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양주 지역민들이 살았던 전통 살림집의 형태 및 구조. 양주 지역 주민들의 주생활은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특별한 점이 없고, 전형적인 중부 지방형 민가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중부 지방, 특히 경기 지역 민가의 특성을 중심으로 양주 지역 주생활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중부 지방형 민가의 특성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마루 없는 一자형 가옥 구조와 함께, 안채가 ‘곱...
-
경기도 양주시에서 주변의 풍경을 감상할 목적으로 지어진 누각과 정자. 누정(樓亭)은 누각(樓閣)과 정자(亭子)의 합친 말이다. 누각(樓閣)은 높은 언덕이나 돌 또는 흙으로 쌓아 올린 대(臺) 위에 세운 형태를, 정자(亭子)는 누각의 작은 형태를 가리킨다. 누정의 기능은 대개 주변의 경치를 감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어지지만 학문 연마, 마을 공동체 모임의 주최, 체력 단련 등의 목적...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자. 금화정(金華亭)은 양주시 유양동 양주 관아지(楊洲官衙址)[경기도 기념물 제167호]의 동쪽, 불곡산 남쪽 기슭에 있었던 정자이다. 금화정의 ‘금(金)’은 양주목(楊州牧)의 단합(團合)을 뜻하고, ‘화(華)’는 아름다운 백성의 뜻을 잘 수렴(收斂)한다는 의미로, 곧 번업(繁業)을 가져올 수 있는 의미를 지닌 정자이다. 금화정은 또한 양...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목조 가옥. 강근열 가옥은 상량문의 글귀로 볼 때 1942년에 건립되었다. 안채와 바깥채가 같이 묶인 튼 ‘ㅁ’ 자형으로, 남동향을 하고 있다. 남쪽에 대문간(大門間)이 있으며 그 맞은편 정면으로는 건넌방이 있다. 건넌방 옆으로 난 샛길을 따라가면 뒷마당이 나온다. 안마당 가운데에는 우물과 수도가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은 건넌...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에 있는 목조 가옥. 김방제 가옥은 6·25 전쟁 때 불에 탄 후 다시 지은 집으로서, 그 규모 및 원형은 이전과 많이 달라졌다. 원래의 집 규모가 훨씬 컸으며, 또한 안채 지붕은 현재 기와로 되어 있으나 원래는 초가였을 것으로 보인다. 김방제 가옥은 산을 등지고 남서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ㄱ’ 자형의 안채와 ‘ㅡ’ 자형의 바깥채, 사당으로 이루어져...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개항기의 목조 가옥. 김상복 가옥은 상량문의 글귀로 볼 때 1900년(고종 37)에 건립되었다. 규모가 작고 집터도 넓지 않으며, 안채만 있을 뿐이다. 안채는 시멘트 모르타르로 기단을 하고 자연석 초석을 사용하였다. 상부 가구는 3량 구조로 되어 있으며, 지붕은 홑처마에 시멘트 기와 우진각 지붕이다. 김상복 가옥은 구한말 경기 지방 농가로서, 조선 시대...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에 있는 목조 가옥. 김진흥 가옥은 남동향 건물로, ‘ㄱ’ 자형 안채와 ‘ㄴ’ 자형 바깥채가 튼 ‘ㅁ’ 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문간(大門間)에 들어서면 ‘ㅁ’자 모양의 안마당과 안채의 부엌이 보인다. 안채는 3칸 규모의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건넌방, 왼쪽에 안방, 그 앞쪽으로 부엌을 두었다. 안방은 2칸으로 되어 있는데 네 곳에 창호를 내었다. 바...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목조 가옥. 박수정 가옥은 상량문의 글귀로 볼 때 1931년에 건립되었다. 남동향으로 자리하며, 규모가 단출하여 집터도 넓지 않고 앞마당이 작다. 남쪽에 주 출입구가 있고, 대문을 들어서면 곧바로 부엌이 보인다. 왼쪽 사선 방향으로 작은 마루와 방들이 있다. 안채는 1.5칸의 작은 마루를 중심으로 왼쪽에 건넌방, 오른쪽에 안방을 두...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목조 가옥. 거주자의 증언에 의하면 안광용 가옥은 1930년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대청을 개조하여 방으로 만들었고, 그 뒤쪽에 보일러실을 따로 설치하였으며, 부엌을 입식으로 개조한 듯 보인다. ‘ㄱ’ 자형 안채와 ‘ㄴ’ 자형 바깥채가 튼 ‘ㅁ’ 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동남향 건물이다. 대문간(大門間)을 들어서면 정면에 대청을 개조한 방이...
-
경기도 양주시 만송1동에 있는 목조 가옥. 안성만 가옥은 바깥채 자리에 부속 건물을 신축하였고, 안방을 나누어 다른 방을 만드는 등 여러 변화가 있었다. ‘ㄷ’ 자형 안채가 신축한 부속 건물에 둘러싸여 ‘ㅁ’ 자형으로 배치를 이룬 남서향의 주거 공간이다. 각 부속 건물들을 옆에 두고 그 사이로 나 있는 남쪽의 대문간(大門間)에 들어서면 ‘ㅁ’ 자형의 안마당과 대청이 있고, 양쪽으로...
