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1102
한자 巫歌
영어공식명칭 Shaman song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삼척시
집필자 윤동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가

[정의]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구연된 무가(巫歌).

[개설]

강원도 삼척 지역을 토대로 작성된 무가는 여러 편이 있다. 신동익은 1968년 8월 16일~18일에 근덕면의 이금옥을 면담하여 인위적으로 구연한 심청굿을 채록(採錄)하였다. 김선풍은 1979년과 1980년에 원덕읍 갈남리호산리, 남양리 등에서 무가를 채록하였다. 그는 1979년 5월 23일~25일 신석남·송명희가 연행한 용왕굿을 채록하였다. 그리고 1979년 10월 29일 원덕읍 갈남리에서 신석남이 연행한 손님굿, 1980년 6월 18일 원덕읍 호산리에서 사화선이 연행한 손님굿과 제면굿, 1980년 7월 30일 남양동에서 김석출·김유선이 연행한 문답가를 채록하였다.

[형태]

삼척 출신 큰무당 중에 이금옥과 신석남이 구연(口演)한 자료는 여러 지면에 소개되었다. 이금옥이 연행한 1971년 문답설법, 1976년~1977년 부정굿·심청굿, 1975년 제면굿, 1978년 심청굿 등이 채록되었고, 신석남이 연행한 1971년 조상굿, 1979년 제면굿·성조굿·바리덕이굿·심청굿, 1981년 바리떼기 등이 수록되었다. 그 외에 신석남이 소장하고 있었던 자료는 『강릉단오제 실측조사보고서』와 『한국의 무가』11-동해안 필사본 무가에 소개되었다.

[필사본]

필사본의 경우 김동철과 이옥선의 소장 무가가 있다. 김동철 무가의 경우 1) 부정거리, 2) 천수경, 3) 조상님 축원, 4) 축원문, 5) 지옥풀이, 6) 육갑 해원경, 7) 천존 청문, 8) 도솔경, 9) 활유경, 10) 성인 축원, 11) 성의 축원문, 12) 신명 축원문, 13) 삼신 설법, 14) 산령 설법, 15) 군웅 사설, 16) 축원문, 17) 신장 장군 청문경, 18) 철망경, 19) 성황경, 20) 산신경, 21) 활유경, 22) 성의 축문, 23) 축원문, 24) 보신경, 25) 옥추경, 26) 꽃노래, 27) 퇴송경, 28) 용왕경, 29) 성황경, 30) 산신경, 31) 용왕경 등이 지면에 발표되었다.

이옥선 무녀의 소장 무가는 『미로단오제』에 수록되었다. 부정굿은 이옥선 무녀가 구송한 것이고, 나머지 무가의 경우 다른 무당에게 받은 것이다. 세존굿, 성왕굿, 조상굿, 장군굿, 꽃노래, 뱃노래, 등 노래 무가는 안사옥에게 받았고, 성주굿 무가는 경상북도 울진에서 활동하는 배무호에게 받은 것이다. 이 외에 이옥선 무녀의 소장 무가 중에 세존굿은 『한국무가집』 4에 실린 자료를 옮겨놓은 것이 있다. 이들 외에 김귀옥·박명옥 등의 경우 보관하고 있는 무가집이 없고, 신용철의 경우 김태곤의 『한국무가집』 4를 복사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