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1127
한자 宿岩里-堂
영어공식명칭 Sugamri Seonangdang
이칭/별칭 삼척 하장면 숙암리 큰서낭당,삼척 하장면 숙암리 대서낭당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유적/민간 신앙 유적
지역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숙암리
집필자 김도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숙암리 지도보기
성격 서낭당

[정의]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숙암리에 있는 마을 서낭당.

[개설]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숙암리에는 반별로 소성황이 있고, 숙암리2반에 대성황이 있어 숙암리 전체 마을의 중심 서낭의 역할을 한다. 이에 제관은 각 반별로 선정하여 음력 정월과 음력 7월에 좋은 날을 정하여 자시(子時)에 지낸다.

모신 신령은 3분인데, 중앙에 ‘성황대신위(城隍大神位)’라 묵서한 나무 위패를 모셨는데, 이와 같이 모시게 된 1차적 목적이 숙암리 전체 주민들을 위함이며, 부수적으로 숙암리2반을 위한 종교적 기능도 함께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사례는 삼척시 원덕읍 이천리, 노곡면 하마읍리, 노곡면 하군천리, 근덕면 교곡리, 도계읍 신리, 신기면 대이리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 마을들은 ‘리(里)-반(班)’ 단위의 마을들이 상호 영향을 미치는 밀접한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 큰 마을에 있는 서낭당을 큰 서낭·도서낭·대서낭 등으로 부르며, 이 서낭이 하위 마을들을 관장하는 중심 서낭으로의 위상을 지니게 된다.

[위치]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숙암리2반에 위치한 숙암리 대서낭당은 번천리에서 광동리로 향하는 도로 오른쪽 비탈면에 위치한다. 즉, 숙암리 산성이 위치한 산의 중턱에 위치하여 광동댐이 잘 보이는 위치에 있다.

[형태]

숙암리 대서낭당은 숙암리 산성 중턱에 ㄷ자형 돌담을 둘렀고, 규모는 정면 1칸, 측면 1칸이며, 정면에 알루미늄 샷시를 재료로 좌우여닫이문을 만들어 출입문으로 이용한다. 지붕은 슬레이트를 올린 팔작지붕 형태이다.

제당 내부에는 3분 신령을 모셨는데, 각각 나무 칸막이로 구분을 하였다. 중앙의 제단에 ‘성황대신위(城隍大神位)’라고 쓴 나무 위패를 모셨고, 좌우에는 위목지를 걸어 각각의 신령을 모셨음을 표현하였다.

나무로 제작한 제단 정면 위에는 현판이 2개 걸려있는데, 성황당을 신축할 때 성금을 낸 사람들의 명단과 갑신(甲申) 3월에 신축하였음을 적었다. 그리고 그 옆에는 1992년 11월 22일 중수(重修)하였음을 알려주는 현판을 걸었다.

[의례]

숙암리 소재 하위 마을에는 각 마을마다 서낭당이 있어 매년 서낭고사를 지냈으나, 지금은 서낭고사를 지내지 않는다. 예전 서낭고사는 정월에 날을 받아서 지냈다.

서낭고사를 지낼 때 성황님과 수부, 객귀 밥을 떠서 고사를 지냈으며, 부정경과 성황경을 구송하여 신령을 위하면서 마을을 위한 축원을 부탁드린 후 소지를 올렸다. 복재가 동행하면 격을 갖추어 비손을 잘 할 수 있었지만, 복재가 없으면 마을에서 비교적 잘 비는 이가 빌었다. 주로 마을과 사람들 주위에 들 수 있는 다양한 부정을 물리는 것 위주로 비손을 하였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숙암리 대서낭당과 같은 형태를 띤 마을공동체신앙이 나타난 요인은 공동의 사회·경제·문화권이어서 대서낭당 중심의 공동체신앙이 형성될 수 있었다. 또한 조선 후기에 농기구와 시비법의 발달로 마을에서 조금 벗어난 계곡이나 구릉지대를 개간하여 새로운 마을을 개척하는 사례들이 늘어나면서 이와 같은 마을공동체신앙의 범주로 묶일 수 있는 마을들이 생겨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서낭당이 위치한 마을은 전체 마을의 구심체 역할을 담당하기에 하위 마을과 잘 통할 수 있는 중앙에 있거나, 각 골짜기들이 만나는 평평한 지역에 형성된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대서낭당 또는 큰서낭당에서 베풀어지는 도서낭제는 주민 개개인들에게 공동의 연대 의식을 재확인하고 강화하는 기능을 하여 여러 개의 하위마을로 나뉘어져 있는 주민들을 특정 마을 주민이라는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 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공동체신앙 권역에서 매년 또는 수 년에 한번씩 무당이나 보살을 모셔서 굿을 하거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굿을 못 하게 되면 제사를 크게 지낸 후 마을 주민들의 단합을 위한 다양한 행사를 하는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각종 재난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목적 또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