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삼척영은사괘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0362
한자 三陟靈隱寺掛佛
영어공식명칭 The Gwaebul at Yeongeunsa Temple in Samcheok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 성보박물관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창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56년연표보기 - 삼척영은사괘불 제작
보수|복원 시기/일시 2003년 5월 26일-12월 30일 - 삼척영은사괘불 보수
보수|복원 시기/일시 2003년 5월 26일-12월 30일 - 삼척영은사괘불 보수 종료
문화재 지정 일시 1986년 11월 19일연표보기 - 삼척영은사괘불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8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삼척영은사괘불 강원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장처 삼척영은사괘불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 성보박물관
원소재지 삼척영은사괘불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길 1162 지도보기
성격 괘불
작가 긍준|긍섭|성오|의잠|찬종|승호|인택|영침|재원
소유자 삼척 영은사
관리자 월정사 성보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강원도 유형문화재

[정의]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영은사에서 소장하고 있던 조선시대 괘불도.

[개설]

1856년(철종 7) 수화승 긍준 등 9명의 화승이 참여하여 그린 영산회괘불도로, 화기 내용으로 보아 삼척영은사팔상전에 봉안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형태 및 구성]

영축산 법회 장면을 그린 군도 형식 불화이다. 중앙에 키 형 광배(光背)를 구비한 석가불을 그리고 주위로 문수·보현보살상 등 8보살상, 제석·범천 및 사천왕상, 십대 제자, 팔금강, 타방불, 용왕·용녀 등을 배치하였다.

석가불은 수미단 위 청색 연화좌에 결가부좌하고 앉아서 오른 어깨를 드러낸 우견편단의에 항마촉지인을 지었다. 무릎 아래쪽 좌측[향우측]에는 문수보살상을 두고, 우측[향좌측]에는 보현보살상을 배치하였다. 그 바깥쪽 좌측으로는 비파를 든 북방 다문천왕상과 검을 든 동방 지국천왕상을 그리고, 우측에는 용과 화염보주를 든 남방 증장천왕상과 보탑 및 창을 들고 있는 서방 광목천왕상을 배치하였다. 몸 광배 주위로는 제석, 범천상 및 관음, 세지보살상 등 6보살상과 가섭, 아난존자 등 십대제자상을 그렸다. 머리 광배 좌우로는 타방불 2위, 사자와 코끼리 탈을 쓴 대신, 용왕, 용녀, 팔금강을 배치하였다.

색채는 호분을 혼합한 적색과 청색, 연녹색과 청색을 사용하여 전반에 걸쳐서는 불투명해진 느낌을 준다.

[현황]

비단 바탕에 그린 길이 766.0㎝, 폭 449.0㎝ 크기의 불화이다. 1986년 11월 19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현재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월정사성보박물관으로 옮겨 기탁 보관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강원도 유일의 가장 완전한 채색 괘불화로, 19세기 중반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