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ㅅ방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1185
한자 -方言
영어공식명칭 Vernacular Siot, ㅅ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삼척시
집필자 김일규

[정의]

강원도 삼척 지역 ㅅ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개설]

강원도 삼척 지역을 포함한 강원도 지역과 영동 지방에서는 ‘ㅎ’ 구개음화, 모음 체계의 움라우트 현상,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현상, ‘ㅣ’ 첨가 현상 등이 발생하여 시옷(ㅅ)으로 시작되는 어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어휘]

1. 삼척 지역을 포함해 강원도 전 지역에서 ‘ㅎ’ 구개음화가 다음과 같이 일어난다.

성수: 형수.

예) 부모가 돌아가신 집에서는 성님(형님) 성수를 부모 모시듯 모시는 기(것이) 도리이다.

세 살이 빠지다: 죽다, 매우 혼나다.

예) 이 세 살이 빠질 지지바(여자)를 봤나?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연애질만 하니 말이야.

세바닥: 혀 바닥.

예) 사나(사나이)가 입이 무과야지(무거워야지) 세바닥을 함부로 나불거려서 되겠나?

숭내: 흉내.

예) 남의 숭내를 잘 내는 것도 재주가 아이겠나(아니겠느냐)?

2. 삼척 방언의 모음 체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움라우트 현상이 일어난다.

셈기다: 섬기다.

예) 부모님이 살아 계실 때 셈기기를 다해야지 돌아가신 후에 아무리 제사를 잘 지낸들 무신(무슨) 소용이 있겠나?

새겨: 삭혀.

예) 식은 밥은 누룩을 섞어 부뚜막에 두면 새겨져(삭혀져) 술이 된다와(된다오).

3. 삼척 지역을 포함한 영동 지방 방언의 특징으로 이중모음이 단모음화되는 현상이 있다.

생겠다: 생겼다.

예) 사람 나고 돈 생겠지 돈 나고 사람 생겠는 줄 아나(아느냐)?

석게사: 섞여, 섞여서.

예) 이우지(이웃) 간에 두리뭉실(두루뭉실) 석게사 사이좋게 지내자꾸나.

생케: 삼켜.

예) 문에(문어)는 물렁물렁한 고기이니 달부(모두) 씹을라고(씹으려고) 하지 말고 적당히 씹어서 생케라.

4. 삼척 방언에서는 ‘ㅣ’ 첨가 현상이 인다.

쇠기다: 속이다.

예) 사람을 쇠기는 버르지이는(버릇은) 어릴 때부터 잘 고쳐야지 그냥 놔두면 안 된다.

5. 삼척 방언의 종결어미와 관련하여서는 ‘-오’나 ‘-요’ 가 쓰일 자리에 ‘-와’가 쓰인다.

숨과 주와: 숨겨 주세요.

예) 저개(저기) 순사가(경찰이) 오이(오니) 날 좀 숨과 주와.

6. 이 밖에 삼척 지역에 있는 특정 어휘는 다음과 같다.

상근: 아직, 계속, 여태.

예) 밤 12시가 다 되었는데 상근 일하나?

소자와: 비좁아, 솔아.

예) 자리가 소자와 궁디이(궁둥이) 돌려댈(돌라댈) 데도 없구나.

속이 짼하다: 속이 안됐다, 마음이 아프다, 속이 뭉클하다, 속이 찐하다, 속이 짠하다.

예) 가가(그 녀석이) 맨주먹으로 객지에 나가 고상한(고생한) 얘기를 들으니 속이 짼하더라.

속았다: 수고했다.

예) 그 일을 햇골새(해가 있는 동안) 다 마치느라고 속았다.

소두뱅이: 솥뚜껑, 소댕.

예) 남의 집 솥에 뭐가 들었나 하고 소두뱅이를 풀쑥풀쑥(불쑥불쑥) 열어 보는 여자는 얌창머리(염치)가 없는 여자다.

서 비치다: 바빠서 앉을 사이 없이 서서 지내다.

예) 음식점 일을 거드느라고 하루종일 서 비치니 저녁에는 달구리(다리)가 아파서 혼이 났다와(났다오).

쇠때: 열쇠, 쇠 막대기.

예) 왜 집에 안 들어가고 있소? 쇠때가 없어 못 들어가고 있아요(있어요).

수가매: 머리가마.

예) 수가매가 두 개인 사람은 두 번 장가를 간다고 하는 얘기가 있더라.

수완: 순전히, 지독한.

예) 전야는(저 녀석은) 수완 거짓말쟁이란다.

수지: 알짜, 진짜, 알맹이, 맏물.

예) 솥에 밥을 해도 수지는 달리(따로) 떠서 웃(윗) 어른께 드리는 것이 우리 옛날 풍습이었다.

순다지: 순전히.

예) 나으(나이)가 그만하면 제 나름대로 살아갈 구구(궁리)를 해야지 나으(나이)가 얼만데 안주도(아직도) 순다지 부모 얼굴만 쳐다보고 있나?

솥이끼: 누룽지.

예) 상새집에는 밥을 많이 하기 때문에 이밥(쌀밥) 솥이끼가 많이 생기다와(생깁디다).

소갈비(솔갈비): 마른 솔잎 또는 떨어져 땅에 쌓인 솔잎.

예) 산에 소갈비 하러 갈 때는 뭐이(무엇이) 필요한지 아나(아느냐)?

새가 올라온다: 바닷가에서 샛바람이 올라온다.

예) 새가 올라올 때는 찬 안개바람이 올라오더라.

생그: 생 것.

예) 이 고기는 생그로 먹어도 좋고 익은그로(익은 것으로) 먹어도 좋습디다.

세와: 세워.

예) 서울은 사람을 세와 놓고 코 베어 가는 험악한 세상이라니 조심하거라.

소낭그: 소나무.

예) 설이 다가오니 소낭그를 패서 잘 말롸 돴다가(잘 말려 두었다가) 건너불에 내다 팔아 돈으(을) 좀 맹글자(만들자).

솔짝: 슬쩍.

예) 곶감고지에 곶감을 한 개 두 개 솔짝 솔짝 빼먹다 보니 세 고지나 먹었다.

숩(숲)다: 싶다.

예) 비가 주룩주룩 오니 밀갈그(밀가루) 반죽을 해서 적을 좀 부쳐 먹고 숩구나. 호박이나 파를 숭숭 쌀아(썰어) 넣고 말이야.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