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0621
한자 朴炳烈
영어공식명칭 Bak Byeongryeol
이칭/별칭 하초(荷樵)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남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4년연표보기 - 박병렬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5년 - 박병렬 영신 강습회 개설
추모 시기/일시 1935년 5월 - 박병렬 자선 기념비 건립
추모 시기/일시 1938년 6월 - 박병렬 교육 기념 동상 건립
몰년 시기/일시 1940년연표보기 - 박병렬 사망
출생지 박병렬 출생지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신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박병렬 거주지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신리
묘소 박병렬 묘소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성격 육영 사업가
성별
본관 밀양(密陽)
대표 경력 신촌 초등학교 설립자

[정의]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육영 사업가.

[개설]

박병렬(朴炳烈)[1894~1940]은 일제 강점기 합덕읍 신리의 부호로, 현재의 신촌 초등학교 설립자이다.

[가계]

박병렬의 본관은 밀양(密陽), 호는 하초(荷樵)이다. 아버지는 박용래(朴容來), 어머니는 나주 임씨(羅州林氏)다.

[활동 사항]

박병렬당진시 합덕읍 신리에서 태어나 부모를 일찍 여의고 조부모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평소 육영 사업에 관심이 많았던 박병렬은 1925년 4월 1일 영신 강습회(永新講習會)를 개설하였다. 설립 당시 학생은 60명이었고, 회장은 박경래(朴慶來)가 맡았다. 합덕에 합덕 공립 보통학교가 설립되어 입학자가 없게 되자 1928년 3월 영신 학원 강당에서 영신 학원의 존폐 문제를 논의하였다. 박병렬은 당시의 재학생 10여 명을 계속 가르치는 동시에, 추가로 보통학교 졸업 정도의 학생을 모집하여 목공과(木工科) 전공으로 교육하였다.

영신 학원은 1932년 신교육령에 의하여 폐교하였지만, 박병렬은 기본 잔금 800여 원을 15개리 구장과 진흥회장에게 분배하고 한글 야학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1933년에도 한글 보급을 장려하고 일부 학생들에게는 고등학부까지 학비를 대 주고 있다는 박병렬의 자선 사업 내용이 신문에 게재되고 있다. 또한 자신의 동리 40여 호, 200여 명의 식량을 6~7년 전부터 인구 비례에 의하여 해마다 꾸어 주고 가을에는 갚도록 하되, 갚기가 힘든 사람에게는 2~3년마다 탕감하여 주고 경작지도 인구 비례에 따라 분배고 있다는 기사가 실리기도 하였다.

박병렬은 소도 두세 마리 길러 마을 사람의 논을 갈아주되 보수도 많이 받지 않았다. 또한 동리에 기본금 수백 원을 주어 그 이자로 호세(戶稅)를 내게 하였으며, 농한기에는 조미장(造米場)을 설치하여 가마 치기, 새끼 꼬기 등 여러 가지 부업을 장려하였다. 나아가 박병렬은 노동 야학을 철저히 보급시켜 문맹을 퇴치하는 데 노력하였다.

주민들은 1935년 5월 박병렬의 자선 사업을 길이 기념하고자 기념비 제막식을 개최하였다. 이때 참석 인원이 수천 명에 달했다고 전한다. 그 후 1937년 9월 합남 보통학교(合南普通學校)[현 신촌 초등학교]가 개교 겸 입학식을 거행할 때 지역 유지 김인기(金麟基) 외 18명은 박병렬 교육 기념 동상 발기회를 조직하였다. 1938년 6월에는 박병렬 동상 건립 제막식이 성대히 거행되었다.

[묘소]

박병렬의 묘소는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신리 주민들은 박병렬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현 신촌 초등학교박병렬의 동상을 세웠다. 동상의 이름은 ‘하초 박병렬 선생지상(荷樵朴炳烈先生之像)’이었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일제(日帝)는 전쟁 물자를 조달하기 위하여 박병렬의 동상을 징발하였고, 현재 신촌 초등학교 교정에는 박병렬의 동상 좌대와 비문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