저지하였다. 한편, 매년 전국 유림 지도자 수련 교육을 실시하였고, 청소년들의 도의 교육 지도자 자질 향상에 노력하였다. 전국 향교에 청소년 도의 교육을 위한 충효 교실도 운영하였다.
[묘소]
이재서의 묘소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학리 선영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재서가 사망하자 성균관에서는 유림장(儒林葬)으로 장례를 치렀다. 또한 1986년 당진시 읍내동 남산 공원에 '성균관장 이재서 선생 기적비(成均館長李載瑞先生紀蹟碑)'를 세워 이재서의 공적을 기렸다. 기적비는 성균관 관장 박중훈(朴重勳)이 글을 짓고 이병태(李炳台)가 글씨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