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부타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441
한자 倡夫-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근대/일제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이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9년 6월 - 「창부타령」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최운식이 예산군 고덕면 호음리의 전봉남[남, 66세]에게서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 「창부타령」 예산군에서 발행한 『예산군지』에 수록
채록지 호음리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호음리 지도보기
가창권역 예산군 - 충청남도 예산군
성격 경기민요
토리 경토리
박자 구조 굿거리장단
가창자/시연자 전봉남[남, 66세]

[정의]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불리는 경기민요의 하나.

[개설]

「창부타령」은 광대신인 창부(倡夫)를 즐겁게 하여 액을 멀리하고 행운을 이루어 달라고 비는 무가(巫歌)에서 비롯된 노래이다. 20세기 초 전문 소리꾼들에 의해 순수 민요로 재편되고 경기 지역에서 널리 불리는 민요의 대표곡이 되었다. 굿거리장단을 기본으로 하지만 부르는 사람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예산 지역의 「창부타령」은 인간의 보편적 정서인 남녀 간의 사랑을 내용으로 하여 세련되고 흥겹게 부른다.

[채록/수집 상황]

「창부타령」예산군 고덕면 호음리에 거주하는 소리꾼 전봉남이 부르는 것을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최운식이 1999년 6월에 찾아가 채록한 것이다. 2001년에 예산군에서 발행한 『예산군지』 ‘구비문학편’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창부타령」은 남녀 간의 사랑을 내용으로 하는 사설과 “아니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라는 후렴구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아니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 하늘같이 높은 사랑 하해와 같이도 깊은 사랑 / 칠 년 대한 가뭄날에 빗발같이도 반긴 사랑 / 당명황에는 양귀비에는 이도령에는 춘향이라 / 일 년은 삼백은 육십오일을 하루만 못 봐도 못 살겠네 / 아니 아니 아니 아니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 / 봄 돌아 왔네 봄 돌아 왔네 이 강산 삼천리에 봄이 돌아 왔네 / 푸른 것은 버들이요 누른 것은 꾀꼬리라 / 황금 같은 꾀꼬리는 양류간으로 넘나들고 / 백설 같은 흰나비는 장다리 밭으로 넘나든다 / 얼씨구나 좋구나 지화자 좋네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의의와 평가]

소리꾼이 독창하는 「창부타령」은 노랫가락이 화려하고 흥겨워 잔치에서 주로 불린다. 경기도와 충청도 일대에서 불리는 경기민요의 특성을 잘 보여 주는 민요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