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덕남동 유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508
한자 德南洞遺蹟
영어공식명칭 Ducknam-dong Sites|
이칭/별칭 덕남동 유적1구역,덕남동 유적2구역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남구 덕남동 243
시대 선사/청동기,선사/철기,고대/삼국 시대,고대/남북국 시대,고려/고려,조선/조선,근대/근대
집필자 이정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4년 8월 12일~8월 15일 - 덕남동 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에서 지표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7년 8월 20일~12월 17일 - 덕남동 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에서 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8년 5월 27일~8월 14일 - 덕남동 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현 소재지 덕남동 유적 - 광주광역시 남구 덕남동 243 일대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산83-3]지도보기
성격

[정의]

광주광역시 남구 덕남동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근대까지의 복합 유적.

[위치]

광주광역시 덕남동 유적분적산[414.5m]의 남쪽 사면부에 해당하는 곳으로, 광주대학교에서 전라남도 화순군 방면으로 약 1㎞ 정도 지나면 오른편으로 분적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사면부에서부터 말단부에 있다. 덕남동 유적의 북쪽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노대천이 있으며, 노대천 건너편에는 노대동 유적, 노대동 신기 유적, 행암동 대동 유적 등이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광주광역시 덕남동 유적광주광역시도시공사가 시행한 빛고을노인건강타운 2단계 조성사업 구간에 속해 전남문화재연구원에서 2004년 8월 12일부터 8월 15일까지 지표조사에 이어 2007년 8월 20일부터 12월 17일까지 시굴 조사를 진행하였고, 2008년 5월 27일부터 8월 14일까지 유구가 확인된 지역에 대한 정밀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자연 지형을 기준으로 1구역과 2구역으로 나누어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덕남동 유적 1구역'에서는 생활 유구, '덕남동 유적 2구역'에서는 분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의 집터, 도랑 모양의 집터, 삼국시대의 집터가 확인되었고, 통일신라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건물지, 구덩이 건물지, 우물, 도랑 모양의 집터, 움무덤, 옹기묘, 구덩이 모양의 집터, 삼가마 등이 확인되었으며, 청동기시대의 송국리형 집터가 2기 확인되었는데 내부에서는 민무늬 토기편과 석기가 출토되었다. 삼국시대 집터는 1기가 확인되었으며 연질 토기편이 출토되었다. 또한, 덕남동 유적에서는 26기의 도랑 모양의 집터가 확인되었는데 유구 내부에는 대부분 크고 작은 쪼갠 돌이 무질서하게 채워졌거나 자갈과 굵은 사립이 퇴적되어 있었고, 회청색 경질 토기편, 회색 도질토기편 등이 출토되었다. 조선시대부터 근대의 묘제로는 움무덤과 옹기묘가 2구역에서만 확인되었고, 삼가마 1기도 발견되었는데 평면 형태는 원형이며 바닥과 벽체가 소결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삼가마는 광주읍성과 광주 행암동 유적에서도 확인되었다.

[현황]

광주광역시 덕남동 유적빛고을노인건강타운이 들어서 유구는 남아 있지 않으며, 출토된 유물은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광주광역시 덕남동 유적은 청동기 시대 집터를 비롯하여 조선시대부터 근대까지의 묘제인 움무덤과 옹기묘가 확인된 청동기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복합 유적으로, 지석강으로 합류되는 노대천 상류의 고대 문화를 이해하는 데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