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0331
한자 三陟天恩寺金銅藥師如來立像
영어공식명칭 Standing Gilt-bronze Bhaisajyaguru Buddha of Cheoneunsa Temple in Samcheok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물/불상
지역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동안로 816[내미로리 785]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
집필자 홍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토|발굴 시기/일시 1985년 - 삼척천은사금동약사여래입상 출토
문화재 지정 일시 2007년 11월 23일연표보기 - 삼척천은사금동약사여래입상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8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삼척천은사금동약사여래입상 강원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장처 삼척천은사금동약사여래입상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원소재지 삼척천은사금동약사여래입상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동안로 816 지도보기
성격 불상
재질 금동
크기(높이) 불신 10㎝, 대좌 4㎝, 전체 14㎝
소유자 삼척 천은사
관리자 평창 월정사 성보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강원도 유형문화재

[정의]

강원도 삼척시 천은사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금동약사여래입상.

[개설]

삼척천은사금동약사여래입상은 1985년 천은사 구역 내에서 출토된 소형 불상이다. 대좌의 일부분이 결실되었고, 얼굴은 다소 마모되었다. 원래는 도금을 하였지만 거의 박탈되었다. 이 불상은 당시의 주지 스님인 문일봉(文一峯) 선사(禪師)가 보관하다가 지금은 월정사 성보박물관에서 보관 및 전시하고 있다. 2007년 11월 23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불상의 편년은 생명감과 표현력, 비례와 균형, 사실 묘사를 한 법의, 왼쪽 손목 뒤로 넘어가는 대의, 띠매듭, 대좌 등의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 절정기와 관련된다. 반면에 양감이 떨어지고 선각화 현상과 같은 신라 하대의 후기 요소는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삼척천은사금동약사여래입상의 제작 시기는 8세기 중반 이후 9세기 전반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형태]

삼척천은사금동약사여래입상의 크기는 불신(佛身) 10㎝, 대좌(臺座) 4㎝로 전체 14㎝이다. 이 불상은 소발(素髮)에 크고 둥근 육계를 지니며, 얼굴은 마모가 심하지만 살이 오른 원만한 상호이다. 왼손은 약합(藥盒)을 들고, 오른손은 허리 아래로 내려뜨렸다. 약합은 흔한 둥근형이 아니라 약사발형이다. 대의(大衣)는 통견이며, U자형으로 무릎까지 내려오는데 주름선은 도드라지게 표현되었다. 속옷은 왼쪽 가슴에서 오른쪽 가슴으로 경사져 있고, 띠매듭이 있어 띠자락 2개가 아래로 벌어져 있다. 특히 대의는 왼쪽 어깨 뒤로 넘어가지 않고 약합을 든 왼쪽 손목 뒤로 넘어가는 점이 특징이다. 불신과 대좌는 일체로 주조되었으며, 광배(光背)는 별도로 만들어서 끼웠다.

대좌는 팔각(八角)의 이단연화대좌(二段蓮花臺座)이다. 상대석과 하대석은 매우 낮은 2조의 연접대(連接帶)를 사이에 두고 맞붙어 있다. 하대석은 하단석과 상단석으로 나누어진다. 하대하단석은 팔각의 면마다 안상(眼象)이 투각되었다. 하대상단석은 단엽팔판(單葉八辦)의 복련(伏蓮)이며, 판과 판 사이에는 간엽(間葉)도 있다. 연판의 끝은 반전이 있어 탄력이 있으며, 각 판의 내부에는 둥근 화문(花紋)이 조식되었다. 상대석도 단엽팔판의 앙연(仰蓮)이며, 간엽도 있지만 화문은 없다.

불상의 후두부에는 광배촉이 들어갈 홈이 1개 있고, 어깨 윗부분 중앙에는 광배촉이 하나 튀어나와 있다. 어깨부 밑으로는 큰 틀잡이 구멍이 두 개 있어 내부를 볼 수 있다. 대좌 내부는 비어 있다.

[의의와 평가]

삼척천은사금동약사여래입상은 삼척 지역에서 유일한 통일신라 시대의 금동불이라는 의의가 있고, 삼척 지역 사찰의 창건설을 분석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