-
경기도 양주시 남면 매곡리에 있는 개항기 전통 가옥. 양주 매곡리 고택(楊州梅谷里古宅)은 양주시 남면 휴암로[매곡리 282-3번지]에 위치한다. 전해져 오는 말에 의하면, 양주 매곡리 고택은 조선 말 정국이 혼란해지자 명성황후(明成皇后)[1851~1895]가 은신처로 삼기 위해 서울의 고옥(古屋)을 옮겨 지은 것이라고 한다. 명성황후의 경호원 김종원은 명성황후로부터 동대문 밖에 은...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목조 가옥. 원홍식 가옥은 상량문의 글귀로 볼 때 1926년에 건립되었다. 안채와 바깥채가 같이 묶여 튼 ‘ㅁ’ 자형의 배치를 하고 있는 서남향 건물이다. 대지의 서쪽에 주 출입구를 두었으며, 안마당 가운데에는 수도 시설이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건넌방, 오른쪽에 안방을 두었으며, 그 앞쪽으로는 3.5칸의 부엌을 배치...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목조 가옥. 윤흥수 가옥은 대청마루의 종도리 장혀에 적힌 상량문의 글귀로 볼 때 1942년에 건립되었다. 튼 ‘ㅁ’ 자형의 평면을 하고 있으며, 마당을 중심으로 안채와 바깥채가 서로 마주 보고 있다. 대문간(大門間)을 들어서면 안마당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안채의 전모를 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의도적인 시각적 차폐를 이룬 공간 구성임을...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개항기의 목조 가옥. 이갑석 가옥은 양주시 고읍동 상동마을의 가장 안쪽에 깊숙이 위치한다. 산을 등지고 남서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대청 종도리 장혀에 적힌 묵서(墨書)로 볼 때 1898년(고종 35)에 건립되었다. ‘ㅁ’ 자형의 배치를 이룬다. 안마당의 형태를 구성하는 기단석이 장대하고, 안채의 기둥도 18.18㎝[6치]가량의 견실한 방주(方柱)임을...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목조 가옥. 임도용 가옥은 상량문의 글귀로 볼 때 1942년에 건립되었다. ‘ㄱ’ 자형 안채와 ‘ㄴ’ 자형 바깥채가 튼 ‘ㅁ’ 자형으로 배치된 남서향의 건물이다. 주 출입구는 가옥의 남쪽으로 나 있다. 대문간(大門間)에 들어서면 옆으로 길게 펼쳐진 안마당이 보이며, 안마당에는 수도를 두었다. 정면으로는 뒷마당으로 돌아 들어가는 샛길이 있고...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개항기의 목조 가옥. 전병우 가옥은 상량문의 글귀로 볼 때 1906년(고종 43)에 건립되었다. 남향의 튼 ‘ㅁ’ 자형 배치를 이루고 있다. 계단을 몇 개 올라가면 높여 놓은 기단에 올라설 수 있고, 대문에 들어서면 안채의 대청이 보인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건넌방, 왼쪽에는 쪽마루를 전면에 설치한 안방과 그 아래로 작은 규모의 부엌과 방이...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개항기의 목조 가옥. 정지형 가옥은 대청마루의 종도리 장혀에 적힌 묵서(墨書)에 의하면 1905년(고종 42)에 건립되었다. 전형적인 ‘ㅁ’ 자형의 평면 구조로서, 산을 등지고 남동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채와 바깥채는 하나로 묶여 있으나 그 기능은 나뉘어 있다. 가옥의 평면 치수에서 전체의 간살은 8척, 즉 2.42m를 1칸으로 하고, 1척은 약 30...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에 있는 조선 전기 죽산 안씨(竹山安氏) 연창위(延昌慰) 안맹담(安孟聃)의 종가 주택. 죽산 안씨 연창위 종가(竹山安氏延昌慰宗家)는 양주시 만송로 205번길[만송동]에 위치한다. 조선 전기 세종의 둘째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의 부마인 연창위 안맹담[1415~1462]과 아들 안종탄(安從坦)[경상우도수군절도사 역임]이 건립하였다. 안종탄이 10세 되던 해인 150...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홍죽2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목조 가옥. 양주시 백석읍 홍죽2리는 나지막한 산을 배경으로 약간 경사진 지형에 자리해 있다. 마을 끝 부분에 위치한 최두월 가옥의 전면과 후면에는 여러 가구가 자리해 있고, 그 뒤로 산이 에워싸고 있다. ‘ㄱ’ 자형 안채와 ‘ㅡ’ 자형 문간채가 결합한 ‘ㄷ’ 자형 건물로, 안채만을 놓고 보면 ‘ㄱ’ 자형 집이라고 할 수 있다....
-
경기도 양주시 삼숭1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목조 가옥. 최종수 가옥은 상량문의 글귀로 볼 때 1937년에 건립되었다. ‘ㄱ’ 자형 안채와 바깥채가 튼 ‘ㅁ’ 자형 배치를 이루며, 서남향으로 자리해 있다. 남쪽으로 나 있는 대문간(大門間)을 들어서면 정면에 벽이 있고, 왼쪽으로 돌아서면 칸이 열려 있어 안마당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안마당을 들어서면 사선 방향으로 대청이...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에 있는 목조 가옥. 황천규 가옥은 ‘ㄱ’ 자형 안채와 ‘ㄴ’ 자형 바깥채로 이루어졌으며, 전체적으로 튼 ‘ㅁ’ 자형의 배치를 하고 있다. 서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안채와 바깥채가 만나는 곳에는 담을 세우고, 안마당에는 작은 화단을 꾸며 놓았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건넌방, 왼쪽에 안방, 그 앞쪽에는 부엌이 위치하고 있다. 가옥의 창호는...
-
경기도 양주시 산북동 웃말에 있었던 우물. 꽃바위우물은 근처에 꽃이 핀 바위, 즉 꽃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화암정(花岩井)이라고도 불렀다. 꽃바위 밑에서 나오는 우물을 마을 전체에서 길어다 먹었는데, 물이 차고 수원이 풍부하여 찬우물이라고도 하였다. 서쪽으로 불곡산이 병풍처럼 펼쳐지고 동쪽으로 넓은 벌판이 펼쳐지는 양주시 산북동의 중심에 있었다. 주변 야산에 안동 권씨와 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