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1170 |
---|---|
한자 | 三陟- |
이칭/별칭 | 메놀이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창식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농요.
「메나리」는 삼척시의 농요를 대표하는 민중의 소리다. 「삼척메나리」는 노동의 도구인 동시에 놀이의 역할을 하는 민요였다. 고된 농사의 어려움을 잊고 풍년을 소망하면서 「메나리」를 불렀다.
「삼척메나리」는 독창, 혼자부르기 위주이다. 소리꾼이 흥을 돋우어 주기도 하고, 한 사람이 한 구절을 부르거나 한 수를 마치면 다른 사람이 한 수씩 이어가는 돌림노래 방식을 택하기도 한다.
제1과장 풍년제례 - 농악대를 선두로 놀이 대원들이 입장한다.
제2과장 밭 매고 씨 뿌리기 - 열심히 씨를 뿌리는 농부들 중 누군가가 메나리를 부른다. 한 사람의 독창에 주변 사람들은 “이휘휘 호호오이” 하고 후렴을 받는다.
제3과장 김매기 - 곡식이 어느 정도 자란 밭에 농부들이 김을 매면서 그리운 임을 생각한다.
제4과장 호미씻이 및 한마당 놀이 - 한여름 더위가 끝나갈 무렵 김매기가 끝난 농부들이 호미씻이를 준비한다. 서로 이야기를 나누며 준비해 온 음식을 먹는다. 그러하면 가꾼 곡식들은 풍년을 맞이한다. 추수가 끝난 농부들은 한마당 놀이잔치를 벌이면서 절정을 이른다.
1. 오돌독이 춘야월에 달도 밝고 명랑하다
이월요도 북상꽃에 탐화봉접이 춤을 춘다 [이휘휘 호호오이]
2.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진다고 설어 마라
명년삼월 봄이 오면 꽃도 다시 피난니라 [이휘휘 호호오이]
3. 닭이 우네 닭이 우네 모시밭골서 닭이 우네
그기 누가 닭이더냐 맹상군에 민닭일세 [이휘휘 호호오이]
4. 사래 길고 장찬밭을 어누 장부가 갈아주오
태호정에 좋은 술은 우리 임에 권농주라 [이휘휘 호호오이]
5. 아적이실 만낸친구 저녁달에 이별이요
이내골을 얼른 매고 임에골을 마중하세 [이휘휘 호호오이]
6. 샛별같은 점심골이 반달갓치 들어온다
산들산들 부는 바람 모시적삼을 입혀주오 [이휘휘 호호오이]
7. 모시적삼 안자락에 연적 같은 젖을 보오
점심참만 참일런가 담배참도 참일네라 [이휘휘 호호오이]
8. 불볕이야 더우나니 이내골을 마주태세
방실 웃고 핼금 보니 못다보고서 해가 진다 [이휘휘 호호오이]
10. 사농공상 생긴 후에 귀중한기 농사로다
소가 우네 소가 우네 도림돌에서 소가 우네 [이휘휘 호호오이]
11. 사행창생 농부들아 일생신고를 설어 마오
음지양지 슬퍼은데 우리 임은 이데로 갔나 [이휘휘 호호오이]
12. 붉어 오네 붉어 오네 옥천앵두로 붉어 오네
어느부랑자 다 따먹고 앵두씨만야 남았구나 [이휘휘 호호오이]
13. 오늘날은 여기 놀고 내일날은 어디서 노나
지둥 없는 하늘 밑에 어디간들 못 놀겠나 [이휘휘 호호오이]
------------중략-------------------------
23. 만리장성 쌓은 정사 흙도 지고요 돌도 져서
황하수는 메웠어도 봉래바다는 못 메웠네 [이휘휘 호호오이]
24. 야월공산 깊은 밤에 두전새가 슬피 우니
규중심처 젊은 과수 일천 간장 다 녹인다 [이휘휘 호호오이]
삼척군 근덕면 선흥리 사람들은 1988년 제6회 강원도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해 종합우수상을 받았다.
「삼척메나리」는 전통 민요의 지역 대표성이 강조된 삼척시 특유의 농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