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438
한자 -歌
이칭/별칭 제비가 별조,연자가(驠子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근대/일제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이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7년 - 「제비가」 예산문화원에서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 「제비가」 예산문화원에서 발행한 『예산문화』 제26집에 수록
채록지 예산군 - 충청남도 예산군
가창권역 예산군 - 충청남도 예산군
성격 민요|경기잡가|십이잡가
박자 구조 도드리장단|세마치장단

[정의]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불리는 제비와 여러 새를 소재로 한 경기잡가.

[개설]

예산 지역에서 불리는 「제비가」는 경기잡가가 들어온 것이며, 앉아 부르는 긴잡가이다. 1900년대 초반부터 유성기가 나오는 1930년대 이전까지는 잡가가 유행하였다. 서울에서는 광무대, 장안사, 연흥사, 단성사 등에서 전통 연희를 활발하게 무대에 올렸는데, 그 중심에 십이잡가가 있었다. 「제비가」「유산가」, 「적벽가」 등과 함께 십이잡가를 대표하는 곡이며, 1930년대부터 해방 시기까지 대중들로부터 널리 사랑을 받은 노래였다. 한자 제목으로는 「연자가(驠子歌)」로 불려 제비를 대상으로 한 노래처럼 보이는데, 실제는 여러 새의 사설이 섞인 노래이다. 판소리 「흥부가」 중 「제비가」의 일부,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의 일부, 남도잡가인 「새타령」의 가사 등을 빌어다 엮어 만들었다.

[채록/수집 상황]

「제비가」는 1997년 예산문화원에서 예산군 지역의 소리꾼이 부르는 노래 가사를 채록한 것이다. 채록 당시 구연자, 채록 상황, 일시 등을 상세히 밝혀 두지 않아 사설만 예산문화원에서 발행한 『예산문화』 제26집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제비가」의 앞부분은 6박자의 도드리장단이고, 중간부 이후에는 세마치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제비, 꾀꼬리, 두견새, 앵무새, 두루미, 공작, 접동새, 기러기의 생김새와 날아가는 모습, 울음소리 등으로 다채롭게 엮어졌다. 다만, 만첩산중의 늙은 호랑이가 개를 물어다 놓고 장난치는 모습은 전체 내용과 어울리지 않는다.

[내용]

“만첩산중 늙은 범 살진 암캐를 물어다 놓고 너르고 노인다 / 광풍의 낙엽처럼 벽하동풍 떠나간다 / 일락서산 해는 뚝 떨어져 월출 둥둥에 달이 솟네 만리장천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 제비를 후리러 간다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 복희씨 맺힌 그물을 두루쳐 메고서 나간다 / 망당산으로 나간다 우이어 어허이 어이고 저 제비 어듸로 달아나노 / 백운을 박차며 흑운을 무릅쓰고 반공중 높이 떠 / 우어이 어허이 어이고 달아를 나느냐 내 집으로 다 오너라 / 양유상에 안은 꾀꼬리 제비만 여겨 후린다 아하 이에이 에헤이 에헤야 / 네 어듸로 행하느냐 공산야월 달 밝은 밤에 슬픈 노래 두견성 슬픈 노래 두견새 / 월도천야 삼경에 그 어느 낭군이 날 차져오리 올임비조 뭇새들은 / 농촌화담 짝을 지어 쌍거쌍내 날어든다 / 말 잘하는 앵무새 춤 잘 추는 학두루미 문채 좋은 공작 / 공기적다 공기 뚜루루 뚜루룩 솔궁 접동 스르라니 호반새 날아든다 / 기러기 훨훨 방울새 떨렁 다 날아들고 제비만 어듸로 달아나오”

[의의와 평가]

「제비가」는 십이잡가의 대표곡 가운데 하나이며, 새를 소재로 한 노래이다. 사설이 재미있고 다른 경기잡가에 비하여 장단과 선율의 변주가 특별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