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1084
한자 安宅告祀
영어공식명칭 Antaek-gosa(Ritual for peace among family member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강원도 삼척시
집필자 윤동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제의
의례 시기/일시 정월

[정의]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집안의 안녕을 위해 정초나 봄가을에 날을 잡아 지내는 고사(告祀).

[개설]

안택고사는 정월에 많이 하고, 가정에 따라 특별한 날을 정해둔 집도 있다. 날을 정해둔 집은 정해진 날에 매년 고사를 지낸다. 그러나 부정이 든 경우에는 지낼 수가 없다. 예컨대 집안에 따라 초상이 나거나, 집에서 키우는 개가 죽는 등의 부정이 흔하다. 이때는 다시 날을 받아서 지내거나, 한 해를 넘기기도 한다. 3월이나 10월에 하는 사람도 있었다. 고사의 시기는 가풍에 따라 다르다.

[절차]

제물은 집집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성주에는 백시루, 조상에는 팥시루를 올린다. 그리고 다른 가신들에게는 성주와 조상 시루를 적당히 덜어서 올린다. 성주와 조왕은 한 분이기 때문에 메[제수(祭需)로 준비하는 밥] 한 그릇씩 올리고, 지신은 큰 그릇에다가 밥을 떠서 수저 5개를 꽂는다. 지신 메에 숟가락 5개를 꽂는 이유는 지신이 동·서·남·북·중앙의 오방신이기 때문이다. 술도 마찬가지로 성주와 조왕은 한 잔씩, 지신은 5잔을 올린다. 조상의 경우 항렬이 같고 부부일 경우에 밥을 각각 떠놓는 경우도 있으나, 한 그릇에 수저 2개를 꽂아두는 경우도 있다.

안택고사에서는 흐린 부정과 맑은 부정을 모두 친다. 흐린 부정은 고춧가루·숯·소금 등을 섞어서 집 주위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곳에 골고루 뿌린다. 그리고 맑은 물을 이용해서 다시 한 번 주위를 돌면서 부정을 친다.

이후 각 가신에게 치성을 드리는데, 그 순서는 가정마다 차이가 있다. 어떤 집은 부정을 친 뒤 성주를 모시고 지신, 조왕, 조상 순서로 모신다. 또 다른 집은 부정을 친 뒤 조상에게 먼저 빌고, 성주, 지신, 조왕 순서로 빌기도 한다. 또 어떤 경우에는 큰 상에 제물을 놓고 한꺼번에 비는 경우도 있다. 고사는 전부 두 손을 비비면서 소원을 비는 비손으로 진행된다. 모든 가신에게 빌고 나면 퇴송(退送)을 하고 마무리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