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량」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407
이칭/별칭 판염불,서도놀량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7년 - 「놀량」 예산문화원에서 예산군 지역의 소리꾼이 부르는 노래 가사를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 「놀량」 예산문화원에서 발행한 『예산문화』제26집에 수록
채록지 예산군 - 충청남도 예산군
성격 민요|잡가
토리 서도산타령|서도잡가
박자 구조 세마치장단|도드리장단|자진타령장단

[정의]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불리는 서도입창 「산타령」의 첫 번째 노래.

[개설]

「놀량」은 「산타령」의 첫 번째 노래이며, 메기는 사람과 받는 여러 사람이 어울려 부르는 노래이다. 「경기산타령」의 「놀량」이 변형·발전한 서도입창(西道立唱)이다. 「산타령」의 원형은 조선 후기 평안도, 황해도 지역에서 불리던 「산타령」이었지만, 19세기 후반 서울 지역의 전문 소리꾼에 의하여 계승되면서 경기잡가로 자리잡았다. 이에 「서도산타령」과 다른 「경기산타령」이 나타나 널리 퍼졌고, 여러 곡을 연달아 부르는 「산타령」의 첫 번째 곡명인 「놀량」도 「경기놀량」과 「서도놀량」으로 나뉘었다. 장단이 불규칙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부르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경기놀량」을 부르기 쉽도록 간편화한 것이「서도놀량」인데, 예산 지역에서 채록된 곡은 「서도놀량」에 속한다. 「서도놀량」은 「경기놀량」과 기본적으로 닮았지만 「경기놀량」은 소고(小鼓)를 들고 부르는 것에 비해 장고를 메고 부르는 모습이나, 메기는 사람과 합창하는 사람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선율은 「경기놀량」에 비하여 세련되고, 사설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놀량」은 「판염불」이라고도 불린다.

[채록/수집 상황]

「놀량」은 1997년 예산문화원에서 예산군 지역의 소리꾼이 부르는 노래 가사를 채록한 것이다. 채록 당시의 구연자, 채록 상황, 일시 등을 상세히 밝혀 두지 않아 사설만 『예산문화』 제26집에 실려 있다.

[구성 및 형식]

「놀량」은 사설과 후렴구로 구성된 노래이다. 선소리꾼이 사설을 메기면 여러 사람이 후렴구를 합창하는 형식이다. 장단은 세마치장단, 도드리장단, 자진타령장단이 섞이다가, 후반부 들어서는 도드리장단으로 바뀐다. 사설 구조는 전반부에서 산으로 들어가는 심사와 산속 풍경을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사랑의 성취를 소원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내용]

“에라디여 어허야 요흘네로구나. 녹양에 벋은 길로 북향산 쑥 들어도 간다. 에헤야 이헤 어허야 요흘네로구나. / 춘추(春水)는 낙낙 기러기 나니 훨훨훨 낙락장송이 와자직근 도다 부러졌다. 마른 가지 남아 지화자자 좋을시고나. 지화자자 좋을시고나. 얼씨구나 좋다. 말 들어도 보아라. 인간을 하직하고 청산을 쑥 들어도 간다. 에헤에 에이헤 어허야 요흘네로구나. / 황혼 아니 거리검쳐 잡고 상황당 숭버국새 한 마리 남게 앉고 또 한 마리 땅에 앉아 네가 어느메로 가자느냐. 어느메로 가자느냐. 이 산 넘어가도 거리 숨버국새야. 서 산 넘어가도 거리 숨벅국새야. 에- 어리양자 고운 태도 눈에 암암하고 귀에 쟁쟁 / 비나니 비나이다 비나니로구나. 소원성취로 비나니니니로구나. 에- 삼월이라 육구함도 대삼월이라 얼씨고나 절씨고나. 담불담불이 생기도 사랑 사랑 사랑 내 사랑아. / 남참에 북창을 열구나 보니 담불담불 이 쌓인도 사랑. 기암에 고송에 기어나올라 휘위 청청 임도 담긴도. 사랑초 다방초 홍두깨 년출년출이 박년출이 이 내 가슴에 맺힌도 사랑에 – 나엘 네로구나. 아하아하.”

[의의와 평가]

「놀량」은 춤과 발림이 어울려 연행되는 대중예술이며, 종합 예술의 한 부분을 이루는 특징을 지닌다. 세련되고 높고 소리로 경쾌하며 여럿이 함께 부르는 노래가 씩씩하고 박진감이 넘